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친환경농업과 신약에 이용되는 자원식물의 식물학적 특성과 이용 사례 조사
Ⅰ.서론
Ⅱ. 조사지역 및 방법
1. 조사지역
2. 조사방법
Ⅲ. 조사결과 및 고찰
1. 조사내용
2. 조사결과에 대한 고찰
Ⅳ. 요약 및 결론
Ⅴ. 첨부
1. 참고자료(식물체 일부분)
2. 참고 문헌
Ⅰ.서론
Ⅱ. 조사지역 및 방법
1. 조사지역
2. 조사방법
Ⅲ. 조사결과 및 고찰
1. 조사내용
2. 조사결과에 대한 고찰
Ⅳ. 요약 및 결론
Ⅴ. 첨부
1. 참고자료(식물체 일부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 friedelin,quercetin 등의 성분을 함유하며, 열매에는 oleic, linoleic, linoenic등의 지방산과 caproic acid 및 banzoic acid 등의 성분이 들어있다.
( 참고문헌: 화살나무(Euonymus alatus)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물학적 특성 = Antioxidant activity and biological properties in extracts of Euonymus alatus(Thnub)Sieb. 2003. 서경수 )
② 윤판나물
윤판나물은 우리나라 중부 이남지방에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반그늘이 있는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서식한다. 키는 30~60㎝이고, 잎은 길이가 5~15㎝, 폭은 1.5~4㎝로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어긋난다. 꽃은 황색으로 길이는 약 2㎝ 정도로 가지 끝에 1~3개가 통 모양으로 아래를 향해 달린다. 열매는 7~8월경에 흑색으로 길이가 약 1㎝ 정도되며 둥글게 달린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 뿌리와 줄기는 약용으로 쓰인다.
꽃은 봄철에 피며, 2㎝ 가량 긴 황금색 꽃이 줄기 끝에서 1∼3개가 밑을 향하여 핀다. 화피는 6장이고 주걱모양이며 통모양을 이룬다. 수술은 6개, 암술은 1개이고 열매는 삭과이다. 겉모습만 보면 둥글레와 구별이 쉽지 않다.
윤판나무 사진!!!
*기본설명 첨가
◆ 식물학적 특성 ◆
◆ 이용 부위에 따른 특성 ◆
잎: 어린잎은 나물로 식용
뿌리: 만수국이라고 하여 기침, 식체, 폐결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뿌리: 비장이 허하거나 장염, 대장 출혈이 있을 때 약용한다.
부위별로 이정도의 특성이 있으나, 온포기로 달여 먹는 것의 효능은 많다. 강장보호와, 건비위, 냉병, 담, 명목, 위염, 자양, 장출혈, 진해, 치질, 폐결핵, 폐혈, 해수 등이다.
◆ 관련자료 ◆
이 식물의 어린잎은 식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중약대 사전에 따르면 이 식물의 근경을 만수죽이라 하여 약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식물이 백합과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약용성분의 존재가 유추되기는 하나 확증은 없다. 윤판나물의 뿌리와 뿌리줄기는 만수죽, 백미순, 석죽근, 황우미파 등으로 중국에서는 불리우고 있으며, 이색약에 대해 여러 가지 추출법을 적용해서 얻어낸 4가지의 추출물제제는 마취한 개구리한테 피하주사 (35.5g/kg) 했을 때 명백한 강심작용을 지니고 있음이 밝혀져있다. 중국에서는 윤폐, 자해, 소적의 효과가 있다 하였고, 기타 이명, 화담, 허해 장근에 쓰이고 기타 흉복장 및 소아식 적에도 쓰인다. 이 생약에 대한 화학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으나 중국에서 실용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이 생약에 사포닌계의 물질, 스테로이드계의 천연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유추 된다.
