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15746.85(N/㎡)
추의 개수2개 일 때 총 압력(추의 압력+대기압) 211375.24+101324.72=312699.96(N/㎡)
추의 개수3개 일 때 총 압력(추의 압력+대기압) 308328.35+101324.72=409653.07(N/㎡)
추의 개수4개 일 때 총 압력(추의 압력+대기압) 405281.45+101324.72=506606.17(N/㎡)
추의 개수0개 일 때 총 압력(기압) = =1.188 (atm)
추의 개수1개 일 때 총 압력(기압) = =2.157 (atm)
추의 개수2개 일 때 총 압력(기압) = =3.127 (atm)
추의 개수3개 일 때 총 압력(기압) = =4.097 (atm)
추의 개수4개 일 때 총 압력(기압) = =5.066 (atm)
추의 개수0개 일 때 기체부피(cc) = ()
추의 개수1개 일 때 기체부피(cc) = ()
추의 개수2개 일 때 기체부피(cc) = ()
추의 개수3개 일 때 기체부피(cc) = ()
추의 개수4개 일 때 기체부피(cc) = ()
추의 개수0개 일 때 PV(총 압력(N/㎡)×기체부피())=118793.75×=0.677 (Nm)
추의 개수1개 일 때 PV(총 압력(N/㎡)×기체부피())=215746.85×=0.734 (Nm)
추의 개수2개 일 때 PV(총 압력(N/㎡)×기체부피())=312699.96×=0.719 (Nm)
추의 개수3개 일 때 PV(총 압력(N/㎡)×기체부피())=409653.07×=0.696 (Nm)
추의 개수4개 일 때 PV(총 압력(N/㎡)×기체부피())=506606.17×=0.659 (Nm)
오차율
1. PV(추 0개)=P'V'(추1개) 2. PV(추 1개)=P'V'(추2개)
3. PV(추 2개)=P'V'(추3개) 4. PV(추 3개)=P'V'(추4개)
7. 결론 및 고찰
이번 실험은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공기의 부피는 입력에 반비례 한다는 보일의 법칙을 증명하는 실험이었다. 실험기를 이용하여 추의 무게를 0개, 1개, 2개, 3개, 4개로 변화시키면서 그때의 기체부피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값을 통해 추의 압력과 총 압력(추의 압력+대기압)등 여러 가지 측정값들 단위 환산해서 구할수 있었다.
보일의 법칙은 이상기체의 양과 온도가 일정하면, 압력(P)과 부피(V)는 서로 반비례한다. 는 법칙이다. 즉 PV=P'V'=k(k:비례상수) 이다. 하지만 실험을 통해 구한 PV값과 P'V'값을 비교해보면 오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오차의 원인은 전제조건이 기체분자의 크기가0이고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상기체의 경우, 부피가 1/2배가 되면 압력은 정확히 2배가 된다는 보일의 법칙 즉, 즉 PV=P'V'=k(k:비례상수) 인데 하지만 실험에서는 이상기체가 아닌 대기중에 있는 실제기체에 대한 실험이었다. 또한 압력이 커지면 그만큼 열에너지가 발생하여 손실되기 때문에 보일의 법칙처럼 정확한 비례상수 값을 구할 수가 없었던 것 같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부피와 압력은 서로 반비례한다는 보일의 법칙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추의 개수2개 일 때 총 압력(추의 압력+대기압) 211375.24+101324.72=312699.96(N/㎡)
추의 개수3개 일 때 총 압력(추의 압력+대기압) 308328.35+101324.72=409653.07(N/㎡)
추의 개수4개 일 때 총 압력(추의 압력+대기압) 405281.45+101324.72=506606.17(N/㎡)
추의 개수0개 일 때 총 압력(기압) = =1.188 (atm)
추의 개수1개 일 때 총 압력(기압) = =2.157 (atm)
추의 개수2개 일 때 총 압력(기압) = =3.127 (atm)
추의 개수3개 일 때 총 압력(기압) = =4.097 (atm)
추의 개수4개 일 때 총 압력(기압) = =5.066 (atm)
추의 개수0개 일 때 기체부피(cc) = ()
추의 개수1개 일 때 기체부피(cc) = ()
추의 개수2개 일 때 기체부피(cc) = ()
추의 개수3개 일 때 기체부피(cc) = ()
추의 개수4개 일 때 기체부피(cc) = ()
추의 개수0개 일 때 PV(총 압력(N/㎡)×기체부피())=118793.75×=0.677 (Nm)
추의 개수1개 일 때 PV(총 압력(N/㎡)×기체부피())=215746.85×=0.734 (Nm)
추의 개수2개 일 때 PV(총 압력(N/㎡)×기체부피())=312699.96×=0.719 (Nm)
추의 개수3개 일 때 PV(총 압력(N/㎡)×기체부피())=409653.07×=0.696 (Nm)
추의 개수4개 일 때 PV(총 압력(N/㎡)×기체부피())=506606.17×=0.659 (Nm)
오차율
1. PV(추 0개)=P'V'(추1개) 2. PV(추 1개)=P'V'(추2개)
3. PV(추 2개)=P'V'(추3개) 4. PV(추 3개)=P'V'(추4개)
7. 결론 및 고찰
이번 실험은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공기의 부피는 입력에 반비례 한다는 보일의 법칙을 증명하는 실험이었다. 실험기를 이용하여 추의 무게를 0개, 1개, 2개, 3개, 4개로 변화시키면서 그때의 기체부피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값을 통해 추의 압력과 총 압력(추의 압력+대기압)등 여러 가지 측정값들 단위 환산해서 구할수 있었다.
보일의 법칙은 이상기체의 양과 온도가 일정하면, 압력(P)과 부피(V)는 서로 반비례한다. 는 법칙이다. 즉 PV=P'V'=k(k:비례상수) 이다. 하지만 실험을 통해 구한 PV값과 P'V'값을 비교해보면 오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오차의 원인은 전제조건이 기체분자의 크기가0이고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상기체의 경우, 부피가 1/2배가 되면 압력은 정확히 2배가 된다는 보일의 법칙 즉, 즉 PV=P'V'=k(k:비례상수) 인데 하지만 실험에서는 이상기체가 아닌 대기중에 있는 실제기체에 대한 실험이었다. 또한 압력이 커지면 그만큼 열에너지가 발생하여 손실되기 때문에 보일의 법칙처럼 정확한 비례상수 값을 구할 수가 없었던 것 같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부피와 압력은 서로 반비례한다는 보일의 법칙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추천자료
물리 실험 - 보일의 법칙 결과 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2) 보일의 법칙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2) 보일의 법칙 예비 레포트
[공학기술]화학이랑 놀자- 실험비디오 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 보일의 법칙(예비, 결과)
[실험레포트/물리,공학] 옴의법칙 실험레포트(예비,결과)
[일반물리학실험] 보일의 법칙 결과 리포트
[화학실험] 일정성분비의 법칙
일반화학 실험 - 헤스의 법칙
[일반화학실험] 헤스의 법칙(Hess`s law) : 수산화나트륨과 염산의 반응을 통해 헤스의 법칙...
보일 -샤를의 법칙 실험
[실험보고서] 보일의 법칙 (Boyle`s Law) 실험
보일-샤를의 법칙 : 실험을 통하여 보일 샤를의 법칙의 정의인 일정량의 기체의 부피는 압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