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사] 한국의 불교음악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악사] 한국의 불교음악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한국의 불교 전래와 불교음악

Ⅱ. 본론
1. 범패 - (1) 범패의 개념 (2) 한국의 범패 (3) 범패의 종류 (4) 범패의 특성
2. 화청 - (1) 화청의 개념 (2) 화청의 유래 (3) 화청의 종류 (4) 화청의 특성
3. 향가 - (1) 불교음악으로서의 향가 (2) 향가의 종류
4. 조선의 불가 - (1) 조선불가의 성립과 역사 (2) 세종대왕의 불교음악 창작
5. 창작찬불가 - (1) 찬불가의 개념 (2) 찬불가의 창작 배경 (3) 찬불가의 영향과 의의

Ⅲ. 결론
- 이 연구를 통해 느낀 점

본문내용

에 관해서는 탄압의 강도가 높았다. 그들이 민족종교로 인정받던 조선불교를 그냥 둘 리가 없었다. 조선총독부로부터 사찰령(寺刹令)이 내려진 뒤 모든 사찰에서는 불교의식 행사가 금지되었다. 이렇듯 난세를 맞이한 조선불교계에 백용성과 만해 두 명의 새로운 지도자가 등장하였다. 이들은 불경을 한글로 번역하여 누구나 불교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으며, 승려들이 주관하는 복잡한 전통 예불의식을 과감하게 고쳐 모든 불자가 함께 동참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누구나 함께 부를 수 있는 노래의 필요성을 느낀 백용성은 직접 작사, 작곡을 하여 노래를 만들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불교지도자에 의하여 탄생한 최초의 찬불가이다.
(3) 찬불가의 영향과 의의
찬불가의 탄생은 불교음악계에 큰 변화를 주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대중들이 찬불가를 부름으로써 불교포교에 크게 기여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찬불가의 탄생과 더불어 불교음악은 크게 ‘전통불교음악’과 창작불교음악‘으로 나뉘게 되었다. 이러한 구분은 시대적 차원을 넘어서 음악적 특징상 자연히 분류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새로 창작된 찬불가는 기존의 불교음악과는 전혀 다른 성격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초기의 찬불가 곡들이 당시 유행하던 창가풍과 일본 군가풍의 선율로 되어있었다는 점은 찬불가에 대한 불교 음악적 쟁점을 야기 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찬불가는 대중들이 쉽게 부를 수 있고 불교의식에 동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불교음악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또한 찬불가는 사찰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행하는 제반 불교행사에서도 폭넓게 불리면서 포교활동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찬불가 운동은 쇠면 위기에 처해 있던 조선말의 한국불교를 생활불교로 다시 태어나게 하였다.
Ⅲ. 결론
지금까지 한국의 불교음악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비록 음악 분야에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불교의 음악이라는 다소 생소한 주제를 연구하려니 사실 필자 스스로는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도 꽤 있었다. 그러나 불교음악이 우리의 전통과 역사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것은 확실하게 알게 되었다. 또한 오히려 더 익숙한 기독교의 음악이, 한반도에서의 역사는 불교에 비해 훨씬 짧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었다. 불교가 우리 조상들의 생활 곳곳에 깃들어 있던 종교이니만큼 불교음악도 그와 함께 했던 것이었을 텐데 지금까지는 이것을 미처 모르고 전혀 익숙하지 않은 분야의 주제로만 치부해 버렸던 점이 부끄러웠다.
앞서 밝힌 이 연구의 목적이었던 익숙한 종교와 그렇지 않은 종교와의 은근한 장벽이 조금이나마 허물어진 것 같다. 종교음악이라 하면 기독교음악 뿐만 아니라 불교음악도 떠올릴 수 있게 되었고 이제 어디를 가서도 불교음악에 대해서는 적어도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이 되지는 않을 것이니 말이다.
5. 참고문헌
『한국불교음악사연구』, 박범훈 지음, 장경각, 2000
『韓國音樂史』, 이해랑 지음, 대한민국예술원, 1985
『새로운 한국음악사』, 전인평 지음, 현대음악출판사, 2000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2.06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61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