(참고문헌 < 한국식물도감(정태현,1956),한국식물명고(이우철,1996)>)
③ 당귀
◆ 식물학적 특성 ◆
당귀는 산형과 초본으로 줄기는 암녹색~자주빛을 띠며, 굵기는 직경이 2.0~3.0cm, 키는 1.0~1.5m 이다. 주경 및 분지 끝에 복산형화서(復散形花序)로 작은 자색꽃이 많이 모여서 핀다. 잎모양은 우상복엽으로 2~3 갈래지고 갈라진 작은 잎은 긴타원형 또는 계란꼴이고 잎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과실은 분과(分果)로써 납작하고 둥근모양으로 양쪽에는 날개가 있다. 1,000알의 무게는 2.5~3g 정도이다. 뿌리는 강한 향기를 갖고 있으며 굵다.
여러해살이 식물로 깊은 산골짜기 나무 숲속의 습기있는 풀숲에서 자란다. 꽃은 8~9월에 자줏빛으로 피고 줄기 끝에 복산형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 5장이며 끝은 뾰족하고 5개의 수술이 있다. 총포는 1~2개이고 잎집처럼 커지며 소총포는 실처럼 가늘고 5~7개이다
※ 당귀
◆ 이용부위에 따른 특성◆
뿌리:
당귀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통증을 완화해 주기 때문에 출산 후에 복부에 어혈이 뭉쳐 있을 때 당귀차를 복용하면 피를 돌게 하고 어혈을 풀어주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부딪혔거나 넘어져서 타박상이 생겼을 때도 당귀차는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여 빨리 낫게 해준다. 또한 당귀는 생리통, 생리불순, 무월경 등을 개선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생리통이 생기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어혈이 원인일 경우에는 어혈을 제거하는 작용으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혈이 부족한 것이 원인일 경우에는 당귀의 보혈작용으로 생리통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당귀는 말초혈관의 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손 발이 차갑고 추위를 타는 사람들에게 당귀차가 특히 좋으며, 수족냉증을 개선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당귀차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당귀는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 주기 때문에 오래된 변비에 매우 효과적이다.
◆ 관련자료 ◆
당귀는 보혈제의 대표적인 생약으로 뿌리 성분은 정유 및 피라노쿠마린(pyranocoumaarin)계인 데쿠르시놀(decurcinol), 데쿠르신(decoursin), 나다케네틴(nadakenetin) 및 기타 수용성 불휘발성 결정물질 등을 함유 하고 있다.
( 참고문헌: 계절별로 분유한 이럴 땐 이런 약초. 장광진,성길환 저 )
④ 로즈마리
로즈메리는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여러해살이)식물로 자생지에서는 식물의 크기가 2m까지 자라는 관목(키가 작고 원줄기와 가지의 구별이 분명하지 않으며 밑동에서 가지를 많이 치는 나무)성으로 일반적인 크기는 50~150cm 정도이다. 줄기는 사각형이며 목질(나무와 같이 단단한 성질)이고 잔가지가 많으며 잎은 길이 1.5~3.5cm, 폭 1.5~3.5mm로 가늘고 길다. 잎 윗면은 광택이 나는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색의 솜털이 많다. 보통 따뜻한 지역에서는 3월부터 그 외에는 5월~7월에 거쳐 연한 하늘색 또는 연한 보라색, 연한 분홍빛의 꽃이 피는데, 종류에 따라서 하얗게 피는 것도 있다.
◆ 식물학적 특성 ◆
◆ 이용부위에 따른 특성◆
잎: 로즈마리는 잎을 말려 차로 마시면 좋은데 그 기능은 여러 가지 이다. 우선 뇌의 기능을 촉진시켜준다. 기억력을 향상시키고, 집중력을 완화시켜주는 효능이 있다. 그래서 치매걸린 노인들에게도 도움이 되고, 졸음을
( 참고문헌: 화살나무(Euonymus alatus)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물학적 특성 = Antioxidant activity and biological properties in extracts of Euonymus alatus(Thnub)Sieb. 2003. 서경수 )
② 윤판나물
윤판나물은 우리나라 중부 이남지방에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반그늘이 있는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서식한다. 키는 30~60㎝이고, 잎은 길이가 5~15㎝, 폭은 1.5~4㎝로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어긋난다. 꽃은 황색으로 길이는 약 2㎝ 정도로 가지 끝에 1~3개가 통 모양으로 아래를 향해 달린다. 열매는 7~8월경에 흑색으로 길이가 약 1㎝ 정도되며 둥글게 달린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 뿌리와 줄기는 약용으로 쓰인다.
