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사성어 사자성어 모음
본문내용
맹자의 어머니가 베틀에 건 날실을 끊었다는 뜻으로, 학문에 정진할 것을 가르침
69. 문경지교(刎頸之交): 刎 목찌를 문, 頸 목 경, 之 갈 지, 交 사귈 교
목을 베어줄 수 있을 정도로 절친한 사이, 또는 그런 벗
70. 반근착절(盤根錯節): 盤 쟁반 반, 根 뿌리 근, 錯 섞일 착, 節 마디 절
굽은 뿌리와 엉클어진 마디라는 뜻으로, 뒤얽혀 처리하기 어려운 일을 의미.
71. 백년하청(百年河淸): 百 일백 백, 年 해 년, 河 물 하, 淸 맑을 청
100년을 기다려도 황하의 흐린 물은 맑아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무리 오래 기다 려도 뜻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일이나, 믿지 못할 일을 언제까지나 기다린다는 의미.
72. 백면서생(白面書生): 白 흰 백, 面 얼굴 면, 書 글 서, 生 날 생
오직 글만 읽고 세상사에 경험이 없는 사람
73. 백미(白眉): 白 흰 백, 眉 눈썹 미. 무리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
74. 백중지세(伯仲之勢): 伯 맏 백, 仲 버금 중, 之 갈 지, 勢 기세 세)
형제의 우열을 정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서로 비슷한 형세를 가리킴
75. 비육지탄(脾肉之嘆): 脾 넓적다리 비, 肉 고기 육, 之 갈 지, 嘆 탄식할 탄
넓적다리에 살만 찌는 것, 즉 성공하지 못하고 헛되이 세월만 보냄을 한탄함.
76. 선즉제인(先則制人): 先 먼저 서 則 곧 즉, 制 다스릴 제, 人 사람 인
선수를 쳐서 상대를 제압한다는 의미
77. 송양지인(宋襄之仁): 宋 송나라 송, 襄 도울 양, 之 어조사 지, 仁 어질 인
송나라 양공의 인정, 쓸데없는 인정
78. 수어지교(水魚之交): 水 물 수, 魚 고기 어, 之 어조사 지, 交 사귈 교
물과 고기의 사이처럼 친한 사귐
79. 수적천석(水滴穿石): 水 물 수, 滴 물방울 적, 穿 뚫을 천, 石 돌 석
떨어지는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
80. 수주대토(守株待兎): 守 지킬 수, 株 그루 주, 待 기다릴 대, 兎 토끼 토
어리석게 한 가지만 기다려 융통성이 없음. 노력없이 성공을 바람.
81. 순망치한(脣亡齒寒): 脣 입술 순, 亡 잃을 망, 齒 이 치, 寒 찰 한
입술을 잃으면 이가 시리다. 즉, 이웃나라가 망하면 자기 나라도 온전하기 어렵다 는 뜻이 있으며,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나타낸다.
82. 술이부작(述而不作): 述 지을 술, 而 말 이를 이, 不 아니 불, 作 지을 작
참된 창작은 옛것을 토대로 자연스럽게 태어난다\'는 공자의 말씀
83. 역자교지(易子敎之): 易 바꿀 역, 子 아들 자, 敎 가르칠 교, 之 갈 지
바꾸어 가르친다는 뜻으로, 부모가 자기 자식을 가르치기는 어렵다.
84. 연목구어(緣木求魚): 緣 인연 연, 木 나무 목, 求 구할 구, 魚 고기 어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함. 불가능한 일을 억지로 하려 함.
85. 오리무중(五里霧中): 五 다섯 오, 里 마을 리, 霧 안개 무, 中 가운데 중
사방 5리가 온통 안개 속이라는 뜻으로, 즉 앞길을 예측할 수 없음.
86. 오월동주(吳越同舟): 吳 오나라 오, 越 월나라 월, 同 한가지 동, 舟 배 주
원수인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다는 뜻으로 서로 미워해도 위험에 처하면 돕게 된다는 말이다.
