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 결과
[ Experiment 1-1 ] 줄의 진동 1
[ Experiment 1-2 ] 줄의 진동 2
[ Experiment 2-1 ] 관의 공명 1
[ Experiment 2-2 ] 관의 공명 2
2.결과분석
[ Experiment 1-1 ]
[ Experiment 1-2 ]
[ Experiment 2-1 ]
[ Experiment 2-2 ]
3. 토의 및 건의사항
4.참고문헌
[ Experiment 1-1 ] 줄의 진동 1
[ Experiment 1-2 ] 줄의 진동 2
[ Experiment 2-1 ] 관의 공명 1
[ Experiment 2-2 ] 관의 공명 2
2.결과분석
[ Experiment 1-1 ]
[ Experiment 1-2 ]
[ Experiment 2-1 ]
[ Experiment 2-2 ]
3. 토의 및 건의사항
4.참고문헌
본문내용
험이었다.
[ Experiment 1-2 ]는 추의 질량과 진동수를 일정하게 하고 줄의 길이를 변화시켜 줄의 선밀도를 구하는 실험이었다. 줄의 선밀도를 구하기 위해 에서 유도된 공식을 사용했다. 이 실험 역시 오차가 0.6%밖에 안 되는 비교적 정밀한 실험이었다.
[ Experiment 2-1 ]은 음파의 주파수를 일정하게 하고 마이크를 이동시키며 파형의 진폭이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의 관의 길이를 측정하여 정상파의 파장을 계산하고, 궁극적으로 음속을 계산해보는 실험이었다. =800Hz일 때와 =1000Hz일 때 모두 한자리 수의 오차가 발생했다. 파형의 진폭이 최대가 되는 지점을 눈대중으로 측정했기 때문에 파장을 구하는 데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Experiment 2-2 ]는 진동수를 =800Hz로 고정시키고 n=5의 정상파가 형성되는 위치를 고정한 다음, 마이크를 움직이면서 파형의 진폭 변화를 관찰하여 정상파의 파장을 측정한 후 음속을 계산해보는 실험이었다. 파형의 진폭이 최대가 되는 지점이 세 군데 밖에 없어서 정상파의 파장 실험값을 2개 밖에 구할 수 없었다. 게다가 이 실험 또한 파형의 진폭이 최대가 되는 지점을 눈으로 어림잡아 측정했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관이 더 길었다면 정상파 파장의 값을 더 많이 구할 수 있어 오차가 줄어들었을 것이다. 또한 파동의 운동은 부분적으로 관의 모양이나 크기와 파동의 진동수 같은 요소에 좌우되기 때문에 열린 관의 끝에서 배가 정확히 형성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4.참고문헌
http://phylab.yonsei.ac.kr
[ Experiment 1-2 ]는 추의 질량과 진동수를 일정하게 하고 줄의 길이를 변화시켜 줄의 선밀도를 구하는 실험이었다. 줄의 선밀도를 구하기 위해 에서 유도된 공식을 사용했다. 이 실험 역시 오차가 0.6%밖에 안 되는 비교적 정밀한 실험이었다.
[ Experiment 2-1 ]은 음파의 주파수를 일정하게 하고 마이크를 이동시키며 파형의 진폭이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의 관의 길이를 측정하여 정상파의 파장을 계산하고, 궁극적으로 음속을 계산해보는 실험이었다. =800Hz일 때와 =1000Hz일 때 모두 한자리 수의 오차가 발생했다. 파형의 진폭이 최대가 되는 지점을 눈대중으로 측정했기 때문에 파장을 구하는 데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Experiment 2-2 ]는 진동수를 =800Hz로 고정시키고 n=5의 정상파가 형성되는 위치를 고정한 다음, 마이크를 움직이면서 파형의 진폭 변화를 관찰하여 정상파의 파장을 측정한 후 음속을 계산해보는 실험이었다. 파형의 진폭이 최대가 되는 지점이 세 군데 밖에 없어서 정상파의 파장 실험값을 2개 밖에 구할 수 없었다. 게다가 이 실험 또한 파형의 진폭이 최대가 되는 지점을 눈으로 어림잡아 측정했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관이 더 길었다면 정상파 파장의 값을 더 많이 구할 수 있어 오차가 줄어들었을 것이다. 또한 파동의 운동은 부분적으로 관의 모양이나 크기와 파동의 진동수 같은 요소에 좌우되기 때문에 열린 관의 끝에서 배가 정확히 형성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4.참고문헌
http://phylab.yonsei.ac.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