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프레젠테이션의 기본방식
1. 청중의 마음을 사로잡는 비법 …………………………… 1
2. 명확한 목표 설정하기 …………………………………… 3
3. 스토리 라인이란 이런 것 ………………………………… 6
4. 프레젠테이션의 구조 잡기 ………………………………… 9
Ⅱ. 프레젠테이션 작성요령
1. 감동적인 클로징 …………………………………………… 12
2. 헤드라인 작성의 숨겨진 비법 …………………………… 13
3. 파워 슬라이드의 제작방법 ……………………………… 15
4. 5가지 레벨의 슬라이드 작성법 …………………………… 18
Ⅲ. 프레젠테이션 발표방법
1. 자세! 그 감춰진 비법 ……………………………………… 20
2. 청중을 몰입시키는 목소리 ………………………………… 22
3. 화려한 화술의 비밀 ………………………………………… 23
4. 다양한 시선으로 마음잡기 ………………………………… 25
1. 청중의 마음을 사로잡는 비법 …………………………… 1
2. 명확한 목표 설정하기 …………………………………… 3
3. 스토리 라인이란 이런 것 ………………………………… 6
4. 프레젠테이션의 구조 잡기 ………………………………… 9
Ⅱ. 프레젠테이션 작성요령
1. 감동적인 클로징 …………………………………………… 12
2. 헤드라인 작성의 숨겨진 비법 …………………………… 13
3. 파워 슬라이드의 제작방법 ……………………………… 15
4. 5가지 레벨의 슬라이드 작성법 …………………………… 18
Ⅲ. 프레젠테이션 발표방법
1. 자세! 그 감춰진 비법 ……………………………………… 20
2. 청중을 몰입시키는 목소리 ………………………………… 22
3. 화려한 화술의 비밀 ………………………………………… 23
4. 다양한 시선으로 마음잡기 ………………………………… 25
본문내용
의미를 파악하거나 핵심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실패하게 된다.
○ 슬라이드에 너무 복잡하거나 많은 숫자의 양을 쓰지 않도록 한다.
◇ 차트의 유형에 따른 이해도 변화
○ 차트의 유형에 따라 전달되는 느낌이 다르다.
- 사례) 어두운 바탕에는 눈에 띄는 녹색의 차트가 좋다.
◇ 차트보다 도형으로 표시하는 것이 좋은 경우
○ 순위를 표시할 때
- 사례) "아이튠즈가 유료 음원 판매 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치“
◇ 숫자 자체는 말 그대로 데이터 일뿐
○ 데이터가 아닌 스토리를 만들어야 한다.
1
자세! 그 감춰진 비법
◇ 프레젠터들이 사용하는 보편적 자세
○ 양 손을 앞으로 가지런히 모은 자세
○ 한 손에는 포인터를 들고 다른 한 손은 차렷 자세로 모은 자세
○ 양 손을 뒷짐을 지은 열중 쉬어 자세
◇ 주의해야 할 자세
○ 양 손의 위치가 벨트 라인 아래로 가면 아마추어처럼 보일 수 있다.
◇ 프레젠테이션 도중 자연스러운 손의 모양을 유지하는 방법
○ 팔 전체의 힘을 뺀다.
○ 겨드랑이에 팔을 붙이지 않는다.
○ 배에 팔을 올려놓지 않는다.
○ 양 손이 서로 묶이지 않게 한다.
◇ 자세의 중요성
○ 스포츠 경기처럼 프레젠테이션 자세의 기본도 하체의 자세에 달려 있음
○ 프레젠터의 자세를 결정짓는 요소
- 적절한 보폭 유지
- 흔들리지 않는 무릎
- 발바닥을 지면에 밀착
◇ 일직선의 곧은 라인이 무너지는 이유
○ 고개를 똑바로 가누지 못하는 경우
○ 하체의 라인이 무너지는 경우
◇ I-Line의 발표
○ 청중들의 눈에 더 당당하고, 더 믿음이 가는 프레젠터로 비춰짐
2
청중을 몰입시키는 목소리
◇ 열정적인 프레젠테이션
○ 더 큰 소리로 말할 것
○ 입을 더 크게 벌릴 것
○ 복식 호흡을 연습할 것
◇ 고속도로를 달리게 하지 마라!
