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촌 김성수 (仁村 金性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촌 김성수 (仁村 金性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김성수[金性洙]

Ⅱ. 본론
ⅰ. 제1기(1915~1923년)
ⅱ. 제2기(1924~1935년)
ⅲ. 제3기(1936~1945년)
ⅳ. 제4기(1945~1948년)
ⅴ. 제5기(1948~1955년)

Ⅲ. 결론

본문내용

==========================================================================
동아일보는 이길용 기자와 관련자들을 쫓자낸 뒤 다음해 6월 2일 속간과 함께 “지면을 쇄신하고 대일본제국의 언론기관으로서 공정한 사명을 다하여 조선 통치의 익찬을 다하려 오려니...”하고 스스로 ‘일본 언론’임을 서약하였습니다.
이렇듯 일제에 충성을 다하였다는 점에서 친일파라고 하는 평가가 내려집니다.
또한 해방 후 한국민주당의 활동과 노선을 둘러싸고도 평가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친일파 청산을 거부하고, 토지문제의 해결에 반대하며 미군정과 이승만과 밀착하고 반탁운동에 편승하여 좌우익의 심화에 기여하였으며 단독정부 수립에 참여함으로써 민족의 ‘분단’에도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하지만 김성수와 한국민주당이 미군정과 연합하여 초기 국가의 건설에 기여하였고 반탁운동을 통해 남한 사회가 공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단정부’로서의 모습이나마 남한 사회가 ‘자유민주주의 사회’로 유지되는데 기여할수 있었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이렇듯 김성수에 대한 평가가 어느 입장에서 어느 위주로 보느냐에 따라서 평가가 달라지지만 제가 보기에는 김성수는 처음 민족주의자의 입장에서 친일파의 입장으로 변절된 자로써 자신의 의지를 가지고 행동한 친일파이며 해방 후 한국민주당을 설립하여 활동하게 된 계기도 자신의 친일행위를 약화시키기 위해서 이승만에게 협조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참고+
-http://www.hani.co.kr/section-special/200103press.html (한겨례)
-http://www.inchonmemorial.co.kr/incho_think1.html (인촌기념회)
-http://blog.naver.com/cielck?Redirect=Log&logNo=80039959936
-http://cafe.naver.com/northroot.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550
-http://mybox.happycampus.com/j2308/2237642/
- 인촌기념회, <<인촌 김성수>> ,1976, pp.
- 동아 일보사, <<인촌 김성수- 사상과 일화>>, 1987, pp.
- 반민족문제연구소, <<친일파 99인>>, 1993.04.01,pp.
- 일조각<<문화민족주의자 김성수>>, 1998.10.09, pp.
  • 가격1,1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2.02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