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증폭된 신호를 부하에 그대로 보낼 수 있다.
위의 전압이득 계산식은 수학적으로 이고
이 매우 크다는 가정하기 때문에 1로 근사화 할 수 있다. 실제 실험결과인 오실로스코프 출력파형에서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에 대한 전압이득은 약 0.8로 계산되었고, 같은 위상임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에미터 팔로워는 높은 전류이득으로 앰프의 출력단과 스피커 앞단의 회로에 사용될 수 있고, 입출력 임피던스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증폭기를 무리없이 연결하는 임피던스 정합에서 버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적인 조건이라면 전압이득이 1에 가까워야 하나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약 0.8의 전압이득이 나온 것 같다. 도선이나 측정기기의 기생저항이 작게나마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지난 시간에 배운 공통 에미터 회로와 에미터 팔로워를 같이 구성한 증폭회로를 구성해서 결과를 확인해보는 것도 좋을듯하다. 이로써 한 학기 동안의 실험을 모두 마쳤다. 이론으로만 배울 땐 어렵게 느껴졌던 전자회로를 실험을 통해 다시 배우면서 제대로 이해할 수 있었고, 회로를 짜거나 장비를 다루는데 있어서 많이 익숙해졌다. 배운 것들을 까먹지 말고 다음 학기나 나에게 필요한데에 있어 잘 활용하도록 노력해야겠다.
위의 전압이득 계산식은 수학적으로 이고
이 매우 크다는 가정하기 때문에 1로 근사화 할 수 있다. 실제 실험결과인 오실로스코프 출력파형에서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에 대한 전압이득은 약 0.8로 계산되었고, 같은 위상임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에미터 팔로워는 높은 전류이득으로 앰프의 출력단과 스피커 앞단의 회로에 사용될 수 있고, 입출력 임피던스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증폭기를 무리없이 연결하는 임피던스 정합에서 버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적인 조건이라면 전압이득이 1에 가까워야 하나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약 0.8의 전압이득이 나온 것 같다. 도선이나 측정기기의 기생저항이 작게나마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지난 시간에 배운 공통 에미터 회로와 에미터 팔로워를 같이 구성한 증폭회로를 구성해서 결과를 확인해보는 것도 좋을듯하다. 이로써 한 학기 동안의 실험을 모두 마쳤다. 이론으로만 배울 땐 어렵게 느껴졌던 전자회로를 실험을 통해 다시 배우면서 제대로 이해할 수 있었고, 회로를 짜거나 장비를 다루는데 있어서 많이 익숙해졌다. 배운 것들을 까먹지 말고 다음 학기나 나에게 필요한데에 있어 잘 활용하도록 노력해야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