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a=g×sinθ, g=a/sinθ
h=5cm일 때, g=0.0928/0.05 = 1.856
h=9cm일 때, g=0.5165/0.09 = 5.73
h=12cm일 때, g=0.7001/0.12 = 5.83
h=22cm일 때, g=1.505/0.22 = 6.84
h=45cm일 때, g=3.241/0.45 = 7.202
9. 추정 값이 자유낙하 가속도(g=9.8m/s²)와 잘 맞는가?
→최소 1.856에서 최대 7.202 까지 실제 중력가속도 약 9.8m/s²보다 모두 작게
측정되었다.
그 이유는 빗변에서 걸리는 마찰력을 생각해주지 않고 실험 결과를 분석했기
때문이다.
[고찰]
-실험오차
→갈릴레오의 이론적인 생각과 우리가 실험한 실제 결과는 다소의 차이가 보였다.
-오차원인
→간단하게 빗면과의 마찰력을 고려하지 않은 점을 들 수 있다.
좀 더 많이 생각해보자면 회전운동인 관성모멘트를 생각해 볼 수 있기도 하다.
이러한 세세한 요소들이 겹쳐 이러한 오차를 만들었을 것이다.
-개선방법
→계산이 많이 복잡하고 실험 데이터를 얻는데 번거로울 수 있겠지만 마찰력을 고려해주고
관성 모멘트를 생각해준다면 실제 중력가속도인 9.8m/s²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h=5cm일 때, g=0.0928/0.05 = 1.856
h=9cm일 때, g=0.5165/0.09 = 5.73
h=12cm일 때, g=0.7001/0.12 = 5.83
h=22cm일 때, g=1.505/0.22 = 6.84
h=45cm일 때, g=3.241/0.45 = 7.202
9. 추정 값이 자유낙하 가속도(g=9.8m/s²)와 잘 맞는가?
→최소 1.856에서 최대 7.202 까지 실제 중력가속도 약 9.8m/s²보다 모두 작게
측정되었다.
그 이유는 빗변에서 걸리는 마찰력을 생각해주지 않고 실험 결과를 분석했기
때문이다.
[고찰]
-실험오차
→갈릴레오의 이론적인 생각과 우리가 실험한 실제 결과는 다소의 차이가 보였다.
-오차원인
→간단하게 빗면과의 마찰력을 고려하지 않은 점을 들 수 있다.
좀 더 많이 생각해보자면 회전운동인 관성모멘트를 생각해 볼 수 있기도 하다.
이러한 세세한 요소들이 겹쳐 이러한 오차를 만들었을 것이다.
-개선방법
→계산이 많이 복잡하고 실험 데이터를 얻는데 번거로울 수 있겠지만 마찰력을 고려해주고
관성 모멘트를 생각해준다면 실제 중력가속도인 9.8m/s²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일반 물리- 구심력 측정
[계측 및 신호처리] 유량 측정
인지중심의 학습 이론들 (통찰이론, 사회학습이론, 정보처리이론) 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파블로프][손다이크][스키너][행동주의이론]파블로프(Pavlov), 손다이크(Thorndike), 스키너...
원운동과 구심력
정보화시대의 유비쿼터스활용의 교육실태와 국내외 사례를 통한 대학교육 유비쿼터스의 필요...
[보건교육C형]중년여성을 위한 걷기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 적용
인지행동이론
광속도측정
회전 장치에 의한 관성 모멘트 측정
[일반물리] 중력가속도 측정 & 2차원 충돌장치에 의한 선운동량 보존
초등학교 학생들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태 비교
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보존2
[기업 개발][기업 직업능력개발][기업 인적자원개발][의료기기개발]기업 기술개발, 기업 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