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유류는 대장과 소장이 만나는 지점에 있는 큰 맹장에 공생 세균을 키우고 있다.
② 효소의 최적 온도, salt 조건을 정확히 찾기 위해서는 실험계획을 어떻게 세우면 좋은가?
최적 온도, pH, 염의 조건을 구하기 위해 변화치를 설정한 변화량이 너무 컸다. 온도는 4, 40, 70 이렇게 몇십씩 차이가 났고, pH는 과감하게 3 또는 4단위씩이나 차이 났으며, 농도도 0, 5 10 20퍼센트 단위로 해서 그 중간치 값들을 남기는 gap이 생겼다. 대략적인 최적 온도나 pH나 salt의 범위를 알고 범위를 좁혀 30℃~50℃에서, 4pH~7pH에서 같은 실험을 다시 행하였다면 보다 정확한 최적온도와 pH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pH와 염의 농도 역시 마찬가지로 먼저 행한 실험에서 범위를 좁혀 반복하여 실험하였다면 정확한 효소의 최적 활성조건을 알 수 있었을 것이다.
③ 요오드-녹말 반응의 원리는 무엇인가?
요오드 용액은 녹말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녹말이 있으면 청색이 나타난다. 이 반응은 요오드 이온(I3-,I5-)이 아밀로오스의 코일 구조 안에 끼워져 들어가 전하가 요오드와 녹말 사이에서 이동하고, 결과물의 에너지 준위가 가시광선 영역의 흡수파장과 일치하게 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결과로 나오는 청색의 세기는 아밀로오스의 양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물, 녹말, 그리고 요오드로 이루어진 녹말 검출 용액은 산화-환원 적정에도 자주 이용된다. 산화제의 존재 하에 용액은 청색을 내고, 환원제가 존재한다면 I3-이온이 세 개의 요오드 이온으로 깨지며 녹말-요오드 복합체가 해체되기 때문에 푸른빛은 사라진다.
④ 효소의 특성은?
1. 단백질이다.
- 그렇기 때문에 온도, pH, 농도 변화 등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특히 단백질을 이루고 있는 기본인 아미노산이 pH나 농도 변화에 의해 형태가 바뀌기 때문에 ‘최적’의 온도, pH, 농도가 존재하는 것이다.
2. 기질 특이성이 있다.
-어느 특정 기질에만 촉매로서 작용한다.
3. 효소는 반응의 평형농도를 변화시킬 수는 없으나, 반응물을 더 빨리 평형농도에 도달하게 한다.
-즉 반응속도에만 영향을 주지, 반응물이나 생성물의 양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반응물과 생성물의 양은 효소가 있으나 없으나 똑같다.
4. 효소는 자유에너지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5. 효소는 반응 후에도 변하지 않고 계속 작용한다.
-기질과 반응할 때 효소는 기질과 합쳐져서 ‘효소-기질복합체’를 형성하고, 기질을 분해하든 합성하든 반응을 일으킨 뒤 다시 본 모습으로 돌아온다. 그러면 또 다른 기질과 합쳐져서 반응을 촉매할 수 있다.
5. REFERENCE
1)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양실험게시판핸드아웃
2) http://en.wikipedia.org/wiki/Amylase
3) http://en.wikipedia.org/wiki/Glucose
4) http://en.wikipedia.org/wiki/Starch
5) http://en.wikipedia.org/wiki/Cellulase
6) http://ko.wikipedia.org/wiki/글루코스
7) http://ko.wikipedia.org/wiki/녹말
8) Campbell & Reece. 2006. BIOLOGY. 8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 pp. 903~905
9) Hillis et al.. 2006. LIFE: THE SCIENCE OF BIOLOGY. 8e. W H Freeman & Co.p. 127, p. 1085
10) McGrawHill. 2004. 생화학 길라잡이. 3e. Trudy McKee 외 1명,p. 115~131
② 효소의 최적 온도, salt 조건을 정확히 찾기 위해서는 실험계획을 어떻게 세우면 좋은가?
