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실 험 목 적 ················································4
◉ 실 험 이 론 ···············································4~10
◉ 미생물의 생육곡선(growth curve) ························4~5
1. 유도기(lag phase, induction phase)
2. 증식기, 로그대수기(logarithmic phase, exponential phase)
3. 안정기, 정상기(stationary phase, maximum phase)
4. 사멸기(death phase, phase of decline)
◉ 질소원의 종류 ··········································5~6
·효모 [ 酵母, yeast ]
·펩톤 [ peptone ]
·트립톤 [ tripton ]
·육엑스 [ beef extract ]
◉ 미생물 생장 조건 ·······································6~7
1. 수분(水分)의 조절
2. 공기(酸素)의 유통
3. 온도(溫度)의 분해작용
4. 양분공급(養分共給)
◉ UV-VIS Spectrophotometer ·······························8~9
◉희석법 ···············································9
◉배지 ······················································9~10
·배지 제조시 주의사항
·배지의 사용
·배지의 주요 성분
◉ 기 구 및 시 약 ··············································10
-2-
○본론
◉ 실 험 방 법 ·············································11~13
◉배지만들기
◉흑광도 측정 방법
◉도말하는방법
◉스크래치하는방법
○결론
◉ 결과 및 결론 ············································14~15
◉느낌점·······················································16
◉ 참 고 문 헌
◉ 실 험 목 적 ················································4
◉ 실 험 이 론 ···············································4~10
◉ 미생물의 생육곡선(growth curve) ························4~5
1. 유도기(lag phase, induction phase)
2. 증식기, 로그대수기(logarithmic phase, exponential phase)
3. 안정기, 정상기(stationary phase, maximum phase)
4. 사멸기(death phase, phase of decline)
◉ 질소원의 종류 ··········································5~6
·효모 [ 酵母, yeast ]
·펩톤 [ peptone ]
·트립톤 [ tripton ]
·육엑스 [ beef extract ]
◉ 미생물 생장 조건 ·······································6~7
1. 수분(水分)의 조절
2. 공기(酸素)의 유통
3. 온도(溫度)의 분해작용
4. 양분공급(養分共給)
◉ UV-VIS Spectrophotometer ·······························8~9
◉희석법 ···············································9
◉배지 ······················································9~10
·배지 제조시 주의사항
·배지의 사용
·배지의 주요 성분
◉ 기 구 및 시 약 ··············································10
-2-
○본론
◉ 실 험 방 법 ·············································11~13
◉배지만들기
◉흑광도 측정 방법
◉도말하는방법
◉스크래치하는방법
○결론
◉ 결과 및 결론 ············································14~15
◉느낌점·······················································16
◉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3개는 1082균을 넣기 위해 pH7를 맞추어준다.
비커에 시약 넣기 → 교반 → 액체배지 → 고체배지
그림1. 배지만드는 방법
-11-
각 5개의 삼각플라스크에 Agar를 3.3g을 넣어준다. 은박지를 2중으로 꼼꼼히 싸서 Autoclave에 넣고 121℃에서 15분 가량을 돌려 멸균을 시킨다.
흑광도 측정 방법
UV-Vis 기계로 가져가서 갑을 측정한다. 측정할 때에는 먼저 셀에 증류수를 넣어 영점을 맞춘다. 다음 미생물을 셀에 넣고 측정을 해준다. 이때 셀의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 쓴 셀은 증류수로 깨끗하게 씻어 말린후, 물기가 최대한 적은 상태에서 다른 미생물로 측정해준다. 물기가 남아있다면 농도의 차이가 있으므로 미세하게 틀려지기 때문이다. UV-Vis 기계가 아주 민감한 기계이므로 흔들림이나 셀의 지문 등을 깨끗하게 해주어야한다.
만든배지에 균주1082, 1153을 각 삼각플라스크에 1ml씩 넣어주고 3시간에 한번씩 흑광도를 측정해서 질소원에 따라 각 균주의 성장을 알아본다.
도말하는방법
먼저 시료액을 배지위에 떨어뜨린 후에 유리막대봉으로 문질러 줍니다. 사용하기 전 유리 막대봉은 70%에틸알콜에 담가두었다가 화염멸균후 사용합니다. 무지를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너무 세게 도말하면 배지가 찢어질 수도 있습니다. 골고루 도말해야 합니다. 도말시에는 나머지 한손으로 배지를 돌려가며 도말합니다.
