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V
PENIRAMIN 4mg/2ml
1회 5~10mg
항 히 스타민제, 항 알러지제
-고초열, 두드러기, 소양성 피부질환
-청색증, 호흡곤란
-식욕부진
-약물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 여부 관찰한다
IV
NASON2mg/2ml
1회0.4~2mg
호흡 촉진제, 해독제
-안면신경, 사지마비, 뇌출혈시
-심장 부담
-약물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 여부 관찰한다
IV
MANNITOL 15% 100ML
1회 1~3g 점적 정주
당류제
-수술, 외상, 급성신부전 예방 및 치료
-호흡곤란
-약물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 여부 관찰한다
IV
PANTOLOC 40mg
경구투여 부적절 시 사용 5%D/W와 혼합하여 2~15분간 주입
소화성 궤양제
-제산제
-항역류제, 항 궤양제
-간세포손상
-신장손상
-췌장염
-약물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 여부 관찰한다
IV
METHYSOL 125mg
급성척주 손상시 30mg/kg15분간 주입,45분 경과 23시간동안 5.4mg/kg/hr주입
8시간이내 치료개시
부신호르몬제
-내분비 장애
-피부질환
-신경계질환
-체액 전해질 불균형
-안면 홍조
-약물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 여부 관찰한다
IM
DICLON 90mg/2ml
1일 90mg
해열, 진통, 소염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관절염, 동통
-소화성 궤양
-심 기능 부전
-약물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 여부 관찰한다
응급대상자의 처치현황
처치명
목적
준비물
절차 및 이론적 근거
경추보호대
추락이나 각종사고로 이해 목부위를 다쳤을때 경추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한다
경추보호대
이론적 근거 : 목등뼈, 머리뼈, 등뼈사이 각종신경이 지나가는 부위로서 사고가 일어났을 때 살피는 중요한 부위임
절차 :
환자가 입을 벌려야함
기도나 호읍을 막아서는 안되므로 주의해야함
머리가 일직선상이 된 경우에만 경추보호대를 사용할 수 있다
경추보호대를 부착한 후에도 손으로 경추를 받쳐야 함
간호과정
간호진단
#1. 혼동된 의식상태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의미있는 자료
주 :
“나 집에 데려가”
객 :
집에 가고 싶다고 말씀하시며 상체를 일으키려는 시늉을 하심
간호목표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보호자에게 동의를 얻고 필요시 손목에 억제대를 대준다.
정확하고 간결하게 병원에 온 목적과 치료의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해준다.
간호수행
보호자들에게 동의를 얻어 양쪽 손목에 억제대를 해주었다.
② 병원에 온 이유와 치료를 해야 하는 목적을 설명해 주었다.
간호평가
더 이상 집에 가고 싶다는 표현을 하지 않으며 보호자와 편안한 시간을 가지고 있는 모습 관찰됨
간호진단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의미있는 자료
주 :
객 :
입고 온 바지에 소변을 실금하심
양쪽 다리를 움직이지 못하심
간호목표
피부손상의 징후가 없다.
간호계획
바지를 갈아입히고 패드를 대어준다.
등마사지를 해준다.
간호수행
바지를 갈아입히고 패드를 대주었다.
바지를 갈아입힐 때 등마사지를 해주었다.
간호평가
피부가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되어 손상의 징후가 없다.
-결론
느낀점
매번 할 때마다 느끼지만 역시 쉬운 실습은 없는 것 같다. 응급실은 처음인 나는 제법 다양한 케이스의 대상자들을 만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많은 실습을 격어 온 나는 또 다른 환경에서의 색다른 경험도 하고 나 자신을 고취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아 기분이 좋다. 특히 다른 병동에서는 볼 수 없는 응급실만의 특징과 매력을 느낄 수 있었다.
처음 시작할 때엔 정적인 곳에서의 실습만 해온 나는 역동적인 응급실의 상황들이 조금 어리둥절했다. 신속하게 일을 해 내지 못하고 슬슬 눈치만 살피고 있는 나를 발견했을 땐 스스로가 위축되는 것이 느껴졌다. 그렇더라도 적응하고 배워나가며 그곳의 상황에 맞게 맞춰가야 했으므로 점점 정신을 차리고 응급실에 적응해 나가고 있는 것을 나 스스로 느꼈다. 그리고 뿌듯했다. 응급실은 어쩌면 내가 앞으로 근무할 부서 중 하나일 수도 있고 어떻게든 지나치게 될 파트였으므로 취업하기 전 응급실에서 실습을 한 것이 소중한 경험이 될 것 같다.
