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5
[Na+]+[Cl-]=1.0-0.02
=0.98mol
NaCl(-) 0.98mol/ℓ
0.98mol/ℓ*58.44g/mol=57.2712
0.01M => 57.2712g/ℓ* 1ℓ/1000ml*100ml =5.73g
4*10-3M => 57.2712g/ℓ* 1ℓ/1000ml*106.67ml =6.11g
10-3M => 57.2712g/ℓ* 1ℓ/1000ml*109.99ml =6.30g
4*10-4M => 57.2712g/ℓ* 1ℓ/1000ml*110.65 =6.34g
10-4M => 57.2712g/ℓ* 1ℓ/1000ml*110.94 =6.35g
이온강도 1.0구하는 식
M=1/2{[H+](-1)2+[Cl-](-1)2+[Na+](+1)2+[Cl-](-1)2}=1.0
1/2{[0.01](+1)2+[0.01](-1)2+[Na+]+[Cl-]}=1.0
[Na+]+[Cl-]=2.0-0.02
=1.98mol
NaCl(-) 1.98mol/ℓ
1.98mol/ℓ*58.44g/mol=115.7112
0.01M => 115.7112g/ℓ* 1ℓ/1000ml*100ml =11.57g
4*10-3M => 115.7112g/ℓ* 1ℓ/1000ml*106.67ml =12.34g
10-3M => 115.7112g/ℓ* 1ℓ/1000ml*109.99ml =12.73g
4*10-4M => 115.7112g/ℓ* 1ℓ/1000ml*110.65 =12.80g
10-4M => 115.7112g/ℓ* 1ℓ/1000ml*110.94 =12.83g
이온강도가 셀수록 NaCl을 가하는 양이 많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소이온농도는 용액의 산성의 정도를 나타내며, 수소이온농도가 크면 pH는 7보다 작아지고 용액은 산성이 되며, 반대로 pH가 7보다 크면 용액은 염기성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 토의
pH미터의 교정을 하는 과정에서 값 측정이 안정화가 되지 않아서(symbol의 깜빡임이 정지되지 않았음)많은 시간을 허비한 것 같습니다.
pH미터는 값의 차이를 표시하는 거라 pH미터의 교정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고, 이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합니다.
HCl의 용액이 묽어질수록 NaCl을 가하는 양이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그 차이가 아주 미세해서 정확한 양을 가하는 데에는 무척 힘들었습니다.
그러나 이온강도의 변화에서는 NaCl을 가하는 양이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을 계산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Na+]+[Cl-]=1.0-0.02
=0.98mol
NaCl(-) 0.98mol/ℓ
0.98mol/ℓ*58.44g/mol=57.2712
0.01M => 57.2712g/ℓ* 1ℓ/1000ml*100ml =5.73g
4*10-3M => 57.2712g/ℓ* 1ℓ/1000ml*106.67ml =6.11g
10-3M => 57.2712g/ℓ* 1ℓ/1000ml*109.99ml =6.30g
4*10-4M => 57.2712g/ℓ* 1ℓ/1000ml*110.65 =6.34g
10-4M => 57.2712g/ℓ* 1ℓ/1000ml*110.94 =6.35g
이온강도 1.0구하는 식
M=1/2{[H+](-1)2+[Cl-](-1)2+[Na+](+1)2+[Cl-](-1)2}=1.0
1/2{[0.01](+1)2+[0.01](-1)2+[Na+]+[Cl-]}=1.0
[Na+]+[Cl-]=2.0-0.02
=1.98mol
NaCl(-) 1.98mol/ℓ
1.98mol/ℓ*58.44g/mol=115.7112
0.01M => 115.7112g/ℓ* 1ℓ/1000ml*100ml =11.57g
4*10-3M => 115.7112g/ℓ* 1ℓ/1000ml*106.67ml =12.34g
10-3M => 115.7112g/ℓ* 1ℓ/1000ml*109.99ml =12.73g
4*10-4M => 115.7112g/ℓ* 1ℓ/1000ml*110.65 =12.80g
10-4M => 115.7112g/ℓ* 1ℓ/1000ml*110.94 =12.83g
이온강도가 셀수록 NaCl을 가하는 양이 많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소이온농도는 용액의 산성의 정도를 나타내며, 수소이온농도가 크면 pH는 7보다 작아지고 용액은 산성이 되며, 반대로 pH가 7보다 크면 용액은 염기성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 토의
pH미터의 교정을 하는 과정에서 값 측정이 안정화가 되지 않아서(symbol의 깜빡임이 정지되지 않았음)많은 시간을 허비한 것 같습니다.
pH미터는 값의 차이를 표시하는 거라 pH미터의 교정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고, 이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합니다.
HCl의 용액이 묽어질수록 NaCl을 가하는 양이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그 차이가 아주 미세해서 정확한 양을 가하는 데에는 무척 힘들었습니다.
그러나 이온강도의 변화에서는 NaCl을 가하는 양이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을 계산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