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물리학실험 - 작은 벨로드롬
1. 실험 목적
2. 실험 개요
3. 배경 이론
4. 실험 기구 및 장치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결과 및 토의
1. 실험 목적
2. 실험 개요
3. 배경 이론
4. 실험 기구 및 장치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결과 및 토의
본문내용
11.08899
12.76914
14.44929
16.12944
② 200.1g짜리
흰 띠의 처음 길이: 2.7cm
흰 띠의 한계 길이: 8cm
흰 띠까지의 거리
4cm
4.5cm
5cm
5.5cm
6cm
6.5cm
7cm
회전 주기
265.9
239.5
220.9
210.5
198.8
195.3
191.3
265.9
239.3
221.1
210.4
199.1
195.5
191.2
266.2
239.4
220.9
210.7
198.9
195.3
191.3
266.4
239.5
220.9
210.6
199
195.2
191.5
265.7
239.3
220.9
210.3
198.9
195.2
191.3
평균
266.02
239.4
220.94
210.5
198.94
195.3
191.32
표준편차
0.277488738
0.1
0.089443
0.158114
0.114018
0.122474
0.109545
힘(N)
4.465173455
6.202562
8.091485
9.805402
11.97606
13.46219
15.10721
용수철 탄성계수로 계산한 힘(N)
4.75839
6.58854
8.41869
10.24884
12.07899
13.90914
15.73929
③ unknown(#11288)
흰 띠의 처음 길이: 2.3cm
흰 띠의 한계 길이: 7.6cm
흰 띠까지의 거리
4cm
4.5cm
5cm
5.5cm
6cm
6.5cm
7cm
회전 주기
213.8
195
186.2
177
173.1
169.6
167.3
214
195.2
186
177.2
172.9
170
167.6
213.6
194.6
186.3
177
172.7
169.7
167.4
214
194.9
186.4
176.9
172.7
169.8
167.2
213.6
194.8
186.4
177.1
172.8
169
167.5
평균
213.8
194.9
186.26
177.04
172.84
169.62
167.4
표준편차
0.2
0.223607
0.167332
0.114018
0.167332
0.376829
0.158114
용수철 탄성계수로 계산한 힘(N)
6.22251
8.05266
9.88281
11.71296
13.54311
15.37326
17.20341
탄성계수의 식에서 구한 추의 질량(kg)
0.028072484
0.026836
0.027071
0.026352
0.02662
0.026864
0.027189
여기서 구한 질량의 평균: 270g
7. 결과 및 토의
이번 실험은 용수철 상수로 측정한 구심력과 원운동의 반지름과 주기로 알아본 구심력이 같다는 것을 알아본 실험이었다. 아울러서 같다는 것을 안 후에, 용수철 상수로 측정한 값만을 가지고 실제 추의 질량을 알아낼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한 실험이다. 이번 실험은 대체적으로 오차가 적었다. 용수철 상수로 계산한 구심력이나 반지름을 가지고 계산한 구심력이나 그 값이 대체로 비슷했다. 그래도 약간씩의 오차가 생겼는데, 이것은 추가 회전할 때에 흰 띠의 정확한 위치를 읽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빠르게 회전하는 추에서 흰 띠의 위치는 약간 불규칙적으로 변했다. 예를 들어서 6cm일 때를 측정한다고 해도 그 흰 띠의 범위는 ±0.2cm 정도를 들락날락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그 값이 0.1cm만 크게 측정되어도 회전 주기에는 엄청난 변화를 주었다. 그만큼 정확하게 실험하기가 어려웠기도 하다. 그래서, 그 값이 측정해야 하는 흰 띠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혹은 작게 측정됨에 따라서 용수철 상수로 구한 구심력과 반지름과 회전 주기로 구한 구심력이 서로 다르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이것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정확하게 측정된 실험이라고 할 수 있겠다.
