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각성촉발이론
Ⅱ. 각성촉발과 수행
Ⅲ. 역U자형 가설이 스포츠 실제에 주는 시사점
Ⅱ. 각성촉발과 수행
Ⅲ. 역U자형 가설이 스포츠 실제에 주는 시사점
본문내용
지만 최적수준은 과제 복잡성과 개인차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코
치가 어느 정도의 각성촉발 수준이 선수에게 적절한지 결정하기란 매우 어렵다.
Oxendine(1970)은 과제 복잡성 차원의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서 다섯 개 범주로
작성된 연속선에 따라서 스포츠를 열거하였다. 그 대강이 아래의 그림에 제시되어
있다.
- 스포츠에서 수행과 각성촉발의 관련성 -
한쪽 극은 속도, 강도 및 지속성이 높지만 복잡성, 예술적 근육조절, 판단이 낮은 스포츠를 포함하고 있다. 이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는 역도, 축구에서의 블로킹과 태클, 팔굽혀펴기와 같은 강도를 요구하는 종목이다. 반대쪽 극은 예술적 근육 조절과 판단이 매우 중요하고 강인함과 속도는 중요하지 않은 스포츠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골프의 피팅, 피겨 스케이팅, 볼링과 양궁 등이 포함된다. 이 연속체의 다섯 가지 범주에 따라서 다양한 스포츠를 분류하는 작업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한다.
1/ 높은 수준의 각성촉발은 강도, 지구력 및 속도를 포함하는 대근 활동(gross motor activities)의 최적 수행에 기본이 된다.
2/ 높은 수준의 각성촉발은 복잡한 기술, 미적 근육운동, 조화, 끈기(steediness), 그리고 일반적인 조화를 포함하는 수행을 방해한다.
3/ 평균을 약간 웃도는 수준의 각성촉발은 모든 동작 과제를 위한 정상적이거나 정상을 벗어난 각성촉발 상태에 적합하다.
이 도식이 주는 시사점은 유용하다. 그러나 Landers(1978)는 첫 번째와 세 번째 가
정에 대해서 의문을 던졌다. 그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수행의 속도 가 각성촉발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향상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장 빠른 반응시간은 높은 수준의 각성보다는 중간의 각성수준과 관련되어 있다. 둘째, 실험실에서
처럼 높은 각성수준이 수행에 긍정적인 현실적 상황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
므로 Landers는 Oxendine의 분석에서는 동작기술에서 속도, 지속, 강도와 관련되
어 있는 주의(attention)의 역할에 대해서 간과했으며, 가장 보편적으로 보고된 각성
촉발의 효과 중의 하나는 시각 영역의 폭(시야의 폭)에 대한 효과라고 제안했다.
역U자형 가설에 추가하여, Landers는 아래의 그림에 제시된 모형을 제시했다.
- 각성촉발 수준과 과제 난이도의 함수로서의 관련과제단서에 대한 주의 폭 -
낮은 각성 수준에서 중간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지각의 민감성이 증가한다. 그 결과 과제와 관련 없는 단서가 제거되고 수행이 증가한다. 그러나 계속해서 각성수준이 증가하면 '터널효과(tunneling effect)'가 현저해져서 수행이 훼손된다.
미식축구의 쿼터백을 예로 들어 보자. 연습상황에서의 돌파(practice drill)와 같이
각성 수준이 매우 낮은 상태에서, 코치나 관중과 같은 주변 단서에 주의하거나, 집중
력의 결여나 선택성이 낮기 때문에 관련 없는 이런 단서 에 쿼터백이 주목을 하게 된다. 연습에서의 스크럼 짜기와 같이 중간수준의 각성상태에서는 각성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지각에서의 선택이 증진되고 이것이 효과적인 수행 에 기여한다. 쿼터백으로 대학 대항 경기를 처음 하는 상황과 같이 극도로 각성 수준이 높은 조건에서는 지각의 범위가 매우 제한되기 때문에 수행이 훼손된다. 예를 들면 쿼터백의 눈에 다른 선수는 보이지 않고 오직 패스 리시버 한 사람에게만 주의가 집중될 것이다.
운동을 수행하는 중에 선수가 주의를 집중해야 할 많은 지각단서와 과제 복잡성
은 상호 작용한다. 이런 관점에서 Landers는 스포츠과제에 사용되는 기술을 개방적
기술(open .skill)과 폐쇄된 기술(closed skill)로 구분했다. 개방적 기술은 주의를 집중해야 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신속하게 반응해야 하는 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테니스, 야구 그리고 축구 경기와 하키 골키퍼의 과제 등은 개방적 기술의 예다. 반면에 폐쇄된 기술은 자극이 비교적 변화하지 않는 환경 상황에서 수행된다. 트랙 단거리 경기와 수영 그리고 높이뛰기와 투포환과 같은 과제가 이 범주에 포함된다.
