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공학 - 골재의 체가름 시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공학 - 골재의 체가름 시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험제목 : 골재의 체가름 시험
2. 시험목표
3. 시험기구 및 재료
4. 시험방법
5. 주의 및 참고사항
6. 시험 중 사진
7. 시험 결과값의 대한 그래프

<고찰>

본문내용

생각 없이
돌리면서 하다가 교수님께서 상하로 흔들라고 하셔서 그렇게 하였다. 상하로
하기 전엔 들어갈 것 같은 골재가 안 들어갔었고 상하로 흔드니까 그 전보다 훨씬
통과가 잘 되었다. 굵은 골재라서 어느 정도 무게가 있어서 변화 값을 잘 찾을
수가 있었다. 굵은 골재 시험을 다하고 잔골재 시험을 했던 조와 바꿔서 했는데
처음에 모르고 체 순서를 잘못해가지고 시간을 낭비하고 다시 처음부터 했다.
그 덕에 시간이 많이 촉박했다. 이거 또한 손으로 흔들었는데 책상에 잔골재들이
떨어져 있길래 밑에 종이를 깔고 흔들어 봤더니 체 사이사이에서 나오는 것이었다.
그래서 조금이나마 오차를 줄이기 위해 손으로 주워서 담기까지 했었다.
그리고 체 눈에 조금씩 껴 있길래 시멘트 칼로 긁어 줬는데도 100%가 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것 때문에 오차가 조금 발생 했다.
어느 정도 통과를 다시키고 저울에 잴 때 눈으로 보기엔 분명히 잔골재가 있는데
저울에 무게를 재니까 시험하기전 체 무게와 같이 나와서 당황했었다.
계속 영점을 맞추고 해도 그러니까 저울이 덜 민감해서 그런 것 같아서 그냥
무시하고 계산을 했다.
잔골재의 조립률은 2.3 ~ 3.1 , 굵은 골재 조립률은 6 ~ 8 사이가 딱 좋은데
실험값의 결과를 보면 잔골재는 2.8이 나왔고 굵은 골재는 4.92가 나왔다.
이로써 골재의 평균 입경이 클수록 조립률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입도의 변동형태의 판단이나 콘크리트 배합설계 등에는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는걸
알게 되었다. 그러나 조립률이 이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입도조정 후 다시
사용하는 게 좋다.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1.15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20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