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관계목적
2. 구성주의
3. 구어(口語)
4. 나선형 교육과정
5. 랑그(langue)
6. 마인드 맵핑(Mind Mapping)
7. 메타포
8. 문식성(literacy)
9. 빠롤(parole)
10.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11. 비언어적 사고
12. 사고구술법(think aloud approach)
13. 상호텍스트
14. 선행조직자
15. 아우라(aura)
16. Whorf - Sapir 가설
17. 유표화(有標化)
18. 포스트모더니즘
19. 행동주의 심리학
20. 화행목적(話行)
2. 구성주의
3. 구어(口語)
4. 나선형 교육과정
5. 랑그(langue)
6. 마인드 맵핑(Mind Mapping)
7. 메타포
8. 문식성(literacy)
9. 빠롤(parole)
10.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11. 비언어적 사고
12. 사고구술법(think aloud approach)
13. 상호텍스트
14. 선행조직자
15. 아우라(aura)
16. Whorf - Sapir 가설
17. 유표화(有標化)
18. 포스트모더니즘
19. 행동주의 심리학
20. 화행목적(話行)
본문내용
포스트모더니즘
모더니즘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 즉 이전의 모더니즘으로부터 억압되어 있던 가치를 드러내고, 이분구도에서 벗어나 다양성을 중시하는 것이다. 그 예로 페미니즘을 들 수 있다. 페미니즘은 여성을 위한 여남평등이 아니라 남성과 여성 모두를 위한 양성평등으로 보는 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을 가장 잘 이해한 해석이라 할 수 있겠다.
19. 행동주의 심리학
행동주의 심리학은 심리학의 대상을 의식에 두지 않고, 사람 및 동물의 객관적 행동에 두는 입장으로 국어교육의 대전제가 되고 있다.
행동주의에서는 그 대상이 무엇이든 간에 습관화되지 않은 것은 결국 학습되지 않은 것으로 보지 않는다. 따라서 일종의 습관인 언어를 배우는 국어교육에 있어서도 반복된 습관 이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고 주장한다.
국어과 교수학습의 방법으로서 행동주의는 부분학습과 강화학습을 중요시한다. 특히 강화학습에서강화의 방법으로 칭찬을 강조하며, 칭찬은 즉각적이고 정교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20. 화행목적(話行)
말하기의 성공과 실패를 가늠하는 기준으로 화행목적과 관계목적이 있다. 그 중 화행목적은 말하기 후, ‘메시지가 얼마나 잘 전달되었는가?’를 통해 말하기의 성패 여부를 판단한다.
모더니즘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 즉 이전의 모더니즘으로부터 억압되어 있던 가치를 드러내고, 이분구도에서 벗어나 다양성을 중시하는 것이다. 그 예로 페미니즘을 들 수 있다. 페미니즘은 여성을 위한 여남평등이 아니라 남성과 여성 모두를 위한 양성평등으로 보는 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을 가장 잘 이해한 해석이라 할 수 있겠다.
19. 행동주의 심리학
행동주의 심리학은 심리학의 대상을 의식에 두지 않고, 사람 및 동물의 객관적 행동에 두는 입장으로 국어교육의 대전제가 되고 있다.
행동주의에서는 그 대상이 무엇이든 간에 습관화되지 않은 것은 결국 학습되지 않은 것으로 보지 않는다. 따라서 일종의 습관인 언어를 배우는 국어교육에 있어서도 반복된 습관 이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고 주장한다.
국어과 교수학습의 방법으로서 행동주의는 부분학습과 강화학습을 중요시한다. 특히 강화학습에서강화의 방법으로 칭찬을 강조하며, 칭찬은 즉각적이고 정교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20. 화행목적(話行)
말하기의 성공과 실패를 가늠하는 기준으로 화행목적과 관계목적이 있다. 그 중 화행목적은 말하기 후, ‘메시지가 얼마나 잘 전달되었는가?’를 통해 말하기의 성패 여부를 판단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