최적 온도, pH, 염의 조건을 구하기 위해 변화치를 설정한 변화량이 너무 컸다. 온도는 4, 40, 70 이렇게 몇십씩 차이가 났고, pH는 과감하게 3 또는 4단위씩이나 차이 났으며, 농도도 0, 5 10 20퍼센트 단위로 해서 그 중간치 값들을 남기는 gap이 생겼다. 대략적인 최적 온도나 pH나 salt의 범위를 알고 범위를 좁혀 30℃~50℃에서, 4pH~7pH에서 같은 실험을 다시 행하였다면 보다 정확한 최적온도와 pH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pH와 염의 농도 역시 마찬가지로 먼저 행한 실험에서 범위를 좁혀 반복하여 실험하였다면 정확한 효소의 최적 활성조건을 알 수 있었을 것이다.
③ 요오드-녹말 반응의 원리는 무엇인가?
요오드 용액은 녹말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녹말이 있으면 청색이 나타난다. 이 반응은 요오드 이온(I3-,I5-)이 아밀로오스의 코일 구조 안에 끼워져 들어가 전하가 요오드와 녹말 사이에서 이동하고, 결과물의 에너지 준위가 가시광선 영역의 흡수파장과 일치하게 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결과로 나오는 청색의 세기는 아밀로오스의 양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물, 녹말, 그리고 요오드로 이루어진 녹말 검출 용액은 산화-환원 적정에도 자주 이용된다. 산화제의 존재 하에 용액은 청색을 내고, 환원제가 존재한다면 I3-이온이 세 개의 요오드 이온으로 깨지며 녹말-요오드 복합체가 해체되기 때문에 푸른빛은 사라진다.
④ 효소의 특성은?
1. 단백질이다.
- 그렇기 때문에 온도, pH, 농도 변화 등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특히 단백질을 이루고 있는 기본인 아미노산이 pH나 농도 변화에 의해 형태가 바뀌기 때문에 ‘최적’의 온도, pH, 농도가 존재하는 것이다.
2. 기질 특이성이 있다.
-어느 특정 기질에만 촉매로서 작용한다.
3. 효소는 반응의 평형농도를 변화시킬 수는 없으나, 반응물을 더 빨리 평형농도에 도달하게 한다.
-즉 반응속도에만 영향을 주지, 반응물이나 생성물의 양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반응물과 생성물의 양은 효소가 있으나 없으나 똑같다.
4. 효소는 자유에너지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5. 효소는 반응 후에도 변하지 않고 계속 작용한다.
-기질과 반응할 때 효소는 기질과 합쳐져서 ‘효소-기질복합체’를 형성하고, 기질을 분해하든 합성하든 반응을 일으킨 뒤 다시 본 모습으로 돌아온다. 그러면 또 다른 기질과 합쳐져서 반응을 촉매할 수 있다.
5. REFERENCE
1)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양실험게시판핸드아웃
2) http://en.wikipedia.org/wiki/Amylase
3) http://en.wikipedia.org/wiki/Glucose
4) http://en.wikipedia.org/wiki/Starch
5) http://en.wikipedia.org/wiki/Cellulase
6) http://ko.wikipedia.org/wiki/글루코스
7) http://ko.wikipedia.org/wiki/녹말
8) Campbell & Reece. 2006. BIOLOGY. 8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 pp. 903~905
9) Hillis et al.. 2006. LIFE: THE SCIENCE OF BIOLOGY. 8e. W H Freeman & Co.p. 127, p. 1085
10) McGrawHill. 2004. 생화학 길라잡이. 3e. Trudy McKee 외 1명,p. 115~131
추천자료
관광을 통한 지역 활성화 운동에 관한 고찰
한국 노인교육의 현황분석 및 교육활성화 방안
한국의 전자무역과 활성화 방안
[노인자원봉사] 노인자원봉사의 활성화방안
생체유기화학(신체조절물질구성 및 미량생리활성물질) 1
[흡착성재료] 활성탄에 대해서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중요성과 활성화 방안을 서술
가족봉사활동의 현황과 가족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가족봉사활동]
[해양스포츠] 해양스포츠의 활성화 방안 ; 해양스포츠의 종류와 운영사례 분석
재례시장 운영 및 활성화방안(한글파일)
노인생활체육 참여실태와 노인생활체육 활성화방안 조사
보고서)지역축제 활성화과정에서 지역주민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와 또 그들을 어떻게 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