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택동 (마오쩌둥 / 毛澤東 / Mao Zedong) (농민혁명사상, 군사사상, 혁명적 공산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택동 (마오쩌둥 / 毛澤東 / Mao Zedong) (농민혁명사상, 군사사상, 혁명적 공산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모택동, 그는 누구인가?

2. 본론(1)- 모택동 그 사상의 기초
● 군중노선
● 실천론
● 모순론
● 계속적 혁명론

3. 본론(2) - 중국인 모택동의 특별한 사상과 노선
● 농민혁명사상 - 혁명과 사회발전의 동력은 농민
● 군사사상
● 혁명적 공산주의

3. 결론

본문내용

정립이다. 그러나 이러한 논리도 요즘에 와서는 적절치 않은 것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로, 모택동은 어느 한 순간에도 권력의 중심부로부터 벗어나 있지 않았다는 사실을 든다. 잃어버린 권력을 유소기, 등소평으로부터 도로 빼앗아 오기 위해 혁명을 했다기보다는 자기가 추구하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순수성을 지키고 지속적으로 공산혁명을 해나가기 위해서, 걸림돌로 작용하는 이들 ‘자본주의 위험이 있는 실권파’를 제거하고 공신세력인 노혁명동지를 압박하려 했다는 것이다. 이중, 『모택동과 중국을 이야기하다』, 김영사, 2002.1. P152
이러한 모택동의 사상은 토대인 생산수단을 개인적 소유에서 사회적 소유로 바꾸면 인간의 의식도 자동적으로 사회주의적 형태로 전환된다는 마르크스주의에 반하는 것으로 구 소련의 지도자들은 반물질주의라 하여 그의 사상을 반혁명 반마르크스주의라고 비난하였다. 하지만 “사회주의에도 계급은 있다. 절대로 계급투쟁을 잊거나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사회주의 혁명은 인간의 사상혁명으로 완성되는 것이지 물질적 제도적, 혁명으로 완수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하며 인간 사상의 혁명을 강조하며 문화 대혁명을 주창한 것이다.
3. 결론
‘조반유리(造反有理)’란 말이 있다. 무릇 모든 반항과 반란에는 나름대로 정당한 도리와 이유가 있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 ‘조반유리’는 모택동의 성격과 개성, 그의 인생 자체를 너무나도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모택동은 어릴 때부터 억압적인 아버지에 저항하는 반항아였다. 그는 ‘내가 권리를 지키기 위해 공개적으로 반항할 때는 아버지가 수그러들지만 온순하게 복종만 한다면 아버지가 더 혹독하게 때린다는 사실’을 체득하게 되었다 역저 남종호, 모택동 자서전, 다락원, 2002.1.5 P26
. 이후 집에서 억지로 맺어준 정혼을 끝까지 거부했고, 그를 집에 붙잡아 드려는 아버지와 몇 차례 겨룬 끝에 기어코 집을 나왔다. 억압과 착취에는 무조건적으로 반항하고 그것들을 파괴하려는 욕구와 의지가 아주 강하였다.
그에게 있어 ‘조반유리’적인 사상이나 감정은 소년시절부터 문화대혁명을 이끌던 만년에 이르기까지 그의 삶을 지탱시켜준 힘이었다. 즉 그의 일생을 관통하여 그를 지배한 하나의 이데올로기였다고 할 수 있다.
어린 시절 모택동은 아버지의 억압과 불합리적인 노동강요에 대하여 경전의 내용 역저 남종호, 모택동 자서전, 다락원, 2002.1.5 P24 - ‘아버지는 늘 내가 효심이 없고 게으르다고 질책했다. 그때마다 나는 경서의 구절을 인용하여 아버지와 상대했고, 윗사람은 마땅히 자애로워야 한다고 맞섰다. 내가 게으르다는 겅세 대해서는, 나이 많은 사람은 당연히 나이 어린 사람보다 일을 더 많이 해야 하고 아버지는 나보다 나이가 세 배나 많으니 더 많은 일을 하는게 마땅하다는 변론을 제시했다.’
을 들어 반항하였고, 일본 제국주의와 국민당의 탄압에는 마르크스주의에 근거하여 혁명세력과 반혁명세력으로 구분하여 저항하여 마침내 그들의 세력을 몰아내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세웠다. 그 후 혁명이 완성되고 나자 이념과 현실 사이에 괴리와 갈등이 심화되고 계층간 세대간에 위화감과 이질감을 갖게 하는 요소들이 사회 구석구석에 스며들고 있었다. 새로운 계급과 계층이 생기고 단층이 지고, 갈등과 모순이 생겨나고 있었다. 이럴 때에 모택동이 새로운 반항에 불을 질렀다. 그것도 당료나 관료 세계를 뛰어넘어 곧바로 청년과 학생을 대상으로 군중 동원의 큰 물살을 만들어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비록 문화대혁명 하면 추악하고 잔인한 권력 싸움만 떠올리는 사람도 있겠지만 앞에서 말했듯이 그의 혁명적 공산주의를 계속해 나간 것일 수도 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4.11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7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