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당뇨성 케톤산증(Dibetic keton acidosis)의 병태생리
2.당뇨성케톤산증의 원인 및 진단
(1) 당뇨성 케톤산증의 원인
(2) 당뇨성 케톤산증의 진단
(3) 당뇨성 케톤산증의 증상
3.당뇨성케톤산증의 치료
(1) IV fluids
(2) insulin
(3) 전해질
참고문헌
2.당뇨성케톤산증의 원인 및 진단
(1) 당뇨성 케톤산증의 원인
(2) 당뇨성 케톤산증의 진단
(3) 당뇨성 케톤산증의 증상
3.당뇨성케톤산증의 치료
(1) IV fluids
(2) insulin
(3) 전해질
참고문헌
본문내용
떨어졌을 때 나타나는 저혈당혈증과 뇌부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일부 성인 환자나 어린이에게는 저혈당혈증을 막기 위해 5% 포도당 주사액보다 10% 포도당 주사액이 유용할 수도 있다. 수분 보충은 신장이나 심근의 기능과 중심 정맥압에 따라 적정화되어야 한다.
- (2) insulin
10 units RI IV (초기용량은 임상의에 따라서 다르나 insulin 1unit당 30mg/dL의 혈당을 낮춘다고 계산하고 300까지 낮출 것을 목표로 해서 투여하도록 한다.
이후 시간당 5~10U 지속투여하고, 혈당이 300mg/dL 이하가 되면 0.45% 염화 나트륨 주사액에 5% 포도당 주사액을 섞은 혼합 용액으로 바꾸고 인슐린 용량을 2~4U/hr로 낮춘다.
혈당은 300mg/dL 이하가 될 때까지 매 시간마다, 전해질 검사는 2~4시간마다 시행한다(중증의 경우 잦은 sampling과 혈압의 지속적 측정이 필요하므로 A-line을 삽입한다.)인슐린 요법에서 중요한 점은 산증보다 고혈당증이 먼저 교정되기 때문에 산증과 케톤혈증의 교정이 중요하다. (동맥 pH > 7.30, 혈장 혈당 농도 < 250 mg/dL, 혈청 중탄산염 > 15 mEq/L, 케톤혈증이 없는 상태). 또한 뇌부종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혈당 농도는 처음 24시간 동안은 약 150~250 mg/dL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 (3) 전해질
* potassium
DKA에서 전체적인 칼륨부족에도 불구하고 인슐린 부족,근육의 과긴장, 산혈증으로 인해 고칼륨혈증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칼륨보충시에는 urine output이 유지되는지 확인을 해야하는 것이 중요하다.
칼륨의 농도는 처음에는 매 시간 monitor하고 저칼륨혈증이 심장의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2-4시간마다 관찰한다. 칼륨은 20~60mEq/L로 수액에 보충하고 10~40 mEq/hr로 투여한다. 10 mEq/hr보다 높은 속도로 투여할 때는 심전도를 관찰하면서 투여해야 한다.
* 인산염(phosphate)
인산염(phosphate)의 경우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다수의 환자들이 이화작용과 신장배설에 의해 인산이 배설되므로 저인산혈증이 발생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인슐린을 투여함으로써 인산이 세포내로 유입되어 더욱더 악화될 수 있다. 인의 보충은 일반적으로 권장되고 있지는 않으나 저인산염혈증에 의해 심과 골격근 쇠약, 호흡억제가 우려되는 상황, 즉 심장이상, 빈혈, 호흡억제 또는 혈청 인산염 농도가 1.0mg/dl미만일 경우에는 인산염 투여를 고려해야 합니다.
* bicarbonate
중탄산염의 경우는 1차적으로 고칼륨혈증의 교정에 사용한다. 보통 혈액의 pH는 2차적인 것으로 pH가 7.1이하일 경우 적응이 되나 의견이 다양하다.
참고문헌
Practical emergency medicine 4th(2011) 군자출판사
내과전문응급처치학 전국응급구조과교수협의회 (2009) 한미의학
보건의료인을 위한 병태생리학 Barbara E. Gould 저 |최명애, 이경숙, 전재심 역(2011)
계축문화사
- (2) insulin
10 units RI IV (초기용량은 임상의에 따라서 다르나 insulin 1unit당 30mg/dL의 혈당을 낮춘다고 계산하고 300까지 낮출 것을 목표로 해서 투여하도록 한다.
이후 시간당 5~10U 지속투여하고, 혈당이 300mg/dL 이하가 되면 0.45% 염화 나트륨 주사액에 5% 포도당 주사액을 섞은 혼합 용액으로 바꾸고 인슐린 용량을 2~4U/hr로 낮춘다.
혈당은 300mg/dL 이하가 될 때까지 매 시간마다, 전해질 검사는 2~4시간마다 시행한다(중증의 경우 잦은 sampling과 혈압의 지속적 측정이 필요하므로 A-line을 삽입한다.)인슐린 요법에서 중요한 점은 산증보다 고혈당증이 먼저 교정되기 때문에 산증과 케톤혈증의 교정이 중요하다. (동맥 pH > 7.30, 혈장 혈당 농도 < 250 mg/dL, 혈청 중탄산염 > 15 mEq/L, 케톤혈증이 없는 상태). 또한 뇌부종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혈당 농도는 처음 24시간 동안은 약 150~250 mg/dL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 (3) 전해질
* potassium
DKA에서 전체적인 칼륨부족에도 불구하고 인슐린 부족,근육의 과긴장, 산혈증으로 인해 고칼륨혈증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칼륨보충시에는 urine output이 유지되는지 확인을 해야하는 것이 중요하다.
칼륨의 농도는 처음에는 매 시간 monitor하고 저칼륨혈증이 심장의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2-4시간마다 관찰한다. 칼륨은 20~60mEq/L로 수액에 보충하고 10~40 mEq/hr로 투여한다. 10 mEq/hr보다 높은 속도로 투여할 때는 심전도를 관찰하면서 투여해야 한다.
* 인산염(phosphate)
인산염(phosphate)의 경우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다수의 환자들이 이화작용과 신장배설에 의해 인산이 배설되므로 저인산혈증이 발생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인슐린을 투여함으로써 인산이 세포내로 유입되어 더욱더 악화될 수 있다. 인의 보충은 일반적으로 권장되고 있지는 않으나 저인산염혈증에 의해 심과 골격근 쇠약, 호흡억제가 우려되는 상황, 즉 심장이상, 빈혈, 호흡억제 또는 혈청 인산염 농도가 1.0mg/dl미만일 경우에는 인산염 투여를 고려해야 합니다.
* bicarbonate
중탄산염의 경우는 1차적으로 고칼륨혈증의 교정에 사용한다. 보통 혈액의 pH는 2차적인 것으로 pH가 7.1이하일 경우 적응이 되나 의견이 다양하다.
참고문헌
Practical emergency medicine 4th(2011) 군자출판사
내과전문응급처치학 전국응급구조과교수협의회 (2009) 한미의학
보건의료인을 위한 병태생리학 Barbara E. Gould 저 |최명애, 이경숙, 전재심 역(2011)
계축문화사
키워드
추천자료
당뇨병성 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DKA)
당뇨병성 케톤산증과 고혈당 고삼투압성 혼수의 치료(Diagnosis and treatment of diabetic k...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케이스 스터디
당뇨성 케톤산증 Diabetic ketoacidosis DKA
DKA- 당뇨병성 케톤산증
PICU- DKA(당뇨병성 케톤산증)
당뇨병성 케톤산증 DKA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ER 응급실
당뇨병성 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성인간호학][DKA][당뇨성케톤산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Diabetic Ketoacido...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