12.76914
14.44929
16.12944
② 200.1g짜리
흰 띠의 처음 길이: 2.7cm
흰 띠의 한계 길이: 8cm
흰 띠까지의 거리
4cm
4.5cm
5cm
5.5cm
6cm
6.5cm
7cm
회전 주기
265.9
239.5
220.9
210.5
198.8
195.3
191.3
265.9
239.3
221.1
210.4
199.1
195.5
191.2
266.2
239.4
220.9
210.7
198.9
195.3
191.3
266.4
239.5
220.9
210.6
199
195.2
191.5
265.7
239.3
220.9
210.3
198.9
195.2
191.3
평균
266.02
239.4
220.94
210.5
198.94
195.3
191.32
표준편차
0.277488738
0.1
0.089443
0.158114
0.114018
0.122474
0.109545
힘(N)
4.465173455
6.202562
8.091485
9.805402
11.97606
13.46219
15.10721
용수철 탄성계수로 계산한 힘(N)
4.75839
6.58854
8.41869
10.24884
12.07899
13.90914
15.73929
③ unknown(#11288)
흰 띠의 처음 길이: 2.3cm
흰 띠의 한계 길이: 7.6cm
흰 띠까지의 거리
4cm
4.5cm
5cm
5.5cm
6cm
6.5cm
7cm
회전 주기
213.8
195
186.2
177
173.1
169.6
167.3
214
195.2
186
177.2
172.9
170
167.6
213.6
194.6
186.3
177
172.7
169.7
167.4
214
194.9
186.4
176.9
172.7
169.8
167.2
213.6
194.8
186.4
177.1
172.8
169
167.5
평균
213.8
194.9
186.26
177.04
172.84
169.62
167.4
표준편차
0.2
0.223607
0.167332
0.114018
0.167332
0.376829
0.158114
용수철 탄성계수로 계산한 힘(N)
6.22251
8.05266
9.88281
11.71296
13.54311
15.37326
17.20341
탄성계수의 식에서 구한 추의 질량(kg)
0.028072484
0.026836
0.027071
0.026352
0.02662
0.026864
0.027189
여기서 구한 질량의 평균: 270g
7. 결과 및 토의
이번 실험은 용수철 상수로 측정한 구심력과 원운동의 반지름과 주기로 알아본 구심력이 같다는 것을 알아본 실험이었다. 아울러서 같다는 것을 안 후에, 용수철 상수로 측정한 값만을 가지고 실제 추의 질량을 알아낼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한 실험이다. 이번 실험은 대체적으로 오차가 적었다. 용수철 상수로 계산한 구심력이나 반지름을 가지고 계산한 구심력이나 그 값이 대체로 비슷했다. 그래도 약간씩의 오차가 생겼는데, 이것은 추가 회전할 때에 흰 띠의 정확한 위치를 읽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빠르게 회전하는 추에서 흰 띠의 위치는 약간 불규칙적으로 변했다. 예를 들어서 6cm일 때를 측정한다고 해도 그 흰 띠의 범위는 ±0.2cm 정도를 들락날락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그 값이 0.1cm만 크게 측정되어도 회전 주기에는 엄청난 변화를 주었다. 그만큼 정확하게 실험하기가 어려웠기도 하다. 그래서, 그 값이 측정해야 하는 흰 띠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혹은 작게 측정됨에 따라서 용수철 상수로 구한 구심력과 반지름과 회전 주기로 구한 구심력이 서로 다르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이것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정확하게 측정된 실험이라고 할 수 있겠다.
추천자료
일반물리학실험(북스힐)_물체의 관성모멘트 측정_사전(예비)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역학적 에너지 보존
기초전자 물리학실험 (기말)
[일반물리학실험] 열의 일당량 결과 리포트
[일반물리학실험] 함수발생기 결과 리포트
[일반물리학실험] 원운동과 구심력 - 원운동을 하는 물체의 질량, 운동반지름, 그리고 구심력...
일반물리학실험보고서(오차론,길이측정)
[물리학실험] 선운동량 보존 예비 및 결과 보고서 : 에어트랙 위에서 두 물체가 정면충돌할 ...
[물리학실험]오차론, 반응시간 예비 및 결과 보고서
[물리학및실험] (예비레포트) 암페어 법칙 (Ampere`s law) : 직선도선, 원형도선 및 솔레노이...
[일반물리학실험] 포물선 운동(Projectile Motion) : 포물선 운동을 수평운동과 수직운동으로...
[현대물리학실험] DRIVEN HARMONIC MOTION ANALYZER - 드리븐 하모니 운동 특성 이해
[물리학실험] 전자측정연습
[일반물리학실험] 페러데이법칙 (Faraday`s Law) (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