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호흡기 응급상황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 호흡기 응급상황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α수용체에 작용하여 혈관수축을 초래한다.
심박출량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한 혈류역학 효과를 얻기 위해 역가를 측정해야 한다.
Dobutamine Hcl 주입
2㎍/kg/분
Adrenergic direct-/β₂agonist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심박동수를 증가시킨다.
바람직한 혈류역학 효과를 얻기 위해 역가를 측정해야 한다.
Lidocaine Hcl 주입
10㎍/kg/분
항부정맥제
심실의 전기적 충동의 역치를 상승시킨다.
약간의 혈관 수축
쇼크에는 저용량을 사용
3. 기도폐쇄 Airway obstruction
기도를 청결히 하고자 시도할 때는 다음 사항을 염두에 두어야 함.
(1) 이동이 이물질을 흡인하였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고 증거를 확보해야 함
(2) 의식이 없거나, 호흡이 없는 아동의 기도는 처치를 시행하여 정상적으로 개방시켰더라도 항상 폐쇄되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야함.
● 아동에게 질식이 발생했을 때
- 가능한 한 세게 기침을 계속하도록 하고 기침이 효과가 없을 때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의학적 처치를 실시하여야 함.
● 아동의 이물질을 인한 기도폐쇄를 완화해주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권장.
아동이 어떤 소리도 낼 수 없다.
기침이 비효과적이다.
천명음과 함께 호흡부전이 증가한다.
1) 영아
영아가 이물질로 인해 기도가 폐쇄되었을 때 사용하는 방법은 등치기(back blows)와 흉부압박(chest thrusts)이다. 등치기와 흉부압박은 이물질이 제거되거나 아동의 의식이 되돌아올 때까지는 계속되어야 함.
- 등치기(back blows) : 질식이 발생한 영아의 머리는 몸통보다 낮추고 얼굴을 밑으로 향하게 하여 구조자의 팔위에 놓고 지지해준다. 구조자의 손바닥 끝으로 영아의 견갑골 사이를 힘주어 5회 정도 내리친다. 등을 내리친 후에 구조자의 손은 영아의 등 위에 올려놓아, 영아는 목과 턱이 지지된 채로 구조자의 두 손바닥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놓여 있도록 해야 한다.
- 흉부압박(back blows) : 구조자가 영아의 머리를 몸통보다 낮춘 자세로 지지를 계속하면서 영아를 돌려서 구조자의 넓적다리에 앙와위로 눕힌 상태에서 아동의 가슴 밀어내기를 빠르게 5회 시행한다.
2) 아동
● 하임리히 수기(Heimlich maneuver) - 횡경막 하부의 복부를 압박하는 방법으로 공기를 인위적으로 밀어내어 인위적인 기침을 유발하여 이물질을 기도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
* 방법
먼저 아동을 세우거나, 눕히거나, 앉힌다. 의식이 있는 질식아동일 경우 늑골 바로 밑에서 주먹 쥔 손으로 상복부를 향해 위쪽으로 압박을 가한다. 이 때 내부 장기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구조자의 손이 흉골의 검상돌기나 하부 늑골 가장자리를 건드려서는 안 된다. 이물질이 배출될 때까지 빠르게 밀어내기를 5회 반복하여 시행한다.
아동은 기도폐쇄가 완화된 후에 구토하게 될 것이므로 흡인을 예방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해 주어야 한다. 호흡이 회복된 후에 아동은 의학적인 처치를 받아야 하며 합병증에 대한 사정을 받아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3.1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81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