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를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를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Ⅱ. 줄거리

Ⅲ. 주요 문구

Ⅳ. 책을 읽고

Ⅴ. 결론

본문내용

새로운 음악들이 도입됨에 따라 체념과 한을 정서로 하는 트로트는 자연스럽게 상대적인 소외계층의 음악으로 대표되고 그런 가운데 그 음악자체를 천박하게 취급하는 풍조가 생겨난 것으로 저자는 설명하면서 좀 더 객관화된 취향을 갖기를 독자들에게 권유한다.
 일제시대의 트로트로부터 팝·통기타·록·민중음악 그리고 현대의 여러 갈래에 이르기까지의 대중문화를 유쾌하게 엮어내는 중에 저자는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문제점을 문화의 이식적 성격이라고 진단한다. 과거 일제시대에 일본의 선법을 차용한 트로트가 도입됐으나 서구적인 음악이 새로이 도입되면서 과거의 음악은 우리나라에 토착화되기 전에 진부하고 촌스러운 것으로 전락해버렸다. 이와 비슷한 상황이 그 후로도 계속돼, 새로운 것을 갈망하는 대중에게 다른 나라의 문화를 좀 더 신속하게 전달해 주는 것이 성공하는 지름길같이 돼버린 것이다. 이 같은 토양에서는 진정한 대중음악이 뿌리를 내릴 수 없다. 좀 더 창의적이고 참신함을 추구한다고 하면서도 정작 선택은 남의 것을 수용하는 입장을 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현재 우리나라 모든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문제점인데, 대중의 가려운 곳을 가장 민감하게 긁어주는 대중음악에서 이러한 문제점들이 첨예하게 드러난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외국의 노래를 표절하는 가수의 뒤에는 그 문화를 표절하고 싶어하는 대중의 심리가 숨어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중음악의 타당한 방향은 그에 상응하는 사회의식과 요구가 선행되었을 때 가능한 일이다.
 시간이 흘러도 사람들은 마음속의 추억과 함께 그 시절의 노래를 간직한다. 봄볕이 따뜻한 날 그 시절을 떠올리며 그 노래에 얽혀있는 시대의 상황을 거침없이 풀어내는 저자의 소리를 읽는 것도 즐거운 일이 될 듯하다.
Ⅴ. 결론
2012년 싸이가 한국어로 된 ‘강남 스타일’을 빌보드 차트에 진입시키며 전 세계적인 히트를 하며 새로운 가요의 경향을 보여줬다. 이제 한국 대중음악은 세계의 대중음악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상업적인 측면의 성장이라는 점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음악장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세계화라는 명목아래 점점 고유의 색깔이 없어져 미국 음악과 구분되지 않게 되었으며 인기 있는 음악은 몇몇 장르에 편중되어 비슷한 음악을 양산하기에 이르렀다. 가수들은 음악으로 인기를 얻고 좋은 음악을 부르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기획사에 의해 기획된 ‘상품’으로 많은 수익을 내는 것이 목표가 되었고, 사회에 대해 사람에 대해 인생에 대해 이야기하고 대중의 갈망을 표출하던 음악 가사들은 뜻이 통하지 않는 외국어를 남발하고 출처를 알 수 없어 ‘외계어’라 불릴 정도로 뜻도 없는 후크송의 범람으로 이어지며 대중음악의 질적 향상을 저해하고 있다.
대중가요는 민중의 노래를 대변하는 가요이다. 우리의 한을 담고, 우리의 정서를 담아 모두에게 널리는 것이 진정한 대중가요이다. 과거 우리가 그러했던 것처럼 말이다. 점점 상업주의에 물들어 진정한 대중문화의 색이 사라지고 있는 현실에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4.30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5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