본문내용
0.78
1
6. 결과 및 토의
이번 실험은 를 이용하여 L과 T를 측정하여 중력 가속도를 구하는 실험이다. 이번 실험은 값에 미치는 요인이 적고 실험이 단순했기 때문에 1~5%내의 미세한 오차만이 나왔다. 그리고 위의 y축-L x축- 그래프를 그릴 때에 중력 가속도 값을 9.81 로 고정하여 계산했기 때문에 직선 그래프가 나온다. 그러나 실제로는 오차 때문에 값이 변한다. 측정값의 오류가 있겠지만 그래프는 미세하게 곡선을 이루어야 한다. 그러므로 책에 중력가속도는 g=기울기 이라는 식은 오차가 0%라고 가정한 식이므로 이론적인 부분만 생각한 식이다. 실험의 오차가 포함된 정확한 식이 되려면 그래프를 미분해 순간기울기와 를 곱하는 것이 바른 식일 것이다. 또 우리는 를 5로 해서 실험을 했는데 단진자를 이용한 실험은 대부분 각도가 작다고 한다. 이정도의 작은 규모의 단진자 실험에는 추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이 당진자의 주기에 영향을 크게 미치기 때문이고, 대형 단진자 실험에서는 진폭이 클 경우 추의 높이 차이에 의한 실제 중력 가속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5 보다 작은 각도로 실험을 진행 했다면 더 작은 오차가 나왔을 것이다.
1
6. 결과 및 토의
이번 실험은 를 이용하여 L과 T를 측정하여 중력 가속도를 구하는 실험이다. 이번 실험은 값에 미치는 요인이 적고 실험이 단순했기 때문에 1~5%내의 미세한 오차만이 나왔다. 그리고 위의 y축-L x축- 그래프를 그릴 때에 중력 가속도 값을 9.81 로 고정하여 계산했기 때문에 직선 그래프가 나온다. 그러나 실제로는 오차 때문에 값이 변한다. 측정값의 오류가 있겠지만 그래프는 미세하게 곡선을 이루어야 한다. 그러므로 책에 중력가속도는 g=기울기 이라는 식은 오차가 0%라고 가정한 식이므로 이론적인 부분만 생각한 식이다. 실험의 오차가 포함된 정확한 식이 되려면 그래프를 미분해 순간기울기와 를 곱하는 것이 바른 식일 것이다. 또 우리는 를 5로 해서 실험을 했는데 단진자를 이용한 실험은 대부분 각도가 작다고 한다. 이정도의 작은 규모의 단진자 실험에는 추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이 당진자의 주기에 영향을 크게 미치기 때문이고, 대형 단진자 실험에서는 진폭이 클 경우 추의 높이 차이에 의한 실제 중력 가속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5 보다 작은 각도로 실험을 진행 했다면 더 작은 오차가 나왔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