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Ⅱ. 본론
ⅰ. 귀
1. 귀의 구조
1) 외이 (Outer ear, external ear)
2) 중이 (Middle ear)
3) 내이 (Inner ear, Internal ear)
ⅱ. 진주종
1. 진주종의 정의
2. 진주종의 원인
3. 진주종의 증상
4. 진주종 치료
Ⅲ. 간호사례
ⅰ. 간호사정
1) 간호력
2) 임상검사자료
3) 수술실 마취기록
ⅱ. 간호진단
1) 간호문제 (위험요인)
2) 간호과정
**청각손상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수술로 인한 통증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ⅲ. 간호 계획 중재 및 평가
Ⅳ. 결론
ⅰ. 실습소감
Ⅴ. 참고문헌
1. 연구의 목적
Ⅱ. 본론
ⅰ. 귀
1. 귀의 구조
1) 외이 (Outer ear, external ear)
2) 중이 (Middle ear)
3) 내이 (Inner ear, Internal ear)
ⅱ. 진주종
1. 진주종의 정의
2. 진주종의 원인
3. 진주종의 증상
4. 진주종 치료
Ⅲ. 간호사례
ⅰ. 간호사정
1) 간호력
2) 임상검사자료
3) 수술실 마취기록
ⅱ. 간호진단
1) 간호문제 (위험요인)
2) 간호과정
**청각손상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수술로 인한 통증
1) 주관적사정(subjective data)
2) 객관적사정(objective data)
3) 목표
4) 계획
5) 수행
6) 평가
ⅲ. 간호 계획 중재 및 평가
Ⅳ. 결론
ⅰ. 실습소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할 수 없는 경우 소변에서 포도당 검출됨을 이용
A.L.P
39~120 U/L
40
Alkaline phosphatase는 뼈, 장, 간, 태반에 분포하는
효소로서 성장기에는 뼈쪽이 증가하고, 폐쇄성 황달시에는 간쪽이 증가한다.
Na.
135~145mmol/L
138
식이중의 나트륨섭취와 신장배설의 균형과 관계있음
증가 : 중증당뇨환자, 고장식염수의 과잉투여
감소 : 수분과잉, 위장관손실
K.
3.5~5.0 mmol/L
4.1
세포의 흥분성 신경조직의 막전압을 유지하는 전해질
증가 : 배설장애(신질환), 발열, 기아
감소 : 체온저하, 위장관손실, 부신피질 과형성
3) 수술실 마취기록
수술 전 활력징후 : 110/70 - 78 - 36.2 - 20
수술 후 활력징후 : 150/90 - 80 - 36.4 - 22
ⅱ. 간호진단
1) 간호문제 (위험요인)
① 고혈압
계속적인 혈압상승으로 인해 저체온증에 걸릴 위험성이 보였다.
② 시력 변화
시력이 변화하여 자기 자신이 할수 있는 일이 제한되어 그것을 어떻게 수행해야하는 가를 모르고 있었다.
③ 우울
갑작스런 변화에 따른 우울 증세가 보였다. 주위 사람들과 말도 잘 안하셨다.
④ 불안
수술에 대하여 많은 불안감이 있는 것이 느껴졌다.
⑤ 부동
계속 같은 자세를 취해야 하는 걸 괴로워하고 있었다.
2) 간호과정
문제명
증상과 징후
관련요소
자가간호결핍
주관적
“잘 안 들리고, 어떻게 있어야 해요?”
객관적
보호자에게 의지해 옷 입기, 식사 등을 하고 있다고 말하심.
화장실 가기를 불편해하심.
피곤한 기색으로 활기가 없어 보임.
청각손상
통증
주관적
“아아!!! 귀가 너무 아파요! 약 좀 주세요”
“너무 머리가 아파서 깨질 것 같아요.”
“허리가 너무 아파요. 누워있기 너무 힘들어요”
객관적
이통을 많이 호소하심.
머리가 통증을 호소하심.
힘들어 보이고 안절부절 못하심.
평소혈압 150/90mmHg, 맥박 80회/분, 호흡22회/분,
체온 36.4도를 나타냄.
허리와 귀 쪽으로 계속해서 손이 감.
수술 후 취해야하는 자세 등
ⅲ. 간호 계획 중재 및 평가
진단명
목표
간호지시 / 중재
평가
수술과 관련된 통증의 관리
통증이 완화되고, 안정을 되찾는다.