선수가 폐쇄된 기술을 요구하는 운동을 할 때, 즘은 주의집중을 요구하는 스포츠
는 각성촉발 수준이 높은 것을 허용한다. 거기에는 과제단서가 거의 없고, 지각의
폭이 좁아지는 과정을 통해서 과제 관련 단서가 제거될 기회도 거의 없다. Landers
가 역 U자형 가설에 대한 흥미로운 추가를 했지만 여전히 이에 대한 경험적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치가 어느 정도의 각성촉발 수준이 선수에게 적절한지 결정하기란 매우 어렵다.
Oxendine(1970)은 과제 복잡성 차원의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서 다섯 개 범주로
작성된 연속선에 따라서 스포츠를 열거하였다. 그 대강이 아래의 그림에 제시되어
있다.
- 스포츠에서 수행과 각성촉발의 관련성 -
한쪽 극은 속도, 강도 및 지속성이 높지만 복잡성, 예술적 근육조절, 판단이 낮은 스포츠를 포함하고 있다. 이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는 역도, 축구에서의 블로킹과 태클, 팔굽혀펴기와 같은 강도를 요구하는 종목이다. 반대쪽 극은 예술적 근육 조절과 판단이 매우 중요하고 강인함과 속도는 중요하지 않은 스포츠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골프의 피팅, 피겨 스케이팅, 볼링과 양궁 등이 포함된다. 이 연속체의 다섯 가지 범주에 따라서 다양한 스포츠를 분류하는 작업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한다.
1/ 높은 수준의 각성촉발은 강도, 지구력 및 속도를 포함하는 대근 활동(gross motor activities)의 최적 수행에 기본이 된다.
2/ 높은 수준의 각성촉발은 복잡한 기술, 미적 근육운동, 조화, 끈기(steediness), 그리고 일반적인 조화를 포함하는 수행을 방해한다.
3/ 평균을 약간 웃도는 수준의 각성촉발은 모든 동작 과제를 위한 정상적이거나 정상을 벗어난 각성촉발 상태에 적합하다.
이 도식이 주는 시사점은 유용하다. 그러나 Landers(1978)는 첫 번째와 세 번째 가
정에 대해서 의문을 던졌다. 그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수행의 속도 가 각성촉발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향상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장 빠른 반응시간은 높은 수준의 각성보다는 중간의 각성수준과 관련되어 있다. 둘째, 실험실에서
처럼 높은 각성수준이 수행에 긍정적인 현실적 상황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
므로 Landers는 Oxendine의 분석에서는 동작기술에서 속도, 지속, 강도와 관련되
어 있는 주의(attention)의 역할에 대해서 간과했으며, 가장 보편적으로 보고된 각성
촉발의 효과 중의 하나는 시각 영역의 폭(시야의 폭)에 대한 효과라고 제안했다.
역U자형 가설에 추가하여, Landers는 아래의 그림에 제시된 모형을 제시했다.
- 각성촉발 수준과 과제 난이도의 함수로서의 관련과제단서에 대한 주의 폭 -
낮은 각성 수준에서 중간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지각의 민감성이 증가한다. 그 결과 과제와 관련 없는 단서가 제거되고 수행이 증가한다. 그러나 계속해서 각성수준이 증가하면 '터널효과(tunneling effect)'가 현저해져서 수행이 훼손된다.
미식축구의 쿼터백을 예로 들어 보자. 연습상황에서의 돌파(practice drill)와 같이
각성 수준이 매우 낮은 상태에서, 코치나 관중과 같은 주변 단서에 주의하거나, 집중
력의 결여나 선택성이 낮기 때문에 관련 없는 이런 단서 에 쿼터백이 주목을 하게 된다. 연습에서의 스크럼 짜기와 같이 중간수준의 각성상태에서는 각성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지각에서의 선택이 증진되고 이것이 효과적인 수행 에 기여한다. 쿼터백으로 대학 대항 경기를 처음 하는 상황과 같이 극도로 각성 수준이 높은 조건에서는 지각의 범위가 매우 제한되기 때문에 수행이 훼손된다. 예를 들면 쿼터백의 눈에 다른 선수는 보이지 않고 오직 패스 리시버 한 사람에게만 주의가 집중될 것이다.
운동을 수행하는 중에 선수가 주의를 집중해야 할 많은 지각단서와 과제 복잡성
은 상호 작용한다. 이런 관점에서 Landers는 스포츠과제에 사용되는 기술을 개방적
기술(open .skill)과 폐쇄된 기술(closed skill)로 구분했다. 개방적 기술은 주의를 집중해야 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신속하게 반응해야 하는 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테니스, 야구 그리고 축구 경기와 하키 골키퍼의 과제 등은 개방적 기술의 예다. 반면에 폐쇄된 기술은 자극이 비교적 변화하지 않는 환경 상황에서 수행된다. 트랙 단거리 경기와 수영 그리고 높이뛰기와 투포환과 같은 과제가 이 범주에 포함된다.
선수가 폐쇄된 기술을 요구하는 운동을 할 때, 즘은 주의집중을 요구하는 스포츠
는 각성촉발 수준이 높은 것을 허용한다. 거기에는 과제단서가 거의 없고, 지각의
폭이 좁아지는 과정을 통해서 과제 관련 단서가 제거될 기회도 거의 없다. Landers
가 역 U자형 가설에 대한 흥미로운 추가를 했지만 여전히 이에 대한 경험적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