※ 참고 문헌
- 조영희 외(2007), 기본간호학(상), 신광출판사
- 은종영 외(2005), 최신 약리학(제3판), 현문사
- 김순호 외(1999), 최신 임상검사진단학(제2판), 계축문화사
- 김강미자 외(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 전시자 외(2011), 성인간호학 상권(제5판), 현문사
PENIRAMIN 4mg/2ml
1회 5~10mg
항 히 스타민제, 항 알러지제
-고초열, 두드러기, 소양성 피부질환
-청색증, 호흡곤란
-식욕부진
-약물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 여부 관찰한다
IV
NASON2mg/2ml
1회0.4~2mg
호흡 촉진제, 해독제
-안면신경, 사지마비, 뇌출혈시
-심장 부담
-약물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 여부 관찰한다
IV
MANNITOL 15% 100ML
1회 1~3g 점적 정주
당류제
-수술, 외상, 급성신부전 예방 및 치료
-호흡곤란
-약물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 여부 관찰한다
IV
PANTOLOC 40mg
경구투여 부적절 시 사용 5%D/W와 혼합하여 2~15분간 주입
소화성 궤양제
-제산제
-항역류제, 항 궤양제
-간세포손상
-신장손상
-췌장염
-약물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 여부 관찰한다
IV
METHYSOL 125mg
급성척주 손상시 30mg/kg15분간 주입,45분 경과 23시간동안 5.4mg/kg/hr주입
8시간이내 치료개시
부신호르몬제
-내분비 장애
-피부질환
-신경계질환
-체액 전해질 불균형
-안면 홍조
-약물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 여부 관찰한다
IM
DICLON 90mg/2ml
1일 90mg
해열, 진통, 소염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관절염, 동통
-소화성 궤양
-심 기능 부전
-약물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 여부 관찰한다
응급대상자의 처치현황
처치명
목적
준비물
절차 및 이론적 근거
경추보호대
추락이나 각종사고로 이해 목부위를 다쳤을때 경추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한다
경추보호대
이론적 근거 : 목등뼈, 머리뼈, 등뼈사이 각종신경이 지나가는 부위로서 사고가 일어났을 때 살피는 중요한 부위임
절차 :
환자가 입을 벌려야함
기도나 호읍을 막아서는 안되므로 주의해야함
머리가 일직선상이 된 경우에만 경추보호대를 사용할 수 있다
경추보호대를 부착한 후에도 손으로 경추를 받쳐야 함
간호과정
간호진단
#1. 혼동된 의식상태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의미있는 자료
주 :
“나 집에 데려가”
객 :
집에 가고 싶다고 말씀하시며 상체를 일으키려는 시늉을 하심
간호목표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보호자에게 동의를 얻고 필요시 손목에 억제대를 대준다.
정확하고 간결하게 병원에 온 목적과 치료의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해준다.
간호수행
보호자들에게 동의를 얻어 양쪽 손목에 억제대를 해주었다.
② 병원에 온 이유와 치료를 해야 하는 목적을 설명해 주었다.
간호평가
더 이상 집에 가고 싶다는 표현을 하지 않으며 보호자와 편안한 시간을 가지고 있는 모습 관찰됨
간호진단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의미있는 자료
주 :
객 :
입고 온 바지에 소변을 실금하심
양쪽 다리를 움직이지 못하심
간호목표
피부손상의 징후가 없다.
간호계획
바지를 갈아입히고 패드를 대어준다.
등마사지를 해준다.
간호수행
바지를 갈아입히고 패드를 대주었다.
바지를 갈아입힐 때 등마사지를 해주었다.
간호평가
피부가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되어 손상의 징후가 없다.
-결론
느낀점
매번 할 때마다 느끼지만 역시 쉬운 실습은 없는 것 같다. 응급실은 처음인 나는 제법 다양한 케이스의 대상자들을 만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많은 실습을 격어 온 나는 또 다른 환경에서의 색다른 경험도 하고 나 자신을 고취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아 기분이 좋다. 특히 다른 병동에서는 볼 수 없는 응급실만의 특징과 매력을 느낄 수 있었다.
처음 시작할 때엔 정적인 곳에서의 실습만 해온 나는 역동적인 응급실의 상황들이 조금 어리둥절했다. 신속하게 일을 해 내지 못하고 슬슬 눈치만 살피고 있는 나를 발견했을 땐 스스로가 위축되는 것이 느껴졌다. 그렇더라도 적응하고 배워나가며 그곳의 상황에 맞게 맞춰가야 했으므로 점점 정신을 차리고 응급실에 적응해 나가고 있는 것을 나 스스로 느꼈다. 그리고 뿌듯했다. 응급실은 어쩌면 내가 앞으로 근무할 부서 중 하나일 수도 있고 어떻게든 지나치게 될 파트였으므로 취업하기 전 응급실에서 실습을 한 것이 소중한 경험이 될 것 같다.
※ 참고 문헌
- 조영희 외(2007), 기본간호학(상), 신광출판사
- 은종영 외(2005), 최신 약리학(제3판), 현문사
- 김순호 외(1999), 최신 임상검사진단학(제2판), 계축문화사
- 김강미자 외(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 전시자 외(2011), 성인간호학 상권(제5판), 현문사
추천자료
성인 간호학 실습- 응급실 (ER) 실습 레포트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 대장암[결장직장암, Colorectal Cancer]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뇌졸중][CVA]케이스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rebral Vascular Accident]
[성인간호학]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간...
[성인간호학][Thyroid Cancer][갑상선암]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Anemia][악성빈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토혈][hematemes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척추염][Tuberculosis spondylitis ]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회전근개파열][회전근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Vertigo] [어지럼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A+ 레포트) 성인 실습, 경막하출혈 케이스 입니다.~ 문헌고찰, 간호 진단 GOO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