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 보고서 -평판 측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측량 보고서 -평판 측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평판 측량이란?
도판에 삼각(三脚)을 달아 붙인 평판을 이용하는 측량으로 높은 정밀도는 기대할 수 없지만, 기기(機器)가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전체적으로 작업이 빠르고 과오나 측량 누락이 거의 없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측량구역이 크지 않을 경우의 세부측량, 특히 지형측량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평판을 현지에 가지고 나가 도판에 붙인 제도용지 위에 직접 측점의 위치를 기입하고 야외에서 지도를 그린다. 높은 정밀도는 기대할 수 없지만, 기기(機器)가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전체적으로 작업이 빠르고 과오나 측량 누락이 거의 없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반면에 야외작업에 시간이 걸리고 우천시에는 측량을 할 수 없는 등의 단점도 있지만, 측량구역이 크지 않을 경우의 세부측량, 특히 지형측량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제도용지 위에 측점의 위치를 기입하려면 기계를 바르게 설치한 다음 보통 앨리데이드(alidade)로 목표를 시준(視準)하여 선을 긋고, 목표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축척에 의해서 시준선 위에 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 경우 스타디아 측량을 함께 사용하면 더욱 능률을 높일 수 있다. 평면도를 작성하는 일 외에 두 점 사이의 고저차(高低差)를 구하기도 한다.
2. 평판 측량의 장 단점
장점
단점
현지제도, 관측 중에 누락 방지, 복잡한 지형 표현
기상에 따라서 작업이 불가능할수도 있음
야장의 기입이 불필요함으로 이에 따른 착오없음
날씨에 따라 도지의 신축이 발생하여 오차가 포함
기계의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이 빠르며, 숙련자의 경우 일정수준의 정밀도유지도 가능
높은 정확도를 기대할 수 없음
내업이 적으므로 작업이 신속
외업에 장시간이 걸림
3. 측량의 목적
1) 평판 측량의 방법 및 기구의 사용법을 실제로 익히고 탐구한다.
2) 실제 측량을 통해 학교의 지형을 알고 측량에 대한 안목을 넓히며, 실제 평판 측량 기술을 습득한다.
6. 실험 기구
평판, 삼각대, 엘리데이드, 구심기, 추, 폴대, 제도지, 연필 등.
1) 평판(Board) : 건조된 전나무, 버드나무, 베니아 판을 이용 (두께는1.5∼3cm 정도)
가운데에 있는 홈은 삼각대와 연결하기 위한 홈이며, 표면은 평평하다.
2) 삼각대(Tripod) : 평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3개의 지지대가 있음.
3) 엘리데이드(Alidade)
: 도선 위에서 목표물을 시준하여 방향선을 그려서 목표물의 방향을 결정하는 기구.
① Alidade의 축척자는 모서리가 직선.
② 기포관축의 몸통 밑변과 평행.
③ 두시준판을 세웠을때 자에 대하여 앞뒤, 좌우로 기울지 않아야함.
④ 3개의 시준공이 같은 시준면에 위치.
⑤ 시준공은 적당한 크기를 유지. (굵기0.2mm, 지름0.5mm)
⑥ 기포관의 감도는 적당. (곡률반경1.0~1.5mm)
4) 구심기와 추(Plumbing Arm & Plumb Bob)
: 평판위의 측점과 지상의 측점을 일치시키는데 사용된다. 지면의 측점과 도면상의 점이 연직이 되도록 함.
5) 폴대 : 레이저로 위치를 측정할 측점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옆에 달려있는 것은 중심을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2.27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95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