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시한 후 치과의사 자원봉사자는 노인구강검진교육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시군구 지회에 제출 보고한다.
-대상기관에서 교육을 마친 치과위생사 자원봉사자는 구강보건교육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대한치과위생사협회 중앙회에 보고한다.
성과 / 기대되는 결과 ※6
이 사업을 통해 나타나는 성과 중 보건소의 ‘치면세마시술’에 대한 예를 들면 이러하다.
여기서 말하는 ‘치면세마’는 치아질환을 예방할 목적 또는 다른 치과치료에 앞서서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 치아표면에 치아우식증과 치주병의 원인이 되는 치면세균막, 치석, 음식물 찌꺼기, 외인성 색소 등의 병소를 제거하고 치아표면을 매끄럽고 윤택하게 연마하는 시술이다.
아래 표의 수치를 분석하면 치면세마 시술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최저0-최고56)는 치면세마시술을 받은 노인이 18.02점이고, 받지않은 노인이 20.16점이다.
치면세마시술을 받은 노인의 구강건강에 따른 구강영향지수(최저0-최고56)는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 18.66점, 잔존치아수가 0~19개인 경우 19.69점이다.
결론적으로 치면세마 시술경험이 있는 노인의 구강건강영향지수 분석결과 신체적동통 영역에서 0.4, 신체능력저하 영역에서 0.5점 정도 치면세마 시술경험이 없는 노인보다 낮았다.(P<0.05) 그리고 치면세마 시술경험 노인에서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와 잔존 치아수 19개 이하인 경우 구강건강영향지수의 7가지 영역 중 신체적동통은 3.70점, 3.97점이고, 신체능력저하 영역에서는 3.32점, 3.5점으로 가장 높았다.(P<0.05)
치면세마 시술경험 노인 중 치주질환이 없고, 잔존 치아수 20개 이상인 노인의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낮아 삶의 질이 높았다.(P<0.05)
그밖에도 진행 중인 노인구강건강증진 사업을 통해 바른 칫솔질을 하는 노인인구의 증가, 치주질환치아우식의 조기발견으로 의치를 하는 노인인구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 References -
※※표나 그래프만 참고한 경우 출처는 그 아래에 명시하였다.
1. 보건복지부. <2006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6p~8p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는 2006년 6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전국단위의 표본조사로 실시하였고, 구강검진 및 면접조사에는 보육훈련과정을 거친 8명의 공중보건의사와 치과대학 전공 교수 8명으로 구성된 총 16명의 검진인력이 참여하였다.
2006sis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는 최소 만2세부터 최대 만95세에 이르는 연령의 표본으로 총 15,7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일부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영향지수> 정진아,김동기 44p. 2005
아래의 표의 항목을 참고하였다.
3. 보건복지부. <영유아노인 구강건강증진사업 계획>9p~12p. 2006
4. 보건복지부. <영유아노인 구강건강증진사업 계획>14p. 2006
5. 보건복지부. <영유아노인 구강건강증진사업 계획>15p~23p. 2006
6. 대한구강보건학회. 2007. <포스터발표 ; 노인구강보건사업에서 치면세마 시술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구인영,이병진,김동기 96p~97p
-대상기관에서 교육을 마친 치과위생사 자원봉사자는 구강보건교육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대한치과위생사협회 중앙회에 보고한다.
성과 / 기대되는 결과 ※6
이 사업을 통해 나타나는 성과 중 보건소의 ‘치면세마시술’에 대한 예를 들면 이러하다.
여기서 말하는 ‘치면세마’는 치아질환을 예방할 목적 또는 다른 치과치료에 앞서서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 치아표면에 치아우식증과 치주병의 원인이 되는 치면세균막, 치석, 음식물 찌꺼기, 외인성 색소 등의 병소를 제거하고 치아표면을 매끄럽고 윤택하게 연마하는 시술이다.
아래 표의 수치를 분석하면 치면세마 시술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최저0-최고56)는 치면세마시술을 받은 노인이 18.02점이고, 받지않은 노인이 20.16점이다.
치면세마시술을 받은 노인의 구강건강에 따른 구강영향지수(최저0-최고56)는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 18.66점, 잔존치아수가 0~19개인 경우 19.69점이다.
결론적으로 치면세마 시술경험이 있는 노인의 구강건강영향지수 분석결과 신체적동통 영역에서 0.4, 신체능력저하 영역에서 0.5점 정도 치면세마 시술경험이 없는 노인보다 낮았다.(P<0.05) 그리고 치면세마 시술경험 노인에서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와 잔존 치아수 19개 이하인 경우 구강건강영향지수의 7가지 영역 중 신체적동통은 3.70점, 3.97점이고, 신체능력저하 영역에서는 3.32점, 3.5점으로 가장 높았다.(P<0.05)
치면세마 시술경험 노인 중 치주질환이 없고, 잔존 치아수 20개 이상인 노인의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낮아 삶의 질이 높았다.(P<0.05)
그밖에도 진행 중인 노인구강건강증진 사업을 통해 바른 칫솔질을 하는 노인인구의 증가, 치주질환치아우식의 조기발견으로 의치를 하는 노인인구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 References -
※※표나 그래프만 참고한 경우 출처는 그 아래에 명시하였다.
1. 보건복지부. <2006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6p~8p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는 2006년 6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전국단위의 표본조사로 실시하였고, 구강검진 및 면접조사에는 보육훈련과정을 거친 8명의 공중보건의사와 치과대학 전공 교수 8명으로 구성된 총 16명의 검진인력이 참여하였다.
2006sis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는 최소 만2세부터 최대 만95세에 이르는 연령의 표본으로 총 15,7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일부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영향지수> 정진아,김동기 44p. 2005
아래의 표의 항목을 참고하였다.
3. 보건복지부. <영유아노인 구강건강증진사업 계획>9p~12p. 2006
4. 보건복지부. <영유아노인 구강건강증진사업 계획>14p. 2006
5. 보건복지부. <영유아노인 구강건강증진사업 계획>15p~23p. 2006
6. 대한구강보건학회. 2007. <포스터발표 ; 노인구강보건사업에서 치면세마 시술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구인영,이병진,김동기 96p~97p
키워드
추천자료
보건소역할
구강보건캠페인 비교 분석
구강보건교육 지도안
구강보건교육학
구강보건교육지도안에 따른 PPT
성장과정에 따른 심리발달과 구강보건행동, 연령에따른 구강보건 행동
[건강가정사업의 실천 프로그램] 가족의 건강성과 증진사업 및 건강가정지원센터
[사회복지 사업계획서] 어르신들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심신 건강증진 프로포절 (사업명다시 ...
노년기의 특징을 살펴보고 노년기의 정신건강 문제와 정신건강증진 방안에 대한 자신의 견해...
2014년 2학기 건강증진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에서 금연사업)
2015년 2학기 건강증진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미국의 건강증진에서 모성, 영유아보건)
사사회복지 프로그램)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심신건강 증진과 치매예방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저소득 독거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심신 돌봄 프로그램
간호 보건소 실습일지 (10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