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의 신소비 트렌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사회의 신소비 트렌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장 서론

2장 소비자 소비 패턴의 변화

3장 소비 문화의 변화요인

4장 불황기에 나타나는 소비패턴 변화

5장 한국 가계의 소비지출 구조

6장 착한 소비

7장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29%로 20년 동안 약 9배 가량 증가하였다.
1991년
1996년
2001년
2006년
2011년
통신
0.72%
1.21%
3.82%
5.68%
6.29%
<표3> 통신 품목의 소비지출 비중 (통계청)
소득이 증대되고 삶이 윤택해지면서 점차 오락 부문과 외모에 관심을 많이 가지기 시작하면서 오락, 문화 품목과 위생 및 이미용 용품, 복지시설 품목의 소비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표4>를 보면 오락, 문화, 위생 및 이미용 용품, 복지시설 품목의 비중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1991년
1996년
2001년
2006년
2011년
오락 문화
3.88%
4.23%
4.48%
4.93%
5.62%
위생및이미용용품
0.82%
1.11%
1.18%
1.46%
1.70%
복지시설
0.19%
0.44%
0.50%
0.97%
1.52%
<표4> 오락 문화, 위생 및 이미용 용품, 복지시설의 소비지출 비중 (통계청)
6장. 착한 소비
착한 소비라는 것은 보다 친환경적이고 보다 인간적인 소비를 뜻한다. 동물 실험을 통해 검증을 해서 만들어진 화장품이라든가, 자연 훼손의 대가로 얻은 흠 없는 과일이나 야채, 약소국의 노동자들을 착취해서 값싸게 만든 커피라든지 초콜릿, 운동용품 등은 좋은 방법으로 만들어졌다기보다는 합리적인 방법으로 만들어 진 것이다. 착한 소비라는 것은 그런 비도덕적인 상품을 소비하지 않고 깨끗하게 만들어진, 정당한 대가를 지불해서 생산한 상품들을 소비하는 것이다.
착한 소비를 실천하는 방법은, 값이 조금 비싸더라도 친환경적인 상품을 사고, 값이 조금 비싸더라도 공정무역(fair trade : 선진국의 경제적 풍요는 후진국의 희생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에 대한 반성으로 나온 대안 무역, 후진국의 생산자들에게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물건을 수입. 판매하는 것) 상품을 구입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커피나 홍차 초콜릿 등이 공정무역 아이템으로 많이 나온다. 공정무역 수익금의 일부는 후진국의 생산자들의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도록 투자되고 사용되고 있다.
착한 소비의 예로는 탐스가 있다. 탐스에서 신발 한 켤레를 사면 한켤레는 아프리카 등의 가난한 나라에 한 켤레가 기부된다. 따라서 탐스에서 신발을 구매하는 것은 착한 소비(윤리적 소비)가 된다.
또 하나의 예로 로하스 제품이 있다. 로하스(LOHAS)는 공동체 전체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소비생활을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친환경 중심으로 전개하자는 생활양식ㆍ행동양식ㆍ사고방식을 뜻하는데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의 약자이다. 여기에 해당하는 제품을 구매하는 것도 착한 소비인데 여기에 해당하는 제품은 전기가 필요 없는 태양열 전등, 태양열 손목시계, 자가발전 손전등 등이 있다.
7장. 결론 및 시사점
요즘 사회는 점점 고령화되고 소득도 증대되고 있으며 사람들이 추구하는 삶에 있어서도 여가를 많이 즐기고 있다. 이처럼 많은 생활 패턴이 변하면서 각종 소비 패턴도 바뀌고 있다.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 등은 이러한 소비 패턴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소비자들이 찾는 제품을 만들고 판매하여 더 나은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전통시장의 경우 지금 많은 어려움에 처해 있지만 이를 극복할 방안을 소비자 소비패턴을 파악함으로써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박종규, (2008), “금주의 논단 : 경제위기와 소비패턴의 변화”
이승신 외 3명 (2010), “소비사회와 소비문화”
채정숙 외 5명 (2010), “생활경제와 소비자 트렌드”
김상일 (2004), “대한민국 소비 트렌드”
SERICEO “불황기에 나타나는 소비패턴의 변화”
  • 가격3,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4.04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15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