87. 와각지쟁(蝸角之爭): 蝸 달팽이 와, 角 뿔 각, 之 갈 지, 爭 다툴 쟁
달팽이 뿔 위에서의 싸움, 즉 사소하고 무의미한 싸움.
88. 와신상담(臥薪嘗膽): 臥 누을 와, 薪 섶나무 신, 嘗 맛볼 상, 膽 쓸개 담
나무 위에서 잠을 자고 쓸개를 핥는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기 위해 고난을 참고 견딤.
89. 자가당착(自家撞着): 自 스스로 자, 家 집 가, 撞 칠 당, 着 붙을 착
자기가 한 말이나 글의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뜻으로, 특히 말과 행 동이 앞뒤가 맞지 않을 때를 말함.
90. 조삼모사(朝三暮四): 朝 아침 조, 三 석 삼, 暮 저물 모, 四 넉 사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으로, 당장 눈앞의 차이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르는 경우를 빗대는 말.
91. 주마가편(走馬加鞭): 走 달릴 주, 馬 말 마, 加 더할 가, 鞭 채찍 편
달리는 말에 계속 채찍질을 한다는 뜻으로, 최선을 다하여 열심히 하고 있는 사람을 더욱 부추기거나 몰아친다는 말임.
92. 중과부적(衆寡不敵): 衆 무리 중, 寡 적을 과, 不 아니 불, 敵 적 적
적은 숫자로는 많은 숫자를 대적하지 못한다.
93. 천고마비(天高馬肥): 天 하늘 천, 高 높은 고, 馬 말 마, 肥 살찔 비
하늘은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가을을 가리킴.
94. 청출어람(靑出於藍): 靑 푸를 청, 出 날 출, 於 어조사 어, 藍 쪽 람
쪽빛(남색)에서 나온 푸른빛이 쪽빛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 보다 더 뛰어남을 비유한 말이다.
95. 토사구팽(兎死狗烹): 兎 토끼 토, 死 죽을 사, 狗 개 구, 烹 삶을 팽
토끼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아 먹힌다는 뜻으로, 쓸모가 있을 때 는 긴요하게 쓰이지만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처럼 버려진다는 말.
96. 파죽지세(破竹之勢): 破 깨뜨릴 파, 竹 대나무 죽, 之 갈 지, 勢 기세 세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으로, 거칠 것 없이 맹렬한 기세를 말한다.
97. 필부지용(匹夫之勇): 匹 필 필, 夫 지아비 부, 之 갈 지, 勇 날쌜 용
소인이 깊은 생각 없이 혈기만 믿고 대드는 용기. 즉 앞뒤 분별없이 마구 행동하는 것.
98. 호가호위(狐假虎威): 狐 여우 호, 假 거짓 가, 虎 범 호, 威 위엄 위
여우가 호랑이의 힘을 빌어 위세를 부린다는 뜻으로 남의 권세를 업고 위세를 부림.
99. 호사다마(好事多魔): 好 좋을 호, 事 일 사, 多 많을 다 魔 마귀 마
좋은 일에는 마귀가 많다는 뜻으로, 좋은 일이 있을 때는 방해가 되는 일이 많다는 말임.
100. 호접지몽(胡蝶之夢): 胡 턱밑살 호, 蝶 나비 접, 之 갈 지, 夢 꿈 몽
나비가 된 꿈이란 뜻으로, 나와 자연이 한 몸이 된 물아일체의 경지.
101. 화룡점정(畵龍點睛): 畵 그림 화, 龍 용 룡, 點 점 점, 睛 눈동자 정
용을 그릴
69. 문경지교(刎頸之交): 刎 목찌를 문, 頸 목 경, 之 갈 지, 交 사귈 교
목을 베어줄 수 있을 정도로 절친한 사이, 또는 그런 벗
70. 반근착절(盤根錯節): 盤 쟁반 반, 根 뿌리 근, 錯 섞일 착, 節 마디 절
굽은 뿌리와 엉클어진 마디라는 뜻으로, 뒤얽혀 처리하기 어려운 일을 의미.
