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2학기 생물학 2 보고서 - 외국의 사례에서 찾은 우리나라의 식물공장의 미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13 2학기 생물학 2 보고서 - 외국의 사례에서 찾은 우리나라의 식물공장의 미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요약문


2. 서론
 2.1. 식물공장의 탄생 배경
 2.2. 식물공장의 개념
 2.3. 식물공장의 역사


3. 본론
 3.1. 식물공장의 장단점
  3.1.1. 식물공장의 장점
   3.1.1.1. 경제적 관점에서의 장점
   3.1.1.2. 환경적 관점에서의 장점
  3.1.2. 식물공장의 단점
   3.1.2.1. 환경적 관점에서의 단점
   3.1.2.2. 경제 및 사회적 관점에서의 단점
 3.2. 식물공장의 가능성 - 외국의 식물공장의 현황


4. 결론


5. 발전방향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구를 위한 식물공장의 건립을 제안한다. 미래를 대비해 연구를 하지 않을 수는 없으나 식량의 대량생산으로 인해 환경오염과 지구 온난화가 가속되고, 농업이 굶주리는 산업이 되는 것을 우선적으로 막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판매를 위한 식물공장이 아닌 꾸준한 연구를 위한 식물공장, 즉 위기를 대비한 안전책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식량난의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도록 문제를 직면해야 한다. 식량난의 근원적인 문제, 우리 농업의 고질화 된 문제들을 해결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장기적으로 농업인구를 늘이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양산되는 현재의 체제를 개선하여 식품의 유실을 막고 지역 먹거리 순환체제를 튼튼히 하는 것이 식물공장보다 먼저 직면해야하는 문제일 것이다.
4. 결론
미래의 식량공급 약화 문제를 해결하는 신기술 미래농업이라 지칭하는 식물공장은 현재 많은 나라에서 연구 중에 있고, 몇몇 나라들에 대해서는 이미 실용화가 되어있는 상태이다. 우리나라도 이 유행을 따라가 식물공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상용화 시키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이미 몇몇 기업에 대해서는 소규모 식물농장을 지어 직접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식물공장은 장점 뿐만 아니라 단점 또한 많이 갖고 있고, 그 둘 사이에서 타협점을 찾기 위하여 우리나라보다 일찍이 수용을 한 여러 나라들의 식물공장의 현황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든 식물공장들이 큰 성과를 내지 못하였음을, 하지만 꾸준한 발전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속에서 우리나라의 식물공장의 미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막대한 비용을 식물공장에 투자하여 농업을 외면한 채 다른 나라의 식물공장의 뒤를 밟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생산과 판매가 아닌 단지 연구를 위한 식량공장을 세우면 적은 비용을 식물공장에 투자하게 될 것이고, 이를 이용해 식물공장에 관한 기술들을 연구하고 남은 비용으로 농업의 문제들을 직면하여 해결하는데 집중을 해야 한다.
5. 발전방향
즉,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현재 식물공장은 장점도 많고, 단점도 많은 매우 이슈화가 될 만한 주제이다. 그러나 아직 식물공장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식물공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보다 무겁게 느껴진다. 물론, 식물공장은 앞으로 식량난을 해결하는 데 일조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설비투자비용이 어마어마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에도 크나큰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손실을 메꾸고 이익을 창출할 정도의 경제성은 식물공장이 아직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식물공장을 연구하는 규모를 더욱 성장시킬 때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식물공장 연구에 들어가는 투자비용을 늘리기보다는, LED의 제작비용을 감소하는 등의 산업적인 기술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식물공장에만 투자하기보다는, 좀 더 근원적인 농업에 대해 투자함으로써 농업인구에게 지원을 하는 동시에, 이로 인한 생산량 증가를 통해 식량난도 대비하는 두 마리에 토끼를 잡는 것을 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즉, 식물공장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는 규모를 유지하거나 축소하고, 이보다 더 근원적인 원인에 대한 해결책에 투자하는 것이 더 나은 길이라고 생각한다. 산업적인 기술개발이 선행되어 설비비용이 감소되고,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줄이는 등 부정적인 영향은 최소화하고, 식물공장으로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을 때야말로 식물공장에 규모를 급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현재는 시기상조라고 생각한다.
6. 참고문헌
1) 강희찬.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업의 진화” SERI 경제포커스. 삼성경제연구소. 2009.
2) 김정호. “일본의 식물공장 동향과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소. 2010.
3) 강승원, 백준필, 서상규, 김선형, 박권우, 이용범. “식물공장” 월드 사이언스. 2008.
4) 박종갑, “Plant Factoru-식물공장” ubsmart. 2013/8/26. http://blog.naver.com/ubsmart?Redirect =Log&logNo=90179866733. 2013/11/28.
5) 전희식, “식물공장은 안된다” 녹색당. http://kgreens.org/72651. 2013/11/28.
6) 이민연, \"식물공장, 농업과 공업의 기막힌 만남\" Global window. http://www.globalwindow.org/gw /overmarket/GWOMAL020M.html?ARTICLE_ID=2159659&BBS_ID=10. 2013/11/28.
  • 가격9,66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2.01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7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