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했다.
일주일 후 좀 개구리밥을 넣은 screw cap tube을 관찰한 결과는 표1과 같았다. 그리고 좀 개구리밥 개체군의 밀도에 따른 생장률을 그래프로 그려봤을 때 그래프1을 보면 밀도가 높은 좀 개구리밥의 개체군이 더 높은 생장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나의 가설을 뒷받침 해줄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실험에 사용된 좀 개구리밥의 밀도는 적은 밀도이고 배양되는 튜브의 크기도 작았기 때문에 밀도가 더욱 높아지거나 배양되는 크기가 달라졌을 때도 똑같은 결과가 나올 거라는 보장은 되지 않는다. 또 좀 개구리밥 개체군의 영양에 따른 생장률을 그래프로 그려봤을 때 그래프2를 보면 CM이 TW보다 대체적으로 높은 생장률을 보였는데 이 역시 나의 가설을 뒷받침 해줄 수 있다. 그리고 좀 개구리밥 개체군의 광량에 따른 생장률을 그래프로 그려봤을 때 그래프 2를 보면 HL이 LL보다 대체적으로 높은 생장률을 보였는데 이 역시 나의 가설을 뒷받침 해줄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대체적으로 빛이 충분할수록, 영양상태가 좋을수록, 식물체의 밀도가 클수록 좀 개구리밥 개체군의 생장률이 높다는 것이다. 이는 나의 가설과도 일치한다. 빛의 경우 대부분의 식물이 충분한 햇빛이 있을 때 광합성이 활발해져 양분을 많이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생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밀도의 경우엔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밀도가 크다는 것은 개체군의 수가 많은 것이기 때문에 증가율이 커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한정된 면적에서 지나치게 밀도가 증가하면 다른 요인의 결핍으로 인해 개체군이 더 이상 증가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체군의 생장에는 높은 밀도와 함께 충분한 면적과 양분 등의 다른 조건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필요한 양분을 만들지만 뿌리를 통해 외부에서 양분을 흡수해야 건강하게 자랄 수 있다. 그렇게 때문에 식물 개체군의 생장에는 충분한 양분이 있어야 증가율이 높아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실험에서는 수생식물 중에서도 부유식물에 속하는 좀 개구리밥을 통해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조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개체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조건에는 이러한 광량, 영양, 밀도의 환경조건 외에 pH, 온도 등의 다른 조건이 있을 것이다.
Ⅴ.참고문헌 및 인용문헌
한국의 하천식생. 이율경, 김종현. 2005년. 계명대학교 출판부.
일반생물학. 권오길 외 7명. 2004년. 강원대학교출판부.
일주일 후 좀 개구리밥을 넣은 screw cap tube을 관찰한 결과는 표1과 같았다. 그리고 좀 개구리밥 개체군의 밀도에 따른 생장률을 그래프로 그려봤을 때 그래프1을 보면 밀도가 높은 좀 개구리밥의 개체군이 더 높은 생장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나의 가설을 뒷받침 해줄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실험에 사용된 좀 개구리밥의 밀도는 적은 밀도이고 배양되는 튜브의 크기도 작았기 때문에 밀도가 더욱 높아지거나 배양되는 크기가 달라졌을 때도 똑같은 결과가 나올 거라는 보장은 되지 않는다. 또 좀 개구리밥 개체군의 영양에 따른 생장률을 그래프로 그려봤을 때 그래프2를 보면 CM이 TW보다 대체적으로 높은 생장률을 보였는데 이 역시 나의 가설을 뒷받침 해줄 수 있다. 그리고 좀 개구리밥 개체군의 광량에 따른 생장률을 그래프로 그려봤을 때 그래프 2를 보면 HL이 LL보다 대체적으로 높은 생장률을 보였는데 이 역시 나의 가설을 뒷받침 해줄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대체적으로 빛이 충분할수록, 영양상태가 좋을수록, 식물체의 밀도가 클수록 좀 개구리밥 개체군의 생장률이 높다는 것이다. 이는 나의 가설과도 일치한다. 빛의 경우 대부분의 식물이 충분한 햇빛이 있을 때 광합성이 활발해져 양분을 많이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생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밀도의 경우엔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밀도가 크다는 것은 개체군의 수가 많은 것이기 때문에 증가율이 커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한정된 면적에서 지나치게 밀도가 증가하면 다른 요인의 결핍으로 인해 개체군이 더 이상 증가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체군의 생장에는 높은 밀도와 함께 충분한 면적과 양분 등의 다른 조건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필요한 양분을 만들지만 뿌리를 통해 외부에서 양분을 흡수해야 건강하게 자랄 수 있다. 그렇게 때문에 식물 개체군의 생장에는 충분한 양분이 있어야 증가율이 높아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실험에서는 수생식물 중에서도 부유식물에 속하는 좀 개구리밥을 통해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조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개체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조건에는 이러한 광량, 영양, 밀도의 환경조건 외에 pH, 온도 등의 다른 조건이 있을 것이다.
Ⅴ.참고문헌 및 인용문헌
한국의 하천식생. 이율경, 김종현. 2005년. 계명대학교 출판부.
일반생물학. 권오길 외 7명. 2004년. 강원대학교출판부.
추천자료
일반체계이론
일반체계이론에 대한 고찰
일반 물리학 사전보고서-오차론, 반응시간, 중력가속도 측정
일반체계이론
일반체계이론
[분자, 분자적 조절기구, 분자기전, 분자분광법, 분자궤도함수]분자와 분자적 조절기구, 분자...
[아동발달] 동물행동학이론 - 로렌즈(Lorenz)의 각인이론, 보울비(Bowlby)의 애착이론, 윌슨(...
[일반생물실험보고서] 동식물 세포 관찰
[일반화된 불안장애] 일반화된 불안장애의 정의와 진단기준 및 임상특성, 일반화된불안장애(...
일반생물 카탈라아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일반체계이론 및 생태체계이론 ( 체계이론의 등장배경, 일반체계이론,...
일반체계이론
[사회복지실천의 일반체계이론] 통합적 접근의 일반체계적 관점의 주요개념과 사회복지실천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