71. 백년하청(百年河淸): 百 일백 백, 年 해 년, 河 물 하, 淸 맑을 청
100년을 기다려도 황하의 흐린 물은 맑아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무리 오래 기다 려도 뜻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일이나, 믿지 못할 일을 언제까지나 기다린다는 의미.
72. 백면서생(白面書生): 白 흰 백, 面 얼굴 면, 書 글 서, 生 날 생
오직 글만 읽고 세상사에 경험이 없는 사람
73. 백미(白眉): 白 흰 백, 眉 눈썹 미. 무리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
74. 백중지세(伯仲之勢): 伯 맏 백, 仲 버금 중, 之 갈 지, 勢 기세 세)
형제의 우열을 정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서로 비슷한 형세를 가리킴
75. 비육지탄(脾肉之嘆): 脾 넓적다리 비, 肉 고기 육, 之 갈 지, 嘆 탄식할 탄
넓적다리에 살만 찌는 것, 즉 성공하지 못하고 헛되이 세월만 보냄을 한탄함.
76. 선즉제인(先則制人): 先 먼저 서 則 곧 즉, 制 다스릴 제, 人 사람 인
선수를 쳐서 상대를 제압한다는 의미
77. 송양지인(宋襄之仁): 宋 송나라 송, 襄 도울 양, 之 어조사 지, 仁 어질 인
송나라 양공의 인정, 쓸데없는 인정
78. 수어지교(水魚之交): 水 물 수, 魚 고기 어, 之 어조사 지, 交 사귈 교
물과 고기의 사이처럼 친한 사귐
79. 수적천석(水滴穿石): 水 물 수, 滴 물방울 적, 穿 뚫을 천, 石 돌 석
떨어지는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
80. 수주대토(守株待兎): 守 지킬 수, 株 그루 주, 待 기다릴 대, 兎 토끼 토
어리석게 한 가지만 기다려 융통성이 없음. 노력없이 성공을 바람.
81. 순망치한(脣亡齒寒): 脣 입술 순, 亡 잃을 망, 齒 이 치, 寒 찰 한
입술을 잃으면 이가 시리다. 즉, 이웃나라가 망하면 자기 나라도 온전하기 어렵다 는 뜻이 있으며,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나타낸다.
82. 술이부작(述而不作): 述 지을 술, 而 말 이를 이, 不 아니 불, 作 지을 작
참된 창작은 옛것을 토대로 자연스럽게 태어난다\'는 공자의 말씀
83. 역자교지(易子敎之): 易 바꿀 역, 子 아들 자, 敎 가르칠 교, 之 갈 지
바꾸어 가르친다는 뜻으로, 부모가 자기 자식을 가르치기는 어렵다.
84. 연목구어(緣木求魚): 緣 인연 연, 木 나무 목, 求 구할 구, 魚 고기 어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함. 불가능한 일을 억지로 하려 함.
85. 오리무중(五里霧中): 五 다섯 오, 里 마을 리, 霧 안개 무, 中 가운데 중
사방 5리가 온통 안개 속이라는 뜻으로, 즉 앞길을 예측할 수 없음.
86. 오월동주(吳越同舟): 吳 오나라 오, 越 월나라 월, 同 한가지 동, 舟 배 주
원수인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다는 뜻으로 서로 미워해도 위험에 처하면 돕게 된다는 말이다.
87. 와각지쟁(蝸角之爭): 蝸 달팽이 와, 角 뿔 각, 之 갈 지, 爭 다툴 쟁
달팽이 뿔 위에서의 싸움, 즉 사소하고 무의미한 싸움.
88. 와신상담(臥薪嘗膽): 臥 누을 와, 薪 섶나무 신, 嘗 맛볼 상, 膽 쓸개 담
나무 위에서 잠을 자고 쓸개를 핥는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기 위해 고난을 참고 견딤.