○ 프레젠터의 보이스에 변화가 없으면 지루하고, 집중하기 어렵다.
○ 프레젠터의 목소리는 크기, 속도, 에너지 레벨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 변화의 편차가 클수록 청중의 집중력이 높아진다.
○ 키워드는 다른 부분보다 더 크게 말한다.
◇ 감정이 실린 목소리를 구사하라!
○ 큰 소리가 돋보이게 만들려면 상대적으로 작은 소리가 필요하다.
○ 비밀스런 이야기나 청중에게 부정적인 내용은 작고 나지막하게 말한다.
○ 작고 낮은 보이스를 통해 청중과의 감정 공유를 불러 일으켜라.
3
화려한 화술의 비밀
◇ 컨트롤러를 이용하라
○ 자꾸 빨라지는 속도를 중간에 잡아 줄 컨트롤러가 필요하다.
○ 프레젠터가 자주 보게 되는 스크린을 컨트롤러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 ‘호흡’이란 스킬
○ 이야기를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진행
○ 호흡이 없는 스피치의 문제점
- 청중들이 숨을 쉴 수 없게 된다.
- 문장의 의미 파악이 어렵다.
- 전달력이 떨어진다.
○ 호흡을 두어야 하는 곳
- 문장이 끝나는 자리
- 쉼표가 있는 자리
- 접속 부사의 뒷자리
◇ 단문의 장점
○ 발표 문장의 단위가 비교적 길고, 복잡하면 전달력이 저하된다.
○ 커뮤니케이션의 요소가 복잡하고 길수록 전달과정에서 Noise(잡음)가 발생한다.
○ 단문으로 말하는 구체적인 방법
- 가급적 한 개의 주어와 동사의 문장을 만든다.
- 문장 당 10개 내외의 어휘를 사용하여 간결성을 유지한다.
- 일단 시작하면 마침표를 빨리 찍어 청중의 지루함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4
다양한 시선으로 마음잡기
◇ Eye Contact
○ Eye Contact란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는 프레젠터와 그것을 듣고 있는 청중 사이에 눈과 눈이 만나는 시선의 교환을 의미한다.
○ Eye Contact은 가장 중요한 스킬이지만 가장 안되는 스킬 중의 하나이다.
○ 프레젠터가 청중과 Eye Contact을 해야 하는 이유
- 모니터링(Monitoring)
- 커넥션(Connection)
- 진실(Truthfulness)
- 자신감(Confidence)
◇ ‘1 to 1'의 Eye Contact을 시도하라
○ 스크린을 보지 않고도 발표하려면 발표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 Eye Contact은 발표자로서 내가 해당 주제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전문가임을 보여주는 방법이기도 하다.
○ Eye Contact의 중요한 원칙은 하나의 메시지를 완성할 때까지 한 사람과 지속적으로 Eye Contact을 유지하는 One Message per One Person이다.
○ 하나의 메시지가 완성되기 전에 시선을 다른 사람에게 돌리면 먼저 시선을 받은 사람도, 나중에 시선을 받았다고 느끼지 못함
◇ Eye Contact을 할 때 지켜야할 세부 원칙
○ 의사 결정권자에게 집중하라.
○ 대규모 청중은 그룹으로 나누어라.
○ 자연스런 시선의 이동을 하라
○ 스크린보다 청중에게 두 배의 시선을 보내라
◇ 시간을 투자할 것
○ 최소한 스크린을 보는 시간보다는 청중을 보는 시간이 두 배 이상 많아야 한다.
◇ 시각적 수단을 활용하라!
○ 외부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감각기관의 역할 분담 비율
- 청각: 11.0%, 시각: 83.0%, 후각: 3.5%, 미각: 1.5%, 촉각: 1.0%
○ 시각적인 수단의 도움 없이는 이야기의 겨우 11%정도 밖에 전달되지 않는다.
○ 프레젠테이션을 할 때 제스처를 적극 활용하여 메시지의 전달력을 높인다.
◇ 자연스러움을 더하라.