그림2.도말하는 방법
스크래치하는방법
백금이를 먼저 화염멸균을 합니다. 백금이를 식힌후(식었는지 확인하려면 배지에 살짝 대보면 압니다. 아직 뜨겁다면 배지에 자국이 남게됩니다.) 균주를 백금이로 채취한 다음 패트리디쉬에 스크래치 합니다.
-12-
그림3. 스크래치 하는방법
Streaking시 주의할 사항은 너무 많은 균을 접종해선 안되며 1차도말에서 다음 단계 도말로 넘아갈 시에 새로운 균을 채취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배지에 묻어있는 균을 퍼뜨려 도말하는 것입니다. 도말의 목적은 고체배지 상에서 싱글콜로니를 얻는 것입니다.
1차도말에서는 도말간격을 촘촘히 하고 단계가 진행될 수록 간격을 넓혀 싱글콜로니를 얻도록 해줍니다. 간격이 좁으면 콜로니간 뭉치게 됩니다.
그림4. 스크래치으로 도말한 균이 자란 콜로니
그림처럼 1차에서 자란 콜로니는 간격이 매우 좁아 싱글콜로니를 볼 수 없고 각 다음단계로 갈 수록 균의 밀집도는 넓어져서 싱글콜로니가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13-
○결론
결과및 결론
그림5.균주1082의 질소원에 따른 성장 특성
-1082결과 control 성장하지 않았고 yeastextract, beefextract 비슷한 성장곡선을 보이고 있다. 두 물질은 초기에 적응을 하지 못했는지 느린 성장을 보이고 있다가 갑자기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유지하였다.
반면에 peptone는 초기에 빠른성장을 보이고있고, Tryptone은 beefextract, yeastextract와 비슷한 성장 곡선
-14-
을 보이다가 중반기 부터는 peptone과 Tryptone이 비슷하게 가장높은 성장곡선을 보이고 있다.
이결과에서 질소원을 첨가하지 않은 control은 성장을 하지 않았다.
그림6.균주1153의 질소원에 따른 성장 특성
-1153결과 control은 성장의 큰변화가 없었다 yeastextract와 beefextract는 초기에는 주의환경의 적응하지
못해 느린 성장을 하다가 적응후 급격한 성장변화를 하고있다. 중반기부터는 성장에 큰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15-
후반기 부터는 서서히 흑광도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peptone과 tryptone은 빠른 적응으로 급격한 성장곡선을 보이다가 yeastextract와 beefextract보다 느린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후반기에는 yeastextract와 beefextract와 비슷한 흑광도로 감소하고 있다.
1153또한 질소원을 넣지않은 control은 성장을 하지 않았다.
느낌점
우리조는 질소원에 따른 미생물의 성장과정을 실험을 하였다. 처음에는 듣지 못하는 시약부터 처음쓰는 기계 때문에 겁도 나지만 생소해서 궁금증 투성이였지만 은주교수님의 설명과 조원들이 힘을 모아서 하나하나 배워가면서 실험을 무사히 끝난거 같다. 그러면서 미생물의 생장조건부터 곡선 특성등 미생물에 대해 많이알았고 더 나아가 제약회사 등 연구개발에서 이런과정을 내가 직접하고 안다는 것에 뿌듯했다. 화학공학과에 입학을 해서 이런 긴 실험과 제대로는 처음이라서 이제 어디 가도 화학공학과라고 자신있게 말할수 있으며 화장품이나 어느 물품을 쓰더라도 물질에 관심이 간다. 공학이라는 것은 가장 싼가격에 좋은 물질 우리에게 필요한 물질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하셨다. 이실험도 분해 균주 실제공정 시스템에 넣기위해 균주의 특성을 알아보기에 우리는 그과정을 하였지만 이 과정을 잘 공부하여 미래 내가 취업을 할때 어디가서 이런 기본 원리들을 알아 공학에 꼭 필요한 사람이 되고싶다. 이제 고학년 1학기 시작 하였지만 2학기 4학년때는 이거 보다 더 어렵고 복잡하면서 보람있는 실험을 접하고 싶다. 그리고 1082균주에 peptone이 초기에 급격한 성장을 보니 조금 아쉬웠다. 원래 초기에는 적응을 하지 못해 느린 성장을 하여야 하는데 우리가 실험한 결과는 그러지 못하였다. 다음기회가 있다면 그때는 제대로 그래프를 그리면서 할 것이다.