89. 자가당착(自家撞着): 自 스스로 자, 家 집 가, 撞 칠 당, 着 붙을 착
자기가 한 말이나 글의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뜻으로, 특히 말과 행 동이 앞뒤가 맞지 않을 때를 말함.
90. 조삼모사(朝三暮四): 朝 아침 조, 三 석 삼, 暮 저물 모, 四 넉 사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으로, 당장 눈앞의 차이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르는 경우를 빗대는 말.
91. 주마가편(走馬加鞭): 走 달릴 주, 馬 말 마, 加 더할 가, 鞭 채찍 편
달리는 말에 계속 채찍질을 한다는 뜻으로, 최선을 다하여 열심히 하고 있는 사람을 더욱 부추기거나 몰아친다는 말임.
92. 중과부적(衆寡不敵): 衆 무리 중, 寡 적을 과, 不 아니 불, 敵 적 적
적은 숫자로는 많은 숫자를 대적하지 못한다.
93. 천고마비(天高馬肥): 天 하늘 천, 高 높은 고, 馬 말 마, 肥 살찔 비
하늘은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가을을 가리킴.
94. 청출어람(靑出於藍): 靑 푸를 청, 出 날 출, 於 어조사 어, 藍 쪽 람
쪽빛(남색)에서 나온 푸른빛이 쪽빛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 보다 더 뛰어남을 비유한 말이다.
95. 토사구팽(兎死狗烹): 兎 토끼 토, 死 죽을 사, 狗 개 구, 烹 삶을 팽
토끼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아 먹힌다는 뜻으로, 쓸모가 있을 때 는 긴요하게 쓰이지만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처럼 버려진다는 말.
96. 파죽지세(破竹之勢): 破 깨뜨릴 파, 竹 대나무 죽, 之 갈 지, 勢 기세 세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으로, 거칠 것 없이 맹렬한 기세를 말한다.
97. 필부지용(匹夫之勇): 匹 필 필, 夫 지아비 부, 之 갈 지, 勇 날쌜 용
소인이 깊은 생각 없이 혈기만 믿고 대드는 용기. 즉 앞뒤 분별없이 마구 행동하는 것.
98. 호가호위(狐假虎威): 狐 여우 호, 假 거짓 가, 虎 범 호, 威 위엄 위
여우가 호랑이의 힘을 빌어 위세를 부린다는 뜻으로 남의 권세를 업고 위세를 부림.
99. 호사다마(好事多魔): 好 좋을 호, 事 일 사, 多 많을 다 魔 마귀 마
좋은 일에는 마귀가 많다는 뜻으로, 좋은 일이 있을 때는 방해가 되는 일이 많다는 말임.
100. 호접지몽(胡蝶之夢): 胡 턱밑살 호, 蝶 나비 접, 之 갈 지, 夢 꿈 몽
나비가 된 꿈이란 뜻으로, 나와 자연이 한 몸이 된 물아일체의 경지.
101. 화룡점정(畵龍點睛): 畵 그림 화, 龍 용 룡, 點 점 점, 睛 눈동자 정
용을 그릴
추천자료
독서교육 관련자료 모음
독후감 27가지 모음, 가시고기,개미,괭이부리말 아이들, 국화꽃 향기, 꺼삐딴리, 나의 라임 ...
독후감 21개 모음
CATIA 명령어 모음
수능영어 반의어 모음
부실기업 사례 모음입니다.
리더십 관련도서 독후감모음
마케팅관련서 독후감 모음
자기소개서 여러개 모음
일본여행 필수회화 모음
명시와 영시 모음집
반성문 7종 모음 - 음주운전반성문, 교통사고, 폭행 및 폭력(성인), 폭행 및 폭력(미성년자),...
아름다운 명언과 명시모음집 Beautiful Cut-up Golden Saying and Poem that change the lif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