○ 모양이 지나치게 단조롭거나, 한 가지 제스처가 계속 의미 없이 반복되는 것은 무의미하다.
○ 제스처의 사용 유형별 도전목표
- 손을 전혀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손을 움직이게 만드는 데 주안점을 둘 것
- 제스처가 너무 적은 경우: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을 우선 목표로 설정할 것
- 모양이 지나치게 단조롭거나, 한 가지 동작이 계속 반복되는 경우 : 다양하고 문장에 맞는 모양의 제스처를 만들 것
◇ 좋은 제스처의 조건
○ 양 손을 균형 있게 사용하면 표현력이 더욱 풍성해진다.
○ 제스처의 모양을 생각하라.
○ 내용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라.
- 중요한 내용일수록 제스처의 크기를 키워야 한다.
○ 어느 위치에 표현해야 하는지를 생각하라.
○ 제스처를 걷어 들이는 시기를 고려할 것
- 과다한 제스처는 오히려 감점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제스처를 사용할 때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슬라이드에 너무 복잡하거나 많은 숫자의 양을 쓰지 않도록 한다.
◇ 차트의 유형에 따른 이해도 변화
○ 차트의 유형에 따라 전달되는 느낌이 다르다.
- 사례) 어두운 바탕에는 눈에 띄는 녹색의 차트가 좋다.
◇ 차트보다 도형으로 표시하는 것이 좋은 경우
○ 순위를 표시할 때
- 사례) "아이튠즈가 유료 음원 판매 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치“
◇ 숫자 자체는 말 그대로 데이터 일뿐
○ 데이터가 아닌 스토리를 만들어야 한다.
1
자세! 그 감춰진 비법
◇ 프레젠터들이 사용하는 보편적 자세
○ 양 손을 앞으로 가지런히 모은 자세
○ 한 손에는 포인터를 들고 다른 한 손은 차렷 자세로 모은 자세
○ 양 손을 뒷짐을 지은 열중 쉬어 자세
◇ 주의해야 할 자세
○ 양 손의 위치가 벨트 라인 아래로 가면 아마추어처럼 보일 수 있다.
◇ 프레젠테이션 도중 자연스러운 손의 모양을 유지하는 방법
○ 팔 전체의 힘을 뺀다.
○ 겨드랑이에 팔을 붙이지 않는다.
○ 배에 팔을 올려놓지 않는다.
○ 양 손이 서로 묶이지 않게 한다.
◇ 자세의 중요성
○ 스포츠 경기처럼 프레젠테이션 자세의 기본도 하체의 자세에 달려 있음
○ 프레젠터의 자세를 결정짓는 요소
- 적절한 보폭 유지
- 흔들리지 않는 무릎
- 발바닥을 지면에 밀착
◇ 일직선의 곧은 라인이 무너지는 이유
○ 고개를 똑바로 가누지 못하는 경우
○ 하체의 라인이 무너지는 경우
◇ I-Line의 발표
○ 청중들의 눈에 더 당당하고, 더 믿음이 가는 프레젠터로 비춰짐
2
청중을 몰입시키는 목소리
◇ 열정적인 프레젠테이션
○ 더 큰 소리로 말할 것
○ 입을 더 크게 벌릴 것
○ 복식 호흡을 연습할 것
◇ 고속도로를 달리게 하지 마라!
○ 프레젠터의 보이스에 변화가 없으면 지루하고, 집중하기 어렵다.
○ 프레젠터의 목소리는 크기, 속도, 에너지 레벨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 변화의 편차가 클수록 청중의 집중력이 높아진다.
○ 키워드는 다른 부분보다 더 크게 말한다.
◇ 감정이 실린 목소리를 구사하라!
○ 큰 소리가 돋보이게 만들려면 상대적으로 작은 소리가 필요하다.
○ 비밀스런 이야기나 청중에게 부정적인 내용은 작고 나지막하게 말한다.
○ 작고 낮은 보이스를 통해 청중과의 감정 공유를 불러 일으켜라.
3
화려한 화술의 비밀
◇ 컨트롤러를 이용하라
○ 자꾸 빨라지는 속도를 중간에 잡아 줄 컨트롤러가 필요하다.
