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계획서- 논술,면접대비 사설,칼럼정보제공 어플(어플리케이션) 제작기획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업계획서- 논술,면접대비 사설,칼럼정보제공 어플(어플리케이션) 제작기획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비스의 필요성
1-1. 사설에 대한 수요 증가
1-2. 기존 어플의 문제점
1-3. 한 번의 클릭으로 사설을 볼 수 있는 어플의 필요성 발견

2.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및 제공 서비스
2-1. 신문사 App의 사설칼럼 섹션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 제공
2-2. 자유게시판 제공

3.개발 및 관리 일정

4. 수익성 창출

4-1. 수익창출 방식
4-2. 판매 통로
4-2-1. 앱 스토어(App store)
4-2-2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
4-2-3. 국내 앱 스토어
4-3. 광고 방식
4-4. 예상 소요비용
1) 직접인건비
2) 제경비
3) 기술료 10%

5. 기존 경쟁서비스와의 차별성, 우위성, 응용성

5-1. 경쟁사 현황 및 비교
5-1-1. 스마트폰 현황
5-1-2. 스마트폰 신문 어플리케이션 현황
5-1-3. 차별화 요소

6. 시장/시장경쟁력 분석

6-1. 관련제품 동향
6-1-1. 관련 서비스의 문제점
6-1-2. 관련 서비스의 발전 가능성
6-1-3. SWOT분석
6-2. 마케팅 분석

6-2-1. 마케팅 전략

7. 기대효과

본문내용

절반을 넘어섰음.
- 국민 2명 중 1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셈.
- 핸드폰이 기존의 단순한 통화 기능에서 벗어나 일상생활의 공간을 이뤄주고 사회 구성원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내고 있음.
- 따라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업이 점점 매력도가 높아져가고 있음.
5-1-2. 스마트폰 신문 어플리케이션 현황
(자료: 신문사 연결 어플리케이션 ‘모두의 신문’)
- 각 신문사가 앞 다투어 자사의 홈페이지를 모바일 사이즈에 맞춘 모바일 전용 웹 사이트를 만들고 있으며, 그에 맞춰 웹 사이트 사용을 쉽게 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하고 있음.
- 많은 신문사의 홈페이지를 한데 모아둔 사이트 혹은 어플리케이션의 필요성이 대두
- 그러나 위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은 ‘단순히 신문사의 홈페이지 연결을 한데 모아두는’ 데에 그치고 있으며, 이마저도 네이버나 네이트 등의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신문기사 제공 서비스와 큰 차이가 없고, 네이버와 네이트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를 있다는 문제점이 있음. 자료 제공의 체계성이 요구됨.
(자료: 매일경제의 어플리케이션과 동아일보의 어플리케이션)
- 기존 신문사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제공하는 정보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거나, 사람들이 관심을 많이 가지는 정치, 연예, 스포츠 면만을 간략하게 제공하는 경우가 많음.
- 신문의 사설 자료를 모바일로 찾기 위해서는 모바일 홈페이지를 뒤져서 찾아야 하고, 어플리케이션에서 따로 독립된 공간을 마련하여 제공하는 경우가 드묾.
5-1-3. 차별화 요소
- 정보 검색의 편의성 제공: 사설 자료를 한데 모아 제공
- 자료의 다양성은 사설자료로 한정: 자료의 범람으로 이곳저곳 뒤져야 할 필요성을 줄임
- 사설 토론방을 개설: 사설에 대한 의견 개진이 자유롭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여 각 사설에 의견이나 관심이 많은 사용자나 논술 등으로 사설이 필요한 사람들의 도움이 되게 함
6. 시장/시장경쟁력 분석
6-1. 관련제품 동향
6-1-1. 관련 서비스의 문제점
- 신문사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신문사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차이가 대동소이하다.
- 신문사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범위가 너무 넓어 간단하게 사용하기 어렵다.
- 서비스의 소통이 부족해 정보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는 곳이 적다.
6-1-2. 관련 서비스의 발전 가능성
(자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
