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회
2회
3회
48g
1.437
1.439
1.437
1.438
1.34
128
1.442
1.443
1.443
1.443
1.69
146
1.455
1.456
1.454
1.455
2.54
* 중력가속도 (실험값 중 가장 작은 각도를 이용한다.)
측정값
오차(%)
1.5cm
10˚
146g
50cm
1.433
9.61
1.94
6. 분석 및 토의
photogate를 통한 실험에서 처음으로 사용해본 pendulum mode였다. Pulse모드로 측정할 때와는 달리 측정 주기가 Pulse모드보다도 길었기에 오차에 대해 염려를 많이 했던 실험이었는데 생각보다 오차가 별로 나지 않았다.
실 길이의 변화는 처음 실 길이를 길게 설정하여 줄였다가 늘리는 방식으로 실험을 했지만 를 올렸다 내렸다 하는데 있어서 처음 구슬이 매달린 실의 위치와 각도기의 중앙(90도 위치)과 맞지가 않아서 그 각도를 계산하여 를 조절해야 했으므로 실험 간에 정확한 설정에 시간이 걸렸었다.
질량 m을 금, 쇠, 은구슬로 바꿔가면서 실험을 하는데 있어서 주기 T값은 거의 일정하였다. 주기 이론값인 과 주기 이론값을 통해 g에 대해 정리한 중력 가속도 이론값인 식에 측정값을 대입하여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중력가속도의 수치인 g = 9.8(m/s²)와 비슷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었다.
* 이번 실험에서는 이런 결과들을 통해서 질량 m과 각도 가 변해도 T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갈릴레이의 ‘단진자의 등시성’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실험이었다.
7.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 두산백과사전 EnCyber &EnCyber.com
2회
3회
48g
1.437
1.439
1.437
1.438
1.34
128
1.442
1.443
1.443
1.443
1.69
146
1.455
1.456
1.454
1.455
2.54
* 중력가속도 (실험값 중 가장 작은 각도를 이용한다.)
측정값
오차(%)
1.5cm
10˚
146g
50cm
1.433
9.61
1.94
6. 분석 및 토의
photogate를 통한 실험에서 처음으로 사용해본 pendulum mode였다. Pulse모드로 측정할 때와는 달리 측정 주기가 Pulse모드보다도 길었기에 오차에 대해 염려를 많이 했던 실험이었는데 생각보다 오차가 별로 나지 않았다.
실 길이의 변화는 처음 실 길이를 길게 설정하여 줄였다가 늘리는 방식으로 실험을 했지만 를 올렸다 내렸다 하는데 있어서 처음 구슬이 매달린 실의 위치와 각도기의 중앙(90도 위치)과 맞지가 않아서 그 각도를 계산하여 를 조절해야 했으므로 실험 간에 정확한 설정에 시간이 걸렸었다.
질량 m을 금, 쇠, 은구슬로 바꿔가면서 실험을 하는데 있어서 주기 T값은 거의 일정하였다. 주기 이론값인 과 주기 이론값을 통해 g에 대해 정리한 중력 가속도 이론값인 식에 측정값을 대입하여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중력가속도의 수치인 g = 9.8(m/s²)와 비슷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었다.
* 이번 실험에서는 이런 결과들을 통해서 질량 m과 각도 가 변해도 T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갈릴레이의 ‘단진자의 등시성’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실험이었다.
7.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 두산백과사전 EnCyber &EnCyber.com
추천자료
Borda 진자에 의한 중력 가속도 측정
물리학 실험 중력 가속도 측정 데이터 포함
Borda진자에 의한 중력 가속도 측정 예비
[물리학실험][실험레포트] 단진자 운동
갈릴레오 실험과 경사면에서 중력 가속도 측정(결과)
중력 가속도 구하기
[운동법칙]운동법칙과 만유인력의 법칙, 운동법칙과 관성의 법칙, 운동법칙과 가속도의 법칙,...
[실험] (결과) 중력 가속도
일반물리학 실험 - 단진자 운동
[일반물리학 실험] 갈릴레오 실험과 경사면에서 중력 가속도 측정
[일반물리학 실험] 포사체 운동실험 : 중력을 받아 포물선 운동하는 포사체의 운동을 이해하...
[일반물리학 실험] 포사체 운동 : 중력을 받아 포물선 운동하는 포사체의 운동을 이해하고, ...
물리 예비-borda 진자를 이용한 중력重力 가속도 측정
갈릴레오 실험과 경사면에서 중력 가속도 측정 결과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