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上邪 상야 - 작자미상(漢代악부시)
2) 將進酒 장진주 - 李白 (唐代 악부시)
2) 將進酒 장진주 - 李白 (唐代 악부시)
본문내용
五花馬(오화마)
오색말에
*오화마 : 갈기의 빛깔이 좋은 귀한 말
*천금구(千金: 맹상군(孟嘗君-중국 전국시대 제나라의 정승)이 소유했던 호백구(狐白여우 겨드랑이의 흰털이 있는 부분의 가죽으로 만든 갖옷)로 역사적 전고(典故-전례와 고사)를 사용한 것임.
千金(천금구)
값진 털옷.
呼兒將出換美酒(호아장출환미주)
아이불러 맛난 술과 바꿔오시게.
*고가의 명마와 값진 털옷을 내다주고 술과 바꾸어 오라는 주인장을 향한 시인의 광기어린 호방한 주문을 하고 있음. 손님으로 초빙된 시인이 주인행세를 하고 있음. 동시에 시의 초두에서 제기한 ‘悲’字의 흥취로 돌아가게 하여, 본 시가의 순환성의 묘를 살림으로써, 시인의 ‘及時行樂’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통해, 다시 한번 “萬古愁”는 “萬古酒”라고 하겠으니, 현실세계에서 좌절하면 몽상의 세계로 酒仙의 세계에서 살겠음을 부각시켜, 현실의 난관에 좌절하지 않고 재기하여 이상을 펴겠다는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정신을 언외에 비추고 있다. 동시에 부귀공명은 일장춘몽에 불과함도 부각시켜주고 있다.
與爾同銷萬古愁(여이동소만고수)
그대와 함께 마시면서 만고의 시름을 녹이려 하네.
<참고자료>
http://cafe.naver.com/xingqitian/5254 방송대 중어중문학과 일요스터디
http://blog.naver.com/audfbsrlf/110044660293 자연사랑
http://blog.naver.com/bhjang3/140121181188 德 田 의 문 화 일 기.
http://blog.naver.com/joongyang72/117593021 삼덕산방 (三德山房)
오색말에
*오화마 : 갈기의 빛깔이 좋은 귀한 말
*천금구(千金: 맹상군(孟嘗君-중국 전국시대 제나라의 정승)이 소유했던 호백구(狐白여우 겨드랑이의 흰털이 있는 부분의 가죽으로 만든 갖옷)로 역사적 전고(典故-전례와 고사)를 사용한 것임.
千金(천금구)
값진 털옷.
呼兒將出換美酒(호아장출환미주)
아이불러 맛난 술과 바꿔오시게.
*고가의 명마와 값진 털옷을 내다주고 술과 바꾸어 오라는 주인장을 향한 시인의 광기어린 호방한 주문을 하고 있음. 손님으로 초빙된 시인이 주인행세를 하고 있음. 동시에 시의 초두에서 제기한 ‘悲’字의 흥취로 돌아가게 하여, 본 시가의 순환성의 묘를 살림으로써, 시인의 ‘及時行樂’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통해, 다시 한번 “萬古愁”는 “萬古酒”라고 하겠으니, 현실세계에서 좌절하면 몽상의 세계로 酒仙의 세계에서 살겠음을 부각시켜, 현실의 난관에 좌절하지 않고 재기하여 이상을 펴겠다는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정신을 언외에 비추고 있다. 동시에 부귀공명은 일장춘몽에 불과함도 부각시켜주고 있다.
與爾同銷萬古愁(여이동소만고수)
그대와 함께 마시면서 만고의 시름을 녹이려 하네.
<참고자료>
http://cafe.naver.com/xingqitian/5254 방송대 중어중문학과 일요스터디
http://blog.naver.com/audfbsrlf/110044660293 자연사랑
http://blog.naver.com/bhjang3/140121181188 德 田 의 문 화 일 기.
http://blog.naver.com/joongyang72/117593021 삼덕산방 (三德山房)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