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기강화상담 BOOK READING
제 1부. 동기강화상담의 배경
제 1장. 사람들은 왜 변하는가
제 2장. 양가감정
제 3장. 변화를 촉진하기
제 1부. 동기강화상담의 배경
제 1장. 사람들은 왜 변하는가
제 2장. 양가감정
제 3장. 변화를 촉진하기
본문내용
깔려 있으며, 이러한 불일치감의 정도가 클수록 행동변화를 할 필요성이나 중요성이 커지게 된다.
- 불일치감은 행동자체의 변화보다 그 행동에 대해 느끼는 의미의 변화가 일어날 때 발생한다.
- 양가감정은 변화를 방해하는 장애물이 아니고 오히려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변화대화 : 자기동기화 언어
-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양가감정을 먼저 강화시키고 나서 그것을 해결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방어를 끌어내는 질문보다는 내담자가 변화의 유익한 점 이나 변화를 하고자 하는 이유를 스스로 말하게 만들도록 하는 식으로 대화를 끌어 내야 한다.
변화대화의 범주
1. 현상유지의 단점
현재 상황에 대해 염려스럽고 불만스러워할 이유가 있음을 시인하는 말을 이끌 어 내는 것이다.
2. 변화의 장점
변화를 하면 좋아질 점을 생각하고 인정하는 말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3. 변화가능성에 대한 낙관적인 자세
변화가 일어날 수 있게 할 자신감이나 희망감을 표현하도록 이끌어 내는 것이 다.
4. 변화의도
변화하고자 하는 쪽으로 기울어지면 사람들은 변하고자 하는 의도, 열망, 의지 력, 혹은 실천의욕에 대해 표현하기 시작한다.
동기화상담의 정의
1. 동기강화 상담은 내담자-중심 또는 인간 중심적인 상담이라 할 수 있다.
2. 동기강화상담에서는 의식적으로 지시적인 방법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Rogers의 방법 과 다르다.
3. 동기강화상담이 면담기술들의 모음이라기보다는 의사소통방법 중의 하나이다.
4. 동기강화상담의 초점은 내담자에게 내재되어 있는 변화동기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5. 동기강화상담은 변화를 이끌어 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약가감정을 탐색하고 이 양가감정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둔다.
동기화상담의 한계
1. 동기강화상담은 아직 초기단계에 있다.
2. 동기강화상담은 다른 방법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방법일 뿐이다.
3. 동기강화상담은 바깥 한계선이 분명하지 않다 : 동기강화상담이 언제 가장 효과적이 고 언제 가장 비효과적인지에 대해 연구해야 한다.
다른 치료방법과의 통합
1. 다른 치료방법을 사용하기 전에 동기강화상담을 첫 상담이나 초기 면접시에 제공한 다.
2. 동기강화상담을 단순히 다른 치료의 시작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치료 전체과정 의 상담 및 의사소통 스타일이라고 생각한다.
3. 동기강화상담을 배경으로 둔다 : 치료를 하다가 전면으로 드러나는 동기 이슈를 다시 다룰 수 있게 된다.
- 불일치감은 행동자체의 변화보다 그 행동에 대해 느끼는 의미의 변화가 일어날 때 발생한다.
- 양가감정은 변화를 방해하는 장애물이 아니고 오히려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변화대화 : 자기동기화 언어
-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양가감정을 먼저 강화시키고 나서 그것을 해결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방어를 끌어내는 질문보다는 내담자가 변화의 유익한 점 이나 변화를 하고자 하는 이유를 스스로 말하게 만들도록 하는 식으로 대화를 끌어 내야 한다.
변화대화의 범주
1. 현상유지의 단점
현재 상황에 대해 염려스럽고 불만스러워할 이유가 있음을 시인하는 말을 이끌 어 내는 것이다.
2. 변화의 장점
변화를 하면 좋아질 점을 생각하고 인정하는 말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3. 변화가능성에 대한 낙관적인 자세
변화가 일어날 수 있게 할 자신감이나 희망감을 표현하도록 이끌어 내는 것이 다.
4. 변화의도
변화하고자 하는 쪽으로 기울어지면 사람들은 변하고자 하는 의도, 열망, 의지 력, 혹은 실천의욕에 대해 표현하기 시작한다.
동기화상담의 정의
1. 동기강화 상담은 내담자-중심 또는 인간 중심적인 상담이라 할 수 있다.
2. 동기강화상담에서는 의식적으로 지시적인 방법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Rogers의 방법 과 다르다.
3. 동기강화상담이 면담기술들의 모음이라기보다는 의사소통방법 중의 하나이다.
4. 동기강화상담의 초점은 내담자에게 내재되어 있는 변화동기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5. 동기강화상담은 변화를 이끌어 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약가감정을 탐색하고 이 양가감정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둔다.
동기화상담의 한계
1. 동기강화상담은 아직 초기단계에 있다.
2. 동기강화상담은 다른 방법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방법일 뿐이다.
3. 동기강화상담은 바깥 한계선이 분명하지 않다 : 동기강화상담이 언제 가장 효과적이 고 언제 가장 비효과적인지에 대해 연구해야 한다.
다른 치료방법과의 통합
1. 다른 치료방법을 사용하기 전에 동기강화상담을 첫 상담이나 초기 면접시에 제공한 다.
2. 동기강화상담을 단순히 다른 치료의 시작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치료 전체과정 의 상담 및 의사소통 스타일이라고 생각한다.
3. 동기강화상담을 배경으로 둔다 : 치료를 하다가 전면으로 드러나는 동기 이슈를 다시 다룰 수 있게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약물][약물남용][약물중독][청소년약물남용][청소년약물중독][약물남용 예방대책][청소년문...
생활지도상담의 개념과 목표, 생활지도상담의 종류와 차원, 생활지도상담의 특성과 과정, 생...
상담자로서 내담자와 상담관계를 형성함에 있어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상담이론은 무엇인가. ...
상담이론 중 인간관 정신분석상담, 행동주의상담, 인간중심상담의 인간관에 대해서 비교하고 ...
상담자의 자질과 학교폭력 - 청소년 상담 (상담사의 자질, 학교폭력의 실태 및 특징, 생활지...
인간중심상담 접근방법의 주요개념과 상담과정과 기술을 정리하고 청소년 개별상담의 실제를 ...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직업상담사 자소서 직업상담사 자기소개서 합격직업상담사자소서/이력서 직업전문학교 직업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