꽃은 봄철에 피며, 2㎝ 가량 긴 황금색 꽃이 줄기 끝에서 1∼3개가 밑을 향하여 핀다. 화피는 6장이고 주걱모양이며 통모양을 이룬다. 수술은 6개, 암술은 1개이고 열매는 삭과이다. 겉모습만 보면 둥글레와 구별이 쉽지 않다.
윤판나무 사진!!!
*기본설명 첨가
◆ 식물학적 특성 ◆
◆ 이용 부위에 따른 특성 ◆
잎: 어린잎은 나물로 식용
뿌리: 만수국이라고 하여 기침, 식체, 폐결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뿌리: 비장이 허하거나 장염, 대장 출혈이 있을 때 약용한다.
부위별로 이정도의 특성이 있으나, 온포기로 달여 먹는 것의 효능은 많다. 강장보호와, 건비위, 냉병, 담, 명목, 위염, 자양, 장출혈, 진해, 치질, 폐결핵, 폐혈, 해수 등이다.
◆ 관련자료 ◆
이 식물의 어린잎은 식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중약대 사전에 따르면 이 식물의 근경을 만수죽이라 하여 약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식물이 백합과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약용성분의 존재가 유추되기는 하나 확증은 없다. 윤판나물의 뿌리와 뿌리줄기는 만수죽, 백미순, 석죽근, 황우미파 등으로 중국에서는 불리우고 있으며, 이색약에 대해 여러 가지 추출법을 적용해서 얻어낸 4가지의 추출물제제는 마취한 개구리한테 피하주사 (35.5g/kg) 했을 때 명백한 강심작용을 지니고 있음이 밝혀져있다. 중국에서는 윤폐, 자해, 소적의 효과가 있다 하였고, 기타 이명, 화담, 허해 장근에 쓰이고 기타 흉복장 및 소아식 적에도 쓰인다. 이 생약에 대한 화학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으나 중국에서 실용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이 생약에 사포닌계의 물질, 스테로이드계의 천연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유추 된다.
(참고문헌 < 한국식물도감(정태현,1956),한국식물명고(이우철,1996)>)
③ 당귀
◆ 식물학적 특성 ◆
당귀는 산형과 초본으로 줄기는 암녹색~자주빛을 띠며, 굵기는 직경이 2.0~3.0cm, 키는 1.0~1.5m 이다. 주경 및 분지 끝에 복산형화서(復散形花序)로 작은 자색꽃이 많이 모여서 핀다. 잎모양은 우상복엽으로 2~3 갈래지고 갈라진 작은 잎은 긴타원형 또는 계란꼴이고 잎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과실은 분과(分果)로써 납작하고 둥근모양으로 양쪽에는 날개가 있다. 1,000알의 무게는 2.5~3g 정도이다. 뿌리는 강한 향기를 갖고 있으며 굵다.
여러해살이 식물로 깊은 산골짜기 나무 숲속의 습기있는 풀숲에서 자란다. 꽃은 8~9월에 자줏빛으로 피고 줄기 끝에 복산형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 5장이며 끝은 뾰족하고 5개의 수술이 있다. 총포는 1~2개이고 잎집처럼 커지며 소총포는 실처럼 가늘고 5~7개이다
※ 당귀
◆ 이용부위에 따른 특성◆
뿌리:
당귀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통증을 완화해 주기 때문에 출산 후에 복부에 어혈이 뭉쳐 있을 때 당귀차를 복용하면 피를 돌게 하고 어혈을 풀어주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부딪혔거나 넘어져서 타박상이 생겼을 때도 당귀차는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여 빨리 낫게 해준다. 또한 당귀는 생리통, 생리불순, 무월경 등을 개선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생리통이 생기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어혈이 원인일 경우에는 어혈을 제거하는 작용으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혈이 부족한 것이 원인일 경우에는 당귀의 보혈작용으로 생리통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당귀는 말초혈관의 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손 발이 차갑고 추위를 타는 사람들에게 당귀차가 특히 좋으며, 수족냉증을 개선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당귀차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당귀는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 주기 때문에 오래된 변비에 매우 효과적이다.