참고문헌
http://www.scinco.com/application/app02.asp?code=AA06
http://blog.naver.com/fire1ce?Redirect=Log&logNo=140015880675
http://www.naver.com/지식in/계단희석법
http://blog.dreamwiz.com/document6/9480966
http://blog.naver.com/cosmos1793?Redirect=Log&logNo=120036579876
http://search.koreanstudies.net/
http://www.dbpia.co.kr/index_b2b.asp
http://www.earticle.net/
http://www.organic.or.kr/tech/tech114.php
비커에 시약 넣기 → 교반 → 액체배지 → 고체배지
그림1. 배지만드는 방법
-11-
각 5개의 삼각플라스크에 Agar를 3.3g을 넣어준다. 은박지를 2중으로 꼼꼼히 싸서 Autoclave에 넣고 121℃에서 15분 가량을 돌려 멸균을 시킨다.
흑광도 측정 방법
UV-Vis 기계로 가져가서 갑을 측정한다. 측정할 때에는 먼저 셀에 증류수를 넣어 영점을 맞춘다. 다음 미생물을 셀에 넣고 측정을 해준다. 이때 셀의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 쓴 셀은 증류수로 깨끗하게 씻어 말린후, 물기가 최대한 적은 상태에서 다른 미생물로 측정해준다. 물기가 남아있다면 농도의 차이가 있으므로 미세하게 틀려지기 때문이다. UV-Vis 기계가 아주 민감한 기계이므로 흔들림이나 셀의 지문 등을 깨끗하게 해주어야한다.
만든배지에 균주1082, 1153을 각 삼각플라스크에 1ml씩 넣어주고 3시간에 한번씩 흑광도를 측정해서 질소원에 따라 각 균주의 성장을 알아본다.
도말하는방법
먼저 시료액을 배지위에 떨어뜨린 후에 유리막대봉으로 문질러 줍니다. 사용하기 전 유리 막대봉은 70%에틸알콜에 담가두었다가 화염멸균후 사용합니다. 무지를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너무 세게 도말하면 배지가 찢어질 수도 있습니다. 골고루 도말해야 합니다. 도말시에는 나머지 한손으로 배지를 돌려가며 도말합니다.
그림2.도말하는 방법
스크래치하는방법
백금이를 먼저 화염멸균을 합니다. 백금이를 식힌후(식었는지 확인하려면 배지에 살짝 대보면 압니다. 아직 뜨겁다면 배지에 자국이 남게됩니다.) 균주를 백금이로 채취한 다음 패트리디쉬에 스크래치 합니다.
-12-
그림3. 스크래치 하는방법
Streaking시 주의할 사항은 너무 많은 균을 접종해선 안되며 1차도말에서 다음 단계 도말로 넘아갈 시에 새로운 균을 채취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배지에 묻어있는 균을 퍼뜨려 도말하는 것입니다. 도말의 목적은 고체배지 상에서 싱글콜로니를 얻는 것입니다.
1차도말에서는 도말간격을 촘촘히 하고 단계가 진행될 수록 간격을 넓혀 싱글콜로니를 얻도록 해줍니다. 간격이 좁으면 콜로니간 뭉치게 됩니다.
그림4. 스크래치으로 도말한 균이 자란 콜로니
그림처럼 1차에서 자란 콜로니는 간격이 매우 좁아 싱글콜로니를 볼 수 없고 각 다음단계로 갈 수록 균의 밀집도는 넓어져서 싱글콜로니가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13-
○결론
결과및 결론
그림5.균주1082의 질소원에 따른 성장 특성
-1082결과 control 성장하지 않았고 yeastextract, beefextract 비슷한 성장곡선을 보이고 있다. 두 물질은 초기에 적응을 하지 못했는지 느린 성장을 보이고 있다가 갑자기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유지하였다.
반면에 peptone는 초기에 빠른성장을 보이고있고, Tryptone은 beefextract, yeastextract와 비슷한 성장 곡선
-14-
을 보이다가 중반기 부터는 peptone과 Tryptone이 비슷하게 가장높은 성장곡선을 보이고 있다.
