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유해환경의 현황과 청소년 유해환경에 대한 대처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 유해환경의 현황과 청소년 유해환경에 대한 대처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청소년 유해환경의 개념

2. 청소년 유해환경의 분류
 1) 유해업소
 2) 청소년유해약물등
 3) 유해매체

3. 청소년 유해환경의 현황
 1) 유해매체 이용 현황
 2) 업소 이용 현황
 3) 약물 이용 현황
 4) 청소년폭력·학대 현황

4. 청소년 유해환경에 대한 대처방안

【 참고자료 】

본문내용

2
(3) 예방교육 경험
2012년
예방교육
경험률
예방교육 실시기관
학교
병원/
보건소
청소년/
사회복지 시설
기타 전문단체
흡연
61.4
90.8
3.5
4.2
3.5
음주
34.3
87.1
3.2
5.4
3.9
환각성물질
28.4
91.0
2.3
3.6
3.7
(자료: 여성가족부, 2012.12)
4) 청소년폭력·학대 현황
(1) 청소년폭력 현황
< 폭력 피해 생애경험률 >
2012년
사례수(명)
폭력 피해 경험(%)
있다
없다
전체
15,382
11.4
88.6
성별
남자
8,140
9.7
90.3
여자
7,242
13.4
86.6
교급
중학생
7,558
12.9
87.1
고교생
7,824
10.1
89.9
(자료: 여성가족부, 2012.12)
(2) 성행동 현황
① 성적인 접촉/성관계 생애경험률
2012년
성적인 접촉
성관계
사례수(명)
경험률(%)
사례수(명)
경험률(%)
전체
15,254
13.3
15,170
3.1
성별
남자
8,057
14.5
8,009
4.4
여자
7,197
12.0
7,161
1.7
교급
중학생
7,513
5.5
7,452
1.5
고교생
7,741
20.9
7,718
4.7
(자료: 여성가족부, 2012.12)
② 조건부 성관계 경험
2012년
사례수(명)
조건부 성관계 경험(%)
있었다
없었다
전체
143
21.7
78.3
성별
남자
111
23.1
76.9
여자
33
17.0
83.0
교급
중학생
30
36.1
63.9
고교생
113
17.9
82.1
(자료: 여성가족부, 2012.12)
③ 성폭력 피해경험
2012년
사례수(명)
성폭력 피해 경험(%)
있다
없다
전체
5,119
4.4
95.6
성별
남자
2,607
2.5
97.5
여자
2,512
6.3
93.7
교급
중학생
2,508
3.6
96.4
고교생
2,611
5.1
94.9
(자료: 여성가족부, 2012.12)
(3) 가출 현황
< 생애 가출 경험률 >
사례수(명)
가출 경험(%)
전체
성별
교급
남자
여자
중학생
고교생
2009
15,225
11.6
12.8
10.4
10.7
12.6
2010
16,572
13.7
15.1
12.1
11.9
15.5
2011
15,954
10.2
10.6
9.6
9.0
11.4
2012
15,350
12.2
14.7
9.3
10.6
13.7
(자료: 여성가족부, 2012.12)
4. 청소년 유해환경에 대한 대처방안
(1) 유해매체에 대한 대처방안
청소년의 유해매체 이용이 저연령화 하고 있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써 조기 미디어교육의 필요하다. 건전한 매체 활용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등 생애주기별로 특성을 반영한 미디어교육을 실시해야 하고, 생애주기별 미디어교육 실시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과정이 신설되어야 할 것이다.
(2) 청소년 유해약물에 대한 대처방안
금연교육 등의 약물예방교육과 금연 및 약물중단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대책이 요구된다. 음주예방교육을 받은 경험은 38.1%이고,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경험은 69.3%, 환각성물질 예방교육을 받은 경험은 28.4%이다. 세 가지 교육 모두 과반수 내외의 청소년이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약물예방교육을 통합적으로 실시하고 좀 더 많은 청소년이 교육받을 수 있도록 확대할 필요가 있다.
(3) 청소년을 위한 문화공간의 확충 필요
유해업소에 출입하는 청소년들을 흡수하고 위해서는 그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오락적 요소와 건전성을 갖춘 공식적인 문화공간의 확충이 시급하다. 청소년들이 마음껏 놀고 공부하고 친구들과 사귈 수 있는 운동장과 운동시설, 휴게실, 음악 감상실, 독서실 등과 같은 여가 및 생활공간이 집이나 학교 근처의 쉽게 갈 수 있는 거리에 있어야 한다(박인선, 2003).
(4) 청소년대상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확대
청소년이 유해환경에 빠져들게 되는 원인의 하나는 그들이 즐길만한 마땅한 여가활동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품화된 놀이문화를 지양할 수 있고, 청소년들 스스로가 즐길만하다고 느끼고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여야 한다(김효선, 2001).
(5) 유해업소 업주 및 종사자 교육 실시
새롭게 청소년 유해업소를 개업하는 사업주의 경우는 청소년보호법에 대한 사전교육을 받는 것을 사업허가의 조건으로 하고, 업소 내에 청소년보호법 위반 시의 처벌사항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해업소의 청소년 출입에 대한 신고포상제도를 실효성 있게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6) 유해환경에 대한 규제와 관리
유해환경에 대한 규제나 관리는 시민의식의 각성에 입각한 각종 단체나 지역주민 자치조직을 통한 시민운동으로 전개되어야하며 업주의 자율규제나 청소년 유해환경 불이용 운동 등 다양한 형태의 시민들의 자발적인 노력에 의해 진행되어야 한다. 시민의 자율규제 활동은 단체별로 전문화, 분업화되어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지역주민의 관리, 법적규제, 업계의 자주규제 등이 상호연계 체제를 갖추고 운영되어야 하며, 주민자치 활동과 업주의 자주규제 노력이 권장되고 활성화 되어야 한다(박인선, 2003).
(7) 홍보활동의 강화
- 유해환경에 대한 일회성 단속이나 일시적 캠페인 등으로는 효과를 거둘 수 없다. 따라서 유해환경의 실태를 국민에게 알리고 유해환경의 규제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도출해 내기 위한 대대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김효선, 2001).
- 각종 매스컴이나 홍보수단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청소년만이 아닌 범국민운동으로 유해환경의 근원을 없애는데 노력해야 한다(김창우, 2003).
【 참고자료 】
이종원,이유진,김준홍(2012.12)「2012년 청소년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여성가족부
김창우(2003)「학교주변의 유해환경이 청소년교육에 미치는 영향평가」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논문
박인선(2003)「남원지역 청소년 유해환경 실태 및 대처방안」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이호진(2001)「학교주변 유해환경 이용과 청소년의 건강위험행태 분석」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김효선(2001)「학교주변의 유해환경 실태와 교육적 과제」홍익대학교 대학원 논문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12.24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9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