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희망제작소 직원들의 월급
희망제작소의 직원들은 직급에 따라 월급이 달라집니다.
연구원의 경우 기본급, 교통비, 식대 등 총 급여 170만 원 선임연구원의 경우 200만 원, 연구위원의 경우 250만 원으로 구성됩니다. 그런데 희망제작소는 무급으로 인턴을 채용하여 하루 식대인 5천원만을 지급하고 정직원과 비슷한 수준의 노동을 시켜서 노동착취라는 논란이 일었습니다. 희망제작소의 입장에서는 물질적인 풍요대신 희망과 경험을 줄 수 있고 합의된 경우라고 주장하였고, 여론에서는 노동법을 무시한 노동착취의 경우다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전화 인터뷰 내용
(질문) 사회적 경제의 실현과 시민적 거버넌스의 실현이 희망제작소의 비전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것들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민단체 단독으로는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부와 연계해서 활동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대답) 사회적 경제와 정부-기업-시민이 함께 하는 거버넌스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회 모든 영역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희망제작소는 비영리 민간단체이지만 재정적인 부분과는 다르게 전국 50개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연구모임인 ‘목민관클럽’을 운영하는 등 비전의 실현을 위해 연계해나가고 있습니다.
(질문) 요즘 대학생들에게 최대의 고민거리는 취업입니다. NGO가 새로운 직업으로 떠오르고 있는대요. 희망제작소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대답) 희망제작소는 비영리부분에서 활동할 열정과 관련분야에 대한 전문성 그리고 희망을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희망제작소의 일원이 되실 수 있습니다.
희망제작소를 조사, 인터뷰하면서 느낀점
저희 정치행정학과 2학년 황석하, 조진만은 작년에 엄한진 교수님의 사회학과 관련된 사회학개론 수업을 처음 들었고 수업을 듣고 공부하는 도중에 사회학쪽에 관심이 조금 더 생겨 NGO수업을 듣게 되었습니다. 물론 사회학개론과는 수업내용의 차이가 있지만 NGO는 말로만 듣던 단어라서 더 관심이 생겼고 이번 과제는 직접 NGO를 조사하며 직접 찾아가 인터뷰하는 것이 주제여서 좋았습니다. 저희 조는 안타깝게도 저희가 조사한 희망제작소에서 인터뷰가 불가능 하고 전화로 인터뷰하는 것도 한계가 있어서 많은 정보의 인터뷰를 한 것은 아니라서 실제 희망제작소와는 살짝 차이가 있을 수도 있었기에 상당히 안타까웠습니다. 희망제작소는 시민이 직접 참여해서 거대한 담론이나 관념적인 이론이 아닌 구체적인 현실에서 변화를 이끌어낸다는 시민참여형 목표가 상당히 마음에 들었고 소기업과 농촌을 살려 사회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다는 의도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수업시간에 발표를 듣고 희망제작소 말고도 수많은 NGO들이 있고 다양한 운동, 의도를 가지고 있다는 점도 깨달았습니다. 희망제작소는 예산을 공개, 신속, 친절, 감사, 준법 등으로 지키고 있는 투명한 재정이 있는데 2011년 9월 무급인턴제 논란에 휩싸여 있던 것을 보고 정확한 판단은 못 내리겠지만 좋은 활동과 의도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NGO단체에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희망제작소의 직원들은 직급에 따라 월급이 달라집니다.
연구원의 경우 기본급, 교통비, 식대 등 총 급여 170만 원 선임연구원의 경우 200만 원, 연구위원의 경우 250만 원으로 구성됩니다. 그런데 희망제작소는 무급으로 인턴을 채용하여 하루 식대인 5천원만을 지급하고 정직원과 비슷한 수준의 노동을 시켜서 노동착취라는 논란이 일었습니다. 희망제작소의 입장에서는 물질적인 풍요대신 희망과 경험을 줄 수 있고 합의된 경우라고 주장하였고, 여론에서는 노동법을 무시한 노동착취의 경우다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전화 인터뷰 내용
(질문) 사회적 경제의 실현과 시민적 거버넌스의 실현이 희망제작소의 비전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것들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민단체 단독으로는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부와 연계해서 활동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대답) 사회적 경제와 정부-기업-시민이 함께 하는 거버넌스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회 모든 영역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희망제작소는 비영리 민간단체이지만 재정적인 부분과는 다르게 전국 50개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연구모임인 ‘목민관클럽’을 운영하는 등 비전의 실현을 위해 연계해나가고 있습니다.
(질문) 요즘 대학생들에게 최대의 고민거리는 취업입니다. NGO가 새로운 직업으로 떠오르고 있는대요. 희망제작소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대답) 희망제작소는 비영리부분에서 활동할 열정과 관련분야에 대한 전문성 그리고 희망을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희망제작소의 일원이 되실 수 있습니다.
희망제작소를 조사, 인터뷰하면서 느낀점
저희 정치행정학과 2학년 황석하, 조진만은 작년에 엄한진 교수님의 사회학과 관련된 사회학개론 수업을 처음 들었고 수업을 듣고 공부하는 도중에 사회학쪽에 관심이 조금 더 생겨 NGO수업을 듣게 되었습니다. 물론 사회학개론과는 수업내용의 차이가 있지만 NGO는 말로만 듣던 단어라서 더 관심이 생겼고 이번 과제는 직접 NGO를 조사하며 직접 찾아가 인터뷰하는 것이 주제여서 좋았습니다. 저희 조는 안타깝게도 저희가 조사한 희망제작소에서 인터뷰가 불가능 하고 전화로 인터뷰하는 것도 한계가 있어서 많은 정보의 인터뷰를 한 것은 아니라서 실제 희망제작소와는 살짝 차이가 있을 수도 있었기에 상당히 안타까웠습니다. 희망제작소는 시민이 직접 참여해서 거대한 담론이나 관념적인 이론이 아닌 구체적인 현실에서 변화를 이끌어낸다는 시민참여형 목표가 상당히 마음에 들었고 소기업과 농촌을 살려 사회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다는 의도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수업시간에 발표를 듣고 희망제작소 말고도 수많은 NGO들이 있고 다양한 운동, 의도를 가지고 있다는 점도 깨달았습니다. 희망제작소는 예산을 공개, 신속, 친절, 감사, 준법 등으로 지키고 있는 투명한 재정이 있는데 2011년 9월 무급인턴제 논란에 휩싸여 있던 것을 보고 정확한 판단은 못 내리겠지만 좋은 활동과 의도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NGO단체에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추천자료
NGO 비정부기구 조사자료
국제경제기구
국제위기관리기구의 역할과 기능
[한국정치/정치학A+] 비영리기구 NGO(Non Governmental Organization) 발생배경과 한국 NGO ...
[NGO교육]NGO(비정부기구)교육의 현황, NGO(비정부기구)교육의 제도화수준, NGO(비정부기구)...
[동학농민운동][위정척사운동][6.10만세운동]동학농민운동, 위정척사운동, 3.1운동, 6.10만세...
국제관광기구
[국제인권]국제인권의 정의, 국제인권의 역사, 국제인권의 규범적 가치, 국제인권의 인권위원...
국제기구와 인권 - 인권과 국제기구, 인권과 국제기구의 역할, 유엔과 비정부기구(NGO)와 인...
국제기구, 뉴질랜드, 호주, 미국, 영국, 중국, 일본, 한국 가운데 한 국가를 선정하여 그 국...
[국가과외] 제10장 교육의 희망
[국가과외] 제 10 장 교육의 희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