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비즈니스 - LBS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비즈니스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바일 비즈니스 - LBS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비즈니스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LBS(Location Based Service : 위치기반서비스)란?

2. LBS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비즈니스 사례 : 손안의 관광, 스마트 투어

3. LBS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방안

본문내용

시범 서비스될 예정이다. 이는 360도 화면이동을 하며, 강남, 홍대, 종로 등 주요 거리를 볼 수 있다. KTH는 지난 3월 국내 포털 최초로 항공사진을 선보인 바있다. 이처럼 포털업체들이 ‘지도전쟁’을 벌이는 까닭은 지도가 본격화될 모바일검색시대의 패권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다른 콘텐츠에 비해 개발비와 인력, 시간 등이 많이 들지만, 미래가치가 뛰어난 것도 매력적이다. 다음 관계자는 “검색패러다임이 웹검색에서 모바일 검색으로 점차 바뀌면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반드시 장악해야할 킬러콘텐츠인 지도 경쟁이 본격화됐다”며 “와이브로, HSDPA 등 무선 인터넷환경의 발달은 사용자와 접점이 강한 포털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도는 컨버전스 서비스에서 핵심요소란 설명이다. 단순한 콘텐츠가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를 수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란 것. 포털의 경우, 지도는 기존의 메일, 카페, 블로그, 뉴스, 동영상 등 기존 서비스와 연동해, 시너지 효과를 낼수 있다. 또 이용자들에게 위치정보와 결합돼 최적화된 검색 결과 제공이 가능하고, 향후 광고 플랫폼으로 쓸 수 있어 가능성이 무한하다. 자체 지도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모바일, IPTV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확장이 가능하다. 네이버 관계자는 “지도서비스는 진입장벽이 높아 시장선점이 중요하다”며 “NTT도코모나 노키아 등 세계적인 IT기업들의 지도업체 인수사례는 실생활에서 활용되는 위치 정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이들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을 방증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온라인 시장조사업체 ‘이마케터’는 미국의 지역 검색 비중이 온라인 광고시장에서 2011년까지 23%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일반적인 정보의 80%가 지리적 결과와 연계 된다는 통계가 있다. 일반 블로그 글 하나에도 지리를 표시하는 단어가 상당부분 있다는 얘기다. 웹지도를 통해 유입되는 사용자를 확보함으로써 광고를 증대시킬 수 있는 데다, 이와 별개로 웹 지도가 수많은 서비스와 연계돼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지도 자체를 통해서는 지역정보, 여행정보, 모바일 등에 웹 지도가 접목돼 수익으로 연결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 확보를 통한 광고 유치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도 있다. 이는 당장 수익을 내기는 어렵지만 다음에 찾아오는 사용자에게 서비스 가치를 높여주기 위한 것이며, 지도 서비스가 사용자의 방문이나 체류시간을 늘려주기 때문에 광고 단가를 올리는 데도 효과적일 것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4.11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