호흡을 천천히 깊게 한다.
통증이 너무 심할 경우 간호사 선생님께 알린다.
이통이 심하면 두통까지 올 수 있 으므로 조심하도록 교육한다.
통증이 완화에 도움이 되도록 주 위를 조용히 하고 환자에게 정서 적 지지를 하며 가족들도 환자를 격려할 수 있도록 한다.
활력징후가 안 정되고, 귀부위의
통증이 완화된다.
두통에 대한 호소 없다.
조용한 환경에서 정서적인 안정을 되찾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한다.
Ⅳ. 결론
ⅰ. 실습소감
Ⅴ. 참고문헌
MANUAL OF NURSING PRACTICE -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Human Anatomy - 인체해부학 / 현문사
인체구조와 기능 / 계축문화사
http://100.naver.com/
http://blog.naver.com/hoidnjswk
CHART
A.L.P
39~120 U/L
40
Alkaline phosphatase는 뼈, 장, 간, 태반에 분포하는
효소로서 성장기에는 뼈쪽이 증가하고, 폐쇄성 황달시에는 간쪽이 증가한다.
Na.
135~145mmol/L
138
식이중의 나트륨섭취와 신장배설의 균형과 관계있음
증가 : 중증당뇨환자, 고장식염수의 과잉투여
감소 : 수분과잉, 위장관손실
K.
3.5~5.0 mmol/L
4.1
세포의 흥분성 신경조직의 막전압을 유지하는 전해질
증가 : 배설장애(신질환), 발열, 기아
감소 : 체온저하, 위장관손실, 부신피질 과형성
3) 수술실 마취기록
수술 전 활력징후 : 110/70 - 78 - 36.2 - 20
수술 후 활력징후 : 150/90 - 80 - 36.4 - 22
ⅱ. 간호진단
1) 간호문제 (위험요인)
① 고혈압
계속적인 혈압상승으로 인해 저체온증에 걸릴 위험성이 보였다.
② 시력 변화
시력이 변화하여 자기 자신이 할수 있는 일이 제한되어 그것을 어떻게 수행해야하는 가를 모르고 있었다.
③ 우울
갑작스런 변화에 따른 우울 증세가 보였다. 주위 사람들과 말도 잘 안하셨다.
④ 불안
수술에 대하여 많은 불안감이 있는 것이 느껴졌다.
⑤ 부동
계속 같은 자세를 취해야 하는 걸 괴로워하고 있었다.
2) 간호과정
문제명
증상과 징후
관련요소
자가간호결핍
주관적
“잘 안 들리고, 어떻게 있어야 해요?”
객관적
보호자에게 의지해 옷 입기, 식사 등을 하고 있다고 말하심.
화장실 가기를 불편해하심.
피곤한 기색으로 활기가 없어 보임.
청각손상
통증
주관적
“아아!!! 귀가 너무 아파요! 약 좀 주세요”
“너무 머리가 아파서 깨질 것 같아요.”
“허리가 너무 아파요. 누워있기 너무 힘들어요”
객관적
이통을 많이 호소하심.
머리가 통증을 호소하심.
힘들어 보이고 안절부절 못하심.
평소혈압 150/90mmHg, 맥박 80회/분, 호흡22회/분,
체온 36.4도를 나타냄.
허리와 귀 쪽으로 계속해서 손이 감.
수술 후 취해야하는 자세 등
ⅲ. 간호 계획 중재 및 평가
진단명
목표
간호지시 / 중재
평가
수술과 관련된 통증의 관리
통증이 완화되고, 안정을 되찾는다.
호흡을 천천히 깊게 한다.
통증이 너무 심할 경우 간호사 선생님께 알린다.
이통이 심하면 두통까지 올 수 있 으므로 조심하도록 교육한다.
통증이 완화에 도움이 되도록 주 위를 조용히 하고 환자에게 정서 적 지지를 하며 가족들도 환자를 격려할 수 있도록 한다.
활력징후가 안 정되고, 귀부위의
통증이 완화된다.
두통에 대한 호소 없다.
조용한 환경에서 정서적인 안정을 되찾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한다.
Ⅳ. 결론
ⅰ. 실습소감
Ⅴ. 참고문헌
MANUAL OF NURSING PRACTICE -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Human Anatomy - 인체해부학 / 현문사
인체구조와 기능 / 계축문화사
http://100.naver.com/
http://blog.naver.com/hoidnjswk
CHAR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