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내 환경
2. 실외 환경
3. 교실의 환경 구성
4. 흥미 영역 구성의 예
2. 실외 환경
3. 교실의 환경 구성
4. 흥미 영역 구성의 예
본문내용
1. 실내 환경
╋━━━━━━━━━━─────────
((1) 현 관)
◎ 현관은 친구와 교사와 만나는 공간이자 부모와 헤어지는 공간이므로 기분 좋고 유쾌한 기분이 들도록 구성해야 한다.
((2) 교직원을 위한 공간)
◎ 교직원이 영유아를 위한 교육 활동을 연구∙계획하고 서로의 의견도 교환하며 하루의 일을 정리하고 내일을 계획하는 공간이다.
((3) 교 실)
◎ 교실은 통합된 공간으로 영유아가 자율적으로 활용하며, 기본적인 시설 설비와 함께 영유아를 위한 교육 자료들로 구성되어진다.
◎ 교실은 자연 채광과 통풍이 잘 되는 밝은 공간으로 가정집의 아늑한 방과 같은 느낌이 들도록 한다.
1. 실내 환경
╋━━━━━━━━━━─────────
((4) 실내 놀이실)
◎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이나 눈이 많이 올 때 바깥놀이터를 대신하여 신나게 뛰고 구르며 놀 수 있는 넓은 공간으로 구성
◎ 각 반 교실에서 하기 힘든 동적인 놀이나 대그룹 활동 등으로도 활용되는 공간이다.
((5) 화장실)
◎ 교실 내에 혹은 가까이에 배치하고, 아름답고 깨끗하게 구성
◎ 냄새 제거를 위해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 올바른 습관이 실천될 수 있도록 지원하도록 한다.
((6) 주방 및 식사 공간)
◎ 영유아의 피로 회복을 위한 간식과 식사를 준비하는 곳으로 건강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곳이다.
◎ 주방과 가까운 곳에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식사 공간이 필요하다.
≪ … 중 략 … ≫
2. 실외 환경
╋━━━━━━━━━━─────────
((1) 신체적 활동 공간)
◎ 영유아가 활발히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과 시설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네, 미끄럼틀, 시소, 정글짐 등이 분리 설치되거나 혹은 복합 종합 놀이 시설로 배치해 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전을 위해 시멘트 바닥을 피하고 모래나 흙 또는 고무 바닥에 설치한다.
◎ 빈 공간을 두고 자연 친화적인 소재로 함께 탐험해 갈 수 있는 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2) 구성 활동 공간)
◎ 모래밭 근처에는 수도나 물을 얻을 수 있는 장소를 설치하여 모래놀이, 흙놀이, 물놀이 공간을 구성해 주는 것이 좋다. 이 공간은 큰 나무 아래나 지붕이 있는 그늘진 곳에 마련하고 안전하고 깨끗한 흙과 모래와 물을 유지해 주어야 한다.
╋━━━━━━━━━━─────────
((1) 현 관)
◎ 현관은 친구와 교사와 만나는 공간이자 부모와 헤어지는 공간이므로 기분 좋고 유쾌한 기분이 들도록 구성해야 한다.
((2) 교직원을 위한 공간)
◎ 교직원이 영유아를 위한 교육 활동을 연구∙계획하고 서로의 의견도 교환하며 하루의 일을 정리하고 내일을 계획하는 공간이다.
((3) 교 실)
◎ 교실은 통합된 공간으로 영유아가 자율적으로 활용하며, 기본적인 시설 설비와 함께 영유아를 위한 교육 자료들로 구성되어진다.
◎ 교실은 자연 채광과 통풍이 잘 되는 밝은 공간으로 가정집의 아늑한 방과 같은 느낌이 들도록 한다.
1. 실내 환경
╋━━━━━━━━━━─────────
((4) 실내 놀이실)
◎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이나 눈이 많이 올 때 바깥놀이터를 대신하여 신나게 뛰고 구르며 놀 수 있는 넓은 공간으로 구성
◎ 각 반 교실에서 하기 힘든 동적인 놀이나 대그룹 활동 등으로도 활용되는 공간이다.
((5) 화장실)
◎ 교실 내에 혹은 가까이에 배치하고, 아름답고 깨끗하게 구성
◎ 냄새 제거를 위해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 올바른 습관이 실천될 수 있도록 지원하도록 한다.
((6) 주방 및 식사 공간)
◎ 영유아의 피로 회복을 위한 간식과 식사를 준비하는 곳으로 건강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곳이다.
◎ 주방과 가까운 곳에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식사 공간이 필요하다.
≪ … 중 략 … ≫
2. 실외 환경
╋━━━━━━━━━━─────────
((1) 신체적 활동 공간)
◎ 영유아가 활발히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과 시설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네, 미끄럼틀, 시소, 정글짐 등이 분리 설치되거나 혹은 복합 종합 놀이 시설로 배치해 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전을 위해 시멘트 바닥을 피하고 모래나 흙 또는 고무 바닥에 설치한다.
◎ 빈 공간을 두고 자연 친화적인 소재로 함께 탐험해 갈 수 있는 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2) 구성 활동 공간)
◎ 모래밭 근처에는 수도나 물을 얻을 수 있는 장소를 설치하여 모래놀이, 흙놀이, 물놀이 공간을 구성해 주는 것이 좋다. 이 공간은 큰 나무 아래나 지붕이 있는 그늘진 곳에 마련하고 안전하고 깨끗한 흙과 모래와 물을 유지해 주어야 한다.
추천자료
- 자유선택활동의 의의와 가치, 영역별 환경구성
- 보육시설의 안전한 환경구성 및 영유아의 안전관리지도와 사고예방
-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환경구성과 교사의 역활에 대해 쓰고 자신이 생각하는 발도르프 프로그...
- 만5세 기준의 보육교사의 역할과 환경구성
- 보육활동의 각 영역별 환경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아동복지론] 생태체계론적 환경구성과 아동복지실천에 대한 견해
-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환경구성과 교사의 역할에 대해 쓰고 자신이 생각하는 발도르프 프로그...
- 영유아를 위한 언어교육 환경구성을 제시.
- 영아반과 유아반의 영역별 환경구성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각 영역별 특징을 비교분석 하시오
- 영유아infants 언어지도의 원리와 환경구성 및 교사의 역할
- 영유아 교수학습 환경구성의 원리와 중요성
- 과학영역을 위한 실내 환경구성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자세히 기술. (대상 만5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