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역학실험 - 수소기체를 통한 유동가시화 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체역학실험 - 수소기체를 통한 유동가시화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준다. 발생빈도는 pulse time duration조절나사로 조절된다.
fig.9.유동가시화 실험기구
table.1.각부명칭
3.2 실험방법
1)실험준비
*반드시 전원플러그를 뺀 상태에서 작업한다.
①펌프소켓과 플러그를 극성에 맞추어 연결한다.
②light소켓과플러그를 극성에 맞추어 연결한다.
③비커에 황산소다 250mg을 따뜻한 물에 용해시켜 준비한다.
④물탱크에 물을 절반정도 채운 후 용해된 황산소다를 넣고 수위가 wire의 약간 위까지 오도록 물을 채운다.
⑤platinum와이어를 쏠멘트등을 이용하여 깨끗이 닦은후 fork holder와 삼각대를 이용하여 실험장치를 설치한다.
⑥검정색 리드선의 crocodile clip을 fork holder 끝부분에 물린후 반대쪽 probe소켓의 검정색 부분에 연결한다.
⑦붉은섹 리드선의 crocodile clip을 metal weir support에 물린후 반대쪽 probe소켓의 붉은색 부분에 연결한다.
2)실험방법
①실험장치의 전원플러그를 연결하고 전원을 켠다.
②펌프 스피드 조절나사를 반시계방향으로 완전히 돌린 후 펌프스위치를 켠다. 펌프 스피드 조절나사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적절한 스피드가 되도록 맞추며 장치내 공기를 제거하고 황산소다 용액이 잘 섞이도록 한다. 만약 물이 흐르지 않으면 수위를 조절한다.
③platinum와이어가 수면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④bubble start 버튼을 누른 후 전류가 22mA 정도 될 때까지 전류량을 조절하며 수소기포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⑤전류량을 조절하며 수소기포의 크기가 변하는지 관찰한다.
⑥pulse time duration조절 나사들을 돌리며 적당한 수소기포가 발생되도록 조절한다.
⑦model mounting pillar에 다양한 모델을 바꿔가며 유동을 관찰하고 촬영한다.
4.실험결과 및 토의
*실험결과를 눈을 통해서는 확인하였으나 사진촬영을 통한 결과 확인이 힘들어 가시화를 나타낸 그림을 함께 첨부한다.
가) 모델.1
-이론적 고찰
원기둥의 형상을 두고 유동을 살펴보았을 때 이론적으로 알고 있던 형상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동의 흐름을 맞이하고 있는 부분의 정반대면에서 후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계속적으로 빠른 유동을 하는 수소기포를 통해서 박리점을 찾는것이 힘들었다.
나) 모델.2
-이론적 고찰
단면이 비행기의 날개형상을 하고 있는 모델이다. 더 새로운 형상을 알아 보기위해서 형상을 약간 비스듬하게 각도를 조절한 후에 유동을 관찰하였다. 모델 단면의 윗부분에서 역시 후류가 발생함을 보았으며 단면의 아랫부분은 별다른 장애 없이 순탄하게 미끄러지듯한 유동형상(층류)을 보았다.
다) 모델.3
-이론적 고찰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기둥이다. 유동형상을 살펴보면 단면의 가로면을 따라 생기는 후류가 단면을 모두 통과 후에 생기는 후류까지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5.참고문헌
http://blog.naver.com/iyh922/60014867135
유체역학 대광서림 윤준규 “7. 물체에 미치는 유체의 힘”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1.15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2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