이결과에서 질소원을 첨가하지 않은 control은 성장을 하지 않았다.
그림6.균주1153의 질소원에 따른 성장 특성
-1153결과 control은 성장의 큰변화가 없었다 yeastextract와 beefextract는 초기에는 주의환경의 적응하지
못해 느린 성장을 하다가 적응후 급격한 성장변화를 하고있다. 중반기부터는 성장에 큰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15-
후반기 부터는 서서히 흑광도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peptone과 tryptone은 빠른 적응으로 급격한 성장곡선을 보이다가 yeastextract와 beefextract보다 느린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후반기에는 yeastextract와 beefextract와 비슷한 흑광도로 감소하고 있다.
1153또한 질소원을 넣지않은 control은 성장을 하지 않았다.
느낌점
우리조는 질소원에 따른 미생물의 성장과정을 실험을 하였다. 처음에는 듣지 못하는 시약부터 처음쓰는 기계 때문에 겁도 나지만 생소해서 궁금증 투성이였지만 은주교수님의 설명과 조원들이 힘을 모아서 하나하나 배워가면서 실험을 무사히 끝난거 같다. 그러면서 미생물의 생장조건부터 곡선 특성등 미생물에 대해 많이알았고 더 나아가 제약회사 등 연구개발에서 이런과정을 내가 직접하고 안다는 것에 뿌듯했다. 화학공학과에 입학을 해서 이런 긴 실험과 제대로는 처음이라서 이제 어디 가도 화학공학과라고 자신있게 말할수 있으며 화장품이나 어느 물품을 쓰더라도 물질에 관심이 간다. 공학이라는 것은 가장 싼가격에 좋은 물질 우리에게 필요한 물질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하셨다. 이실험도 분해 균주 실제공정 시스템에 넣기위해 균주의 특성을 알아보기에 우리는 그과정을 하였지만 이 과정을 잘 공부하여 미래 내가 취업을 할때 어디가서 이런 기본 원리들을 알아 공학에 꼭 필요한 사람이 되고싶다. 이제 고학년 1학기 시작 하였지만 2학기 4학년때는 이거 보다 더 어렵고 복잡하면서 보람있는 실험을 접하고 싶다. 그리고 1082균주에 peptone이 초기에 급격한 성장을 보니 조금 아쉬웠다. 원래 초기에는 적응을 하지 못해 느린 성장을 하여야 하는데 우리가 실험한 결과는 그러지 못하였다. 다음기회가 있다면 그때는 제대로 그래프를 그리면서 할 것이다.
참고문헌
http://www.scinco.com/application/app02.asp?code=AA06
http://blog.naver.com/fire1ce?Redirect=Log&logNo=140015880675
http://www.naver.com/지식in/계단희석법
http://blog.dreamwiz.com/document6/9480966
http://blog.naver.com/cosmos1793?Redirect=Log&logNo=120036579876
http://search.koreanstudies.net/
http://www.dbpia.co.kr/index_b2b.asp
http://www.earticle.net/
http://www.organic.or.kr/tech/tech114.php
추천자료
- 유전학 과제 및 실험 레포트
- 비타민 추출 실험 예비자료&시약조사&결과자료
- 환경중의 미생물 배양 실험보고서
- [일반화학실험]지시약과 pH
- 빛의파장에따른 종자발아와 종자발아의 억제와 촉진요인에 대한 실험
- 생화학 gene clonig에 대한 전반적인 결과 보고서
- 파블로프이론 고전적조건화이론의 이론적 배경과 정의, 파블로프이론 고전적조건화이론의 기...
- 상수도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생물학적 산소요구량)실험에 대해서
- 유전공학 및 실험 2
- 생명과학 - 타액의 상피세포와 근유조직세포, 혈액의 백혈구 등으로 부터 DNA를 추출, 정제해...
- 생화학 - pH에 따른 Lipase의 분해도 측정
- 생물학 실험 보고서[결과 보고서] - 지질의 검정 결과 보고서
- [화학실험]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분석 - column chromatography의 준비로서의 buffer 만들기
- (감상문) 간디 자서전(나의 진리실험 이야기)을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