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심장질환환자는 주입속도보다 천천히 한다.
⑫수혈시작 15분 후 환력증후를 측정하고 이상이 없으면 지시대로 주입한다. : 활력증후의 변화는 수혈로 인한 합병증 여부를 알 수 있다.
⑬혈액이 주입되고 있는 매 30분마다 오심, 구토, 피부발적, 오한 등의 부작용이 있는지 관찰한다. 부작용이 있으면 수혈을 중지한다.
⑭수혈이 다 끝난 후 다른 수액의 주입이 없다면 수혈세트 바늘을 제거한 후 소독 솜으로 주사부위를 3분이상 눌러준다. 계속 수액을 주입해야 하는 경우에는 생리식염수를 10cc정도 주입한 뒤 수액을 연결한다.
⑮끝난 후 활력증후를 측정한다.
수혈이 끝나면 혈액백의 라벨이 끝난 시간을 기재하여 간호기록지에 붙이고 이상증상, 혈액주입시의 활력증후, 주입속도, 혈액을 제거한 시간을 기록한다.
⑫수혈시작 15분 후 환력증후를 측정하고 이상이 없으면 지시대로 주입한다. : 활력증후의 변화는 수혈로 인한 합병증 여부를 알 수 있다.
⑬혈액이 주입되고 있는 매 30분마다 오심, 구토, 피부발적, 오한 등의 부작용이 있는지 관찰한다. 부작용이 있으면 수혈을 중지한다.
⑭수혈이 다 끝난 후 다른 수액의 주입이 없다면 수혈세트 바늘을 제거한 후 소독 솜으로 주사부위를 3분이상 눌러준다. 계속 수액을 주입해야 하는 경우에는 생리식염수를 10cc정도 주입한 뒤 수액을 연결한다.
⑮끝난 후 활력증후를 측정한다.
수혈이 끝나면 혈액백의 라벨이 끝난 시간을 기재하여 간호기록지에 붙이고 이상증상, 혈액주입시의 활력증후, 주입속도, 혈액을 제거한 시간을 기록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