(자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
-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계기에서 ‘모바일 앱을 사용하고 싶어서’ 가 66.3%, ‘수시로 인터넷을 사용하고 싶어서’ 가 53.8%, ‘학업이나 업무상 필요해서’ 가 14.9%.
- 스마트폰 서비스 이용 현황에서 ‘정보검색 및 일반적인 웹서핑’ 비중이 74.3%, ‘뉴스’ 비중이 74.1%.
- ‘스마트폰을 이용함으로써 생활이 전반적으로 편리해졌다’, ‘스마트폰을 이용함으로써 정보공유활동이 증가하였다’, ‘궁금한 점이 생기면 다른 사람에게 물어보기보다 스마트폰으로 검색한다’ 항목에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고 대답한 비율이 65% 이상.
(자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
- 인터넷 이용목적에 ‘자료 및 정보 획득’이 92.0%
- 뉴스기사 획득 경로의 인터넷 비중이 69.9%
- 스마트폰 이용 현황에서 인터넷의 비중이 대단히 컸고, 그리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이유로 ‘자료 및 정보의 획득’이 90%에 육박, 그리고 전체적으로 뉴스기사를 획득하는데 있어 인터넷을 사용하는 비율이 약 70%이므로 인터넷 앱을 통한 뉴스기사(우리의 경우에는 사설)의 제공에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됨.
6-1-3. SWOT분석
STRENGTH(강점)
WEAKNESS(약점)
- 검색의 편의성
- 사설만을 제공함으로써 전문성 제공
- 토론방을 통한 이용자들의 의견 교류
- 사이트 운영 기술의 부족
-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술의 부족
- 토론방 수시 관리 필요
OPPORTUNITY(기회)
THREAT(위협)
- 사설만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없음
- 시장 수용력 있음
- 논술 등으로 사설이 필요한 학생들의 비중이 증가
- 선발 신문 어플리케이션이 자리를 이미 잡고 있음
- 유사 사이트 진출 가능
6-2. 마케팅 분석
6-2-1. 마케팅 전략
- 포털사이트 광고, 키워드 등록
- 각 이통사/안드로이드 자체 앱스토어에 광고, 키워드 등록
- 논술이 필요한 고등학생을 위한 각 입시 사이트에 광고
- 대학 사이트에 광고
-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지에 구전 광고
- 블로그에 소개
7. 기대효과
취업준비생들과 대입입시생들의 편의성 및 효율성 증가
사설 전문 게시어플은 논술이나 면접을 준비해야하는 고객들에게 사설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시간을 절약하게 만들것이며 고객들이 어플의 게시판으로 하여금 서로의 의견을 나누면서 자신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키우게 만들어 고객들의 목적 달성을 용이하게 할것으로 기대됨.
전반적인 사회 현안에 대한 관심 증가
사설 전문 게시어플로 인해 고객들이 좀더 손쉽게 사설에 접근하게 되어 여러 가지 사회 현안들과 문제점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될것이라고 기대됨
< 목차 >
1. 서비스의 필요성
1-1. 사설에 대한 수요 증가
1-2. 기존 어플의 문제점
1-3. 한 번의 클릭으로 사설을 볼 수 있는 어플의 필요성 발견
2.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및 제공 서비스
2-1. 신문사 App의 사설칼럼 섹션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 제공
2-2. 자유게시판 제공
3.개발 및 관리 일정
4. 수익성 창출.
4-1. 수익창출 방식
4-2. 판매 통로
4-2-1. 앱 스토어(App store)
4-2-2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
4-2-3. 국내 앱 스토어
4-3. 광고 방식
4-4. 예상 소요비용
1) 직접인건비
2) 제경비
3) 기술료 10%
5. 기존 경쟁서비스와의 차별성, 우위성, 응용성
5-1. 경쟁사 현황 및 비교
5-1-1. 스마트폰 현황
5-1-2. 스마트폰 신문 어플리케이션 현황
5-1-3. 차별화 요소
6. 시장/시장경쟁력 분석
6-1. 관련제품 동향
6-1-1. 관련 서비스의 문제점
6-1-2. 관련 서비스의 발전 가능성
6-1-3. SWOT분석
6-2. 마케팅 분석
6-2-1. 마케팅 전략
7. 기대효과
  • 가격5,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3.12.19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8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