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실험] 그람 염색법과 세균의 그람양성여부 판별시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생물 실험] 그람 염색법과 세균의 그람양성여부 판별시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제목
Ⅱ. 서론
 ■ 그람양성균 gram-positive bacillus
 ■ 그람음성균 gram negative bacteria
 ■ 그람염색법
  ※그람염색의 제한점
Ⅲ. 실험 재료 및 방법
Ⅳ. 결과
Ⅴ. 토의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말 되어 있는면을 아래로 한 후에 윗면에 물을 흘려보냈어야 했는데, 실수로 균이 도말되어 있는 면을 앞으로 하고 물을 세게 틀어 세척하는 바람에 균들이 다 씻겨 내려가고 가고 말았다.
또한 S.aureus가 도말되어 있었던 슬라이드의 경우 앞서 열거했던 잘못된 염색의 이유중 하나인, 지나치게 강한 열처리가 바로 분홍빛을 띄게 된 원인이 아니었나 싶다. 애초 도말시에 균을 너무 많이 도말하는 바람에 균이 마르질 않았고, 급한 마음에 알콜 램프 위에서 계속 말리다 지나치게 열처리를 많이 하게 된 것 같다.
또한 동기들 사이에서도 같은 균을 염색한 슬라이드라도 현미경 관찰 시에 슬라이드에 관찰되는 균수가 다 달랐는데, 그 이유는 사람마다 실험과정에서 약간씩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균이 도말된 정도와 염색된 정도가 다 다르기 때문이라고 추측해본다. 세척과정에서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어떤 동기는 나처럼 많이 씻겨 내려가진 않았더라도 어느 정도 균이 씻겨 내려갈 수도 있고, 어떤 동기는 애초 도말 과정에서 너무 적은 양의 균을 도말했거나 염색약에 담구는 과정에서도 균의 소실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본다.
이번 실험에선 최종적으로 현미경으로 결과를 관찰할때 결과가 제대로 보이지 않아 매우 속상했다. 스스로는 실험과정을 잘 수행했다고 생각했지만 돌이켜 생각해보니 실험과정에서 실수한 부분들이 많았고, 이를 계기로 실험에 있어선 항상 더 신중하고 정확해야함을 깨닫게 되었다. 다음 시험에서는 이런 실수들을 하지 않고 더욱 신중하게 수행하도록 해야겠다.
Ⅵ. 참고문헌
1) 최신실험미생물학 , 미생물 및 면역학 분과회, 신일북스
2) 실험시 나눠준 프로토콜
3) http://blog.naver.com/loveda01?Redirect=Log&logNo=80038467325
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30924
5) http://100.naver.com/100.nhn?docid=25347
6) http://blog.naver.com/runa4ruby?Redirect=Log&logNo=80133851253
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7491
8) http://100.naver.com/100.nhn?docid=25350
9) http://blog.naver.com/youandkys?Redirect=Log&logNo=30119277214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1.06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1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