◆ 관련자료 ◆
당귀는 보혈제의 대표적인 생약으로 뿌리 성분은 정유 및 피라노쿠마린(pyranocoumaarin)계인 데쿠르시놀(decurcinol), 데쿠르신(decoursin), 나다케네틴(nadakenetin) 및 기타 수용성 불휘발성 결정물질 등을 함유 하고 있다.
( 참고문헌: 계절별로 분유한 이럴 땐 이런 약초. 장광진,성길환 저 )
④ 로즈마리
로즈메리는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여러해살이)식물로 자생지에서는 식물의 크기가 2m까지 자라는 관목(키가 작고 원줄기와 가지의 구별이 분명하지 않으며 밑동에서 가지를 많이 치는 나무)성으로 일반적인 크기는 50~150cm 정도이다. 줄기는 사각형이며 목질(나무와 같이 단단한 성질)이고 잔가지가 많으며 잎은 길이 1.5~3.5cm, 폭 1.5~3.5mm로 가늘고 길다. 잎 윗면은 광택이 나는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색의 솜털이 많다. 보통 따뜻한 지역에서는 3월부터 그 외에는 5월~7월에 거쳐 연한 하늘색 또는 연한 보라색, 연한 분홍빛의 꽃이 피는데, 종류에 따라서 하얗게 피는 것도 있다.
◆ 식물학적 특성 ◆
◆ 이용부위에 따른 특성◆
잎: 로즈마리는 잎을 말려 차로 마시면 좋은데 그 기능은 여러 가지 이다. 우선 뇌의 기능을 촉진시켜준다. 기억력을 향상시키고, 집중력을 완화시켜주는 효능이 있다. 그래서 치매걸린 노인들에게도 도움이 되고, 졸음을
추천자료
[공영방송, 공공방송문화사업, 공공서비스, 방송광고]공영방송과 공공방송문화사업, 공영방송...
[방송통신위원회]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 통신위원회)의 필요성, 설립, 방송통신위원회(방통...
[방송통신융합, 방송통신융합 개념, 방송통신융합 특성, 통신융합]방송통신융합의 개념, 방송...
[방송구조, 방송구조와 방송통신융합, 방송구조와 공영방송제도, 방송구조와 퍼블릭액세스, ...
[방송통신융합, 방송통신, 통신융합]방송통신융합의 정의, 방송통신융합의 특성, 방송통신융...
[방통위(방송통신위원회, 통신위원회)]방통위(방송통신위원회, 통신위원회)의 제안배경, 구성...
[일본방송통신융합 기본방침, 일본방송통신융합 주요이슈, 일본방송통신융합 제도정비]일본방...
[방송발전기금]방송발전기금(방송통신발전기금)의 운용, 성격, 방송발전기금(방송통신발전기...
[통신][한국방송통신][한국뉴스통신][한국이동통신][한국정보통신][방송통신][뉴스통신][이동...
[방송통신융합, 방송, 통신]방송통신융합의 의미, 방송통신융합의 특징, 방송통신융합의 기조...
[한국][통신][한국뉴스통신][한국이동통신][한국정보통신][한국방송통신][뉴스통신][이동통신...
[방송통신융합][방송][통신][미디어]방송통신융합의 개념, 방송통신융합의 기술적 요인, 방송...
[방송통신융합][방송통신융합 사례][방송통신융합 정책방향]방송통신융합의 정의, 방송통신융...
한ㆍ미 FTA 방송통신산업 영향,한_미 FTA 협상 진행과정,한_미 방송통신시장의 비교,방송채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