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심장질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심장질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들어가게 되므로 치과 수술시에 항생제를 복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충치를 예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이의 치아가 나기 시작한 이 후부터는 아이용 치솔로 닦아주는 버릇을 키워주어야 하며 또한 정규적인 치아 검진도 중요하다. 불소를 먹이거나 불소를 치아에 발라주는 방법도 효과적 인 충치 예방법이다.
※ 치과 또는 상부 호흡기 처치를 받게 될 때
1) 내복 : 수술 1시간전 Amoxicillin 50 mg/kg(성인 2g) : Penicillin allergy가 있는 환자의 경우 처치 1시간 전 Azithromycin 15mg/kg(성인 500mg)내복
2) 주사로 할 때(근육 또는 정맥내 주사) : 처치 30분내 Ampicillin 50 mg/kg(성인 2g)
※ 위장관 또는 비뇨기 처치를 받게 될 때
1) 내복 :처치 1시간전 Amoxicillin 50 mg/kg(성인 2g)
2) 주사로 할 때(근육 또는 정맥내 주사) : 처치 30분 전 Ampicillin 50 mg/kg(성인 2g)
- Penicillin allergy가 있는 환자의 경우 : 처치 1시간 전부터 1시간 동안 Vancomycin 20 mg/kg(성인 1g,천천히 정맥내 주사)
☞ 이상의 지침은 심내막염의 위험도가 비교적 낮은 대부분의 환자일 경우에 해당되며 이외 심내막염의 위험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 (예: 인공 판막, 청색증이 있는 경우, 복잡 심장병) 에는 소아심장 주치의로부터 별도의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 가와사끼 병 (Kawasaki disease)
가와사끼병(Kawasai Disease, Mucocutaneous Lymph Node Syndrome)은 4세 이하의 영유아와 어린이에서 발생하는 원인불명의 熱性 염증 질환으로 특별한 진단적 검사가 아직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6가지 특징적인 증상이 있으면 가와사끼병으로 진단 내린다 :
① 5일 이상 계속되는 원인불명의 발열, ② 양측 안구 결막의 충혈 (양쪽 눈알이 빨개짐) , ③ 입술이 빨개지며, 딸기모양의 혀, 입술이 트고 빨개지며 입 내부 점막이 빨개짐 ④ 급성기에는 손끝, 발끝이 붓고 빨개지며 회복기에는 피부 껍질이 벗겨짐. ⑤ 피부 발진, ⑥목의 임파선이 커짐. 이외에 심한 보챔, 관절통, 항문 근처의 피부와 점막의 발진, BCG맞은 자리가 빨개짐, 두통, 복통, 설사,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심장의사들이 가와사끼병에 관심이 있는 이유는 치료하지 않았을때에 약 10-25 %의 환자들에서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중요한 혈관인 관상동맥에 염증이 생기며 늘어나서 관상동맥류(coronary aneurysm)가 생기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관상동맥이 막혀서 사망하거나 심근경색 등의 합병증이 생길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상동맥의 변화는 심초음파 검사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가와사끼병이 의심되면 즉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다.
가와사끼병의 치료로는 면역 감마 글로블린 주사가 매우 효과적이어서 이 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의 관상동맥의 합병증의 빈도는 5%이하로 매우 낮은 편이나 적절한 치료를 받아도 극소수의 환자에서는 관상동맥의 합병증이 여전히 발생하므로 일단 진단이 나면 모든 환자들에서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또한 감마 글로블린 주사와 병행해서 아스피린 경구투여를 시작하여 발병후 2개월간 계속하며 발병 2개월후에 다시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관상동맥이 정상이면 아스피린을 끊으나 관상동맥 합병증이 계속 있을 때에는 장기적인 치료와 재검사가 필요하다.
그림. 가와사끼 병 환자의 특징적인 증상
<그림> 관상동맥류가 생긴 환자의 현관 조영 사진 및 늘어난 관상동맥류 안에 혈전이 차 있는 부검 사진
▶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disease)
심박출량이나 심예비력이 세포나 전신대사를 위해서 산소를 위시한 영양분을 운반할 수 없게 될 때 일어난다. 즉 심근이 충분하고 적당한 수축 및 확장을 하지 못하여 필요한 혈량이 유입되지 못하고 충분한 혈량을 방출하지 못할 때를 말한다.
증상
- 수유곤란, 식욕부진
- 체중증가가 안됨
- 청색증, 피부창백, 피곤
- 부종(간, 비장, 심장), 복부팽만, 의존성 부종(수압이 높은 곳에 부종이 생김)
- 심박동율, 맥박, 호흡의 증가
치료 및 간호
- 안정 : 심부전은 신체가 필요로 하는 충분한 혈액량을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므로 운동을 제한하여 안정을 취하면 그 요구량이 줄기 때문에 심장의 부담이 줄어든다.
안정 시간과 방법은 환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안정이 얼마나 심장병의 예후에 대하여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알아야 한다.
- 염분과 액체의 제한 : 심부전의 증세는 혈관의 충혈과 이에 따르는 세포외액의 증가는 염분에 기인하기 때문에 염분제한은 심부전 치료에 있어서 그 기본 요법이 된다. 염분과 수분의 관계를 보면 염분 자체가 중요한 것이지 수분은 부수적 조건에 불과하다.
보통 염분을 1일 1g으로 제한하면 이뇨 작용이 일어나고 부종도 방지할 수 있으나, 장기간 심부전이 계속된 중환자에게는 1일 0.5g까지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수분제한은 염분만 1일 1g이하로 제한하면 다량을 공급하여도 체내에 체류되지 않기 때문에 1일 2,000 - 3,000cc(성인)까지는 주어도 무방하다. 염분 축적이 있어야만 수분도 축적하여 부종이 발생하기 때문에 염분 공급만 조절하면 된다.(아동은 750 -1000cc/m3)
-식사 : 염분 제한이 가장 중요하고 다음은 음식을 소량씩 자주 주는 것이 좋다.
-심장펌프 기능의 개선 : Digitalis(강심제) - 투여하기 전에 1분 동안 심첨부의 맥박 측정함.
▷ 강심제는 환아의 심박동을 느리게 하고 심장의 근육을 강하게 수축케하여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고 체내의 필요없는 여분의 수분을 배설시킨다.
▷ 24 - 48시간내에 심박동수가 70 - 75회/분 박동하도록 투여하며, 60회 이하이면 보고한다.
▷ 중독증상 - 식욕부진, 오심, 구토
-전신부종 환자는 피부간호가 요구된다. 특히 뼈가 돌출된 부위 등은 자주 마사지를 해서 욕창을 예방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2.1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2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