○ 프레젠터가 자주 보게 되는 스크린을 컨트롤러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 ‘호흡’이란 스킬
○ 이야기를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진행
○ 호흡이 없는 스피치의 문제점
- 청중들이 숨을 쉴 수 없게 된다.
- 문장의 의미 파악이 어렵다.
- 전달력이 떨어진다.
○ 호흡을 두어야 하는 곳
- 문장이 끝나는 자리
- 쉼표가 있는 자리
- 접속 부사의 뒷자리
◇ 단문의 장점
○ 발표 문장의 단위가 비교적 길고, 복잡하면 전달력이 저하된다.
○ 커뮤니케이션의 요소가 복잡하고 길수록 전달과정에서 Noise(잡음)가 발생한다.
○ 단문으로 말하는 구체적인 방법
- 가급적 한 개의 주어와 동사의 문장을 만든다.
- 문장 당 10개 내외의 어휘를 사용하여 간결성을 유지한다.
- 일단 시작하면 마침표를 빨리 찍어 청중의 지루함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4
다양한 시선으로 마음잡기
◇ Eye Contact
○ Eye Contact란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는 프레젠터와 그것을 듣고 있는 청중 사이에 눈과 눈이 만나는 시선의 교환을 의미한다.
○ Eye Contact은 가장 중요한 스킬이지만 가장 안되는 스킬 중의 하나이다.
○ 프레젠터가 청중과 Eye Contact을 해야 하는 이유
- 모니터링(Monitoring)
- 커넥션(Connection)
- 진실(Truthfulness)
- 자신감(Confidence)
◇ ‘1 to 1'의 Eye Contact을 시도하라
○ 스크린을 보지 않고도 발표하려면 발표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 Eye Contact은 발표자로서 내가 해당 주제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전문가임을 보여주는 방법이기도 하다.
○ Eye Contact의 중요한 원칙은 하나의 메시지를 완성할 때까지 한 사람과 지속적으로 Eye Contact을 유지하는 One Message per One Person이다.
○ 하나의 메시지가 완성되기 전에 시선을 다른 사람에게 돌리면 먼저 시선을 받은 사람도, 나중에 시선을 받았다고 느끼지 못함
◇ Eye Contact을 할 때 지켜야할 세부 원칙
○ 의사 결정권자에게 집중하라.
○ 대규모 청중은 그룹으로 나누어라.
○ 자연스런 시선의 이동을 하라
○ 스크린보다 청중에게 두 배의 시선을 보내라
◇ 시간을 투자할 것
○ 최소한 스크린을 보는 시간보다는 청중을 보는 시간이 두 배 이상 많아야 한다.
◇ 시각적 수단을 활용하라!
○ 외부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감각기관의 역할 분담 비율
- 청각: 11.0%, 시각: 83.0%, 후각: 3.5%, 미각: 1.5%, 촉각: 1.0%
○ 시각적인 수단의 도움 없이는 이야기의 겨우 11%정도 밖에 전달되지 않는다.
○ 프레젠테이션을 할 때 제스처를 적극 활용하여 메시지의 전달력을 높인다.
◇ 자연스러움을 더하라.
○ 모양이 지나치게 단조롭거나, 한 가지 제스처가 계속 의미 없이 반복되는 것은 무의미하다.
○ 제스처의 사용 유형별 도전목표
- 손을 전혀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손을 움직이게 만드는 데 주안점을 둘 것
- 제스처가 너무 적은 경우: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을 우선 목표로 설정할 것
- 모양이 지나치게 단조롭거나, 한 가지 동작이 계속 반복되는 경우 : 다양하고 문장에 맞는 모양의 제스처를 만들 것
◇ 좋은 제스처의 조건
○ 양 손을 균형 있게 사용하면 표현력이 더욱 풍성해진다.
○ 제스처의 모양을 생각하라.
○ 내용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라.
- 중요한 내용일수록 제스처의 크기를 키워야 한다.
○ 어느 위치에 표현해야 하는지를 생각하라.
○ 제스처를 걷어 들이는 시기를 고려할 것
- 과다한 제스처는 오히려 감점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제스처를 사용할 때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