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요약3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요약3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태아 적혈구 세포에 결합하여 용혈이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으 로 모체의 항체 생산이 요구되며, 태아와 모체의 부적합증일 때만 만날 수 있다.
-임상증상 : 증세가 심한 경우에는 사산으로부터, 경할 때에는 겉으로 보기에 정상이어 서 치료를 요하지 않는 예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도이다.
-진단 : Direct Coomb's test는 양성이다. 모체의 혈액은 Rh음성이며 환아는 Rh양성이 다. 모체 혈액의 항 Rh역가가 높다.
-치료 및 간호
a. Rh 동종 면역을 예방한다
:고가의 항 Rh gamma globulin을 Rh-인 부인에게 분만시나 유산 후 48∼72시간내 에 근육 주사함으로써 Rh-인 부인이 감작되는 것을 예방 할 수 있다.
b. 교환수혈을 한다 : 항체가 있는 적혈구와 과빌리루빈 혈증의 아기 혈액을 정상 혈액 으로 교환해 주는 것이다.
②교환 수혈
-Coomb's test 양성 환아
-만삭아는 빌리루빈 농도가 20mg/100ml, 체중이 낮은 마숙아는 더 낮은 수치에서도 함
-일단 제대관을 제대정맥에 삽입하여 하대정맥에 이르도록 한다.
-수혈량은 신생아체중에 의존하는데 한번 교환은 5∼20cc의 혈액량을 15∼20초 동안 먼저 제거하고, 수혈할 혈액은 60∼90초 후에 같은 양을 투여한다.
-순환하고 있는 빌리루빈 및 Rh항체의 농도를 60% 저하시키게 된다.
-100cc의 혈액을 교환할 때마다 저칼슘혈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calcium gluconate를 투여한다.
2)ABO 부적합증 또는 조발성 황달
신생아가 A형이나 B형, 모체가 O형일 때 가장 잘 발생한다.
①임상증상 : 생리적 황달은 24시간 후에야 나타나는데, ABO 부적합증에서는 24시간 내 에 황달이 나타난다. 그래서 조발성 황달이라고 한다.
②치료 : ABO 부적합증일 때 교환 수혈을 혈청 빌리루빈치가 만삭아인 경우 20mg/100ml 이며, 조산아에서느 s15mg/100ml 이상인 경우이다.
③광선 요법 : 광선 요법이란 환아의 노출된 피부에 간한 형광 광선을 쐬는 것이다.
-대사율이 상승되고, 고체온, 묽은 변, 피부를 통한 수분 손실의 증가 증이다. 즉 대사 율이 증가로 칼로리의 요구가 상승되고, 장 이동 시간이 빨라 묽은 변이 되면 필요량의 칼로리를 얻기 힘들다. 또한 체온 상승과 묽은 변은 수분의 손실을 증가시키므로, 매일 의 수분 필요량이 증가한다.
-신생아의 눈은 광선 치료를 하는 동안 강한 빛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눈의 보호막 이 없을 때에는 망막세포의 현미경적 손상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4. 모유와 과빌리루빈 혈증
모유 영양아 50∼200명 중 1명 정도에서 과빌리루빈 혈증이 오래 지속되는 아기가 있다. 이 황달은 포유를 끊으면 소실하고, 다시 먹이면 또 나타난다. 그러나 이 황달로 핵 황달이 오는 일은 없으므로 모유를 끊을 필요는 없고, 그대로 먹이면 시간이 지나면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없어진다. 다만, 빌리루빈 농도가 20mg/dl 를 넘을 때에는 일시적으로 중단한다.
1)황달 신생아의 간호
①충분한 수분 섭취를 유지하도록 한다.
②안적하고 적절한 광선 요법을 적용한다.
-체온을 유지한다.
-신진 대사의 증가와 수분 상실의 증가를 확인한다.
-증가된 장 연동 운동에 대한 간호를 한다.
-강한 광선으로부터 망막의 손상을 예방한다.
-피부의 maculopapula 발진이 출현되었느지 확인한다. 특별 치료가 필요 없고, 열요법 을 중단하면 없어진다. 이는 광선으로 인한 모세혈관 확장과 관련된다.
-피부 황달에 대해 보고, 기록한다. 혈청 빌리루빈을 매일 점검하고 피부를 사정한다.
③교환수혈 환아에게 지지적 간호를 수행한다.
④치료중 몸을 차게 하면 무호흡을 초래할 수 있는데 이는 이미 제한된 열량을 가진 환 아에게서 소모되는 열량 요구와 산소 소비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⑤환아사 수혈 3∼4시간 전에 금식되어 있지 않으면 위 삽입관을 통해 위 내용물을 비움.
⑥가능하면 모니터를 신생아에게 부착하거나, 혹은 청진기를 심첨부에 고정시킨다.
⑦환아를 앙와위로 고정시키고 사지를 억제한다.
⑧산소기, 마스크, breathing bag, 흡인기, sodium bicarbonate, 50% 포도당 등 소생기구 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⑨혈액은 38℃의 물통 속을 coil tube를 통해서 흐르게 한다. 차가운 피를 주입하면 저체 온, 혈액 점성의 증가, 심실세동 들을 유발 할 수 있다.
⑩일단 제대관이 제대정맥에 삽입되면 정맥압을 측정하고, 교환 수혈을 시작한다.
⑪혈액은 환아의 상태와 크기에 따라 5∼20ml의 양을 천천히 주입하고, 교환되는 혈액의 총량은 170ml/kg 이다.
⑫100ml의 혈액을 교환할 때마다 calcium gluconate를 주사한다.
⑬심박동수를 계속 관찰하고 호흡수, 피부색, 회수된 혈액의 색깔을 주목한다.
⑭수혈이 완전히 끝났을 때, 제대관은 막거나 수액용으로 보존하든가 또는 제거한다.
⑮교환 수혈 후의 합병증은 심부전증, 저 칼슘혈증, 저혈당증, 패혈증, 산혈증 등이다.
11절. 대사 장애
1. 저혈당증
만삭아에서 혈당치가 생후 72시간 내에 35mg/dl 미만, 그 이후에는 45mg/dl 미만일 때, 저체중 출생아에서는 25mg/dl 미만일 때는 저혈당증이라 한다.
①원인 : 당뇨병 모체의 아기, 태아 적아구증과 같은 과인슐린 분비나 미숙아, 임신 중독 증 모체환아 등
②임상증상 : Jittering, 진전, 무력상태, 청색증, 경련, 간헐적인 무호흡, 빈호흡, 약하거나 고조의 울음소리, 발한 심부전 및 심정지 등이 나타나며, 이들 여러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기도 한다.
③치료 및 간호 : 정맥으로 glucose를 투여한다. 경련이 없을 때는 10%포도당액 2ml/kg 을 경련이 있을 때는 같은 액을 4ml/kg를 투여한다.
2. 저칼슘 혈증
저칼슘 혈증이란 혈청 칼슘이 7mg/100ml 이하이다.
①조기 저칼슘 혈증 : 태내 성장 지연이 있는 저체중아, 당뇨병 모체의 아기, 호흡 곤란이 있는 미숙아, 분만이 지연된 난산에서 출생 후 48시간 이내에 발생 한다. 경구로 calcium gluconate를 투여하는 것이 좋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4.02.1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2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