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라 벤(Aphra Behn)의 『오루노코 (Oroonoko)』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프라 벤(Aphra Behn)의 『오루노코 (Oroonoko)』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Oroonoko

1. 작가 소개
2. 본문요약
3. 전, 후반부 담론의 차이
4. Oroonoko는 작가의 실제 체험에서 비롯된 사실인가 상상적 여행기의 전통을 계승한 허구인가?
5. 작품 내에서 드러나는 식민주의에 대한 견해
6. 백인여성 화자를 내세움으로써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것
7. Oroonoko가 대변하는 가치

본문내용

야 할 것이다.
5. 작품 내에서 드러나는 식민주의에 대한 견해
화자가 식민주의와 노예제에 대해서 약간의 차등을 두고 있지만, 그 차등은 단순히 피식민계층이 노예들보다 조금 더 유용하다는 것뿐이지 그 두 개를 크게 다르게 보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화자는 식민주의나 노예제에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간접적인 비판을 통해 독자들로 하여금 그것들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게 한다.
6. 백인여성 화자를 내세움으로써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것
작가는 지나칠 정도로 주요 독자층만을 겨냥한 것에 대한 비판은 많이 받지만, 후반부에 자신의 견해 또한 드러냄은 후대 비평가들이 높이 사고 있다. 그러나 작가가 백인여성 화자를 등장시킨 것은 단순히 자신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고, 백인여성을 통해 지배이데올로기를 풍자하기 위함이다. 백인여성 Behn이 그 틀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성을 통해 그들을 풍자하고 있다.
7. Oroonoko가 대변하는 가치
오루노코를 고귀한 계층의 야만인으로 만든 것은 그것을 통해 Behn이 식민사업의 주체인 신흥젠트리 계층을 비판하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고, 혹은 왕권을 주장하는 왕당파와 귀족세력들이 고귀함을 주장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비판한다는 주장도 있다.
그리고 오루노코의 몰락은 지배와 피지배구조가 존재하는 한 누구나 피지배계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오루노코가 노예가 되면서 받은 Caesar 라는 이름과 더불어 후반부에 등장하는 난폭한 아일랜드 인을 통해 로마 즉 Caesar에게 지배받던 켈트족의 후예가 Caesar를 지배함으로 역사는 되풀이되고 반전된다는 것 또한 보여준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4.10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5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