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자원봉사자의 개념
1. 자원봉사자의 정의
2. 자원봉사자의 특성
3. 현대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
Ⅱ. 자원봉사자의 역할과 동기
1. 자원봉사자의 역할
2. 자원봉사자의 동기
Ⅲ. 자원봉사활동의 관계망
Ⅳ. 자원봉사활동의 조정
Ⅴ.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의 주의사항
Ⅵ. 자원봉사활동의 과정
1. 기획
2. 모집
3. 교육훈련
4. 배치
5. 평가
Ⅶ.자원봉사활동의 제도화와 의사전달 기술
1. 의사전달 기술
2. 자원봉사의 제도화
《 참고 자료》
1. 자원봉사자의 정의
2. 자원봉사자의 특성
3. 현대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
Ⅱ. 자원봉사자의 역할과 동기
1. 자원봉사자의 역할
2. 자원봉사자의 동기
Ⅲ. 자원봉사활동의 관계망
Ⅳ. 자원봉사활동의 조정
Ⅴ.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의 주의사항
Ⅵ. 자원봉사활동의 과정
1. 기획
2. 모집
3. 교육훈련
4. 배치
5. 평가
Ⅶ.자원봉사활동의 제도화와 의사전달 기술
1. 의사전달 기술
2. 자원봉사의 제도화
《 참고 자료》
본문내용
수없이 자발적으로 서비스하는 개인
미국의 자원봉사 개요(특징)
봉사 이념에 따라 대학 설립
- ‘봉사’가 필수 요소
- 하바드, 프린스턴, 예일, 퀸스칼리지
자원봉사 국가
- 대부분의 시민참여 → 시민문화로 정착
- 교육기관, 정부, 기업, 사회단체 등 조직적 활동
체계적 자원봉사
- 정부주도(국가정책 및 입법)
- 민간참여
종교적, 자선적 동기에서 점차 상부상조의 정신으로 변화
봉사실시 종교의 범의도 확대 (기독교, 천주교, 마호멧교, 불교 등)
1) 기초기 : 비 조직화 시기(1600년대~18C 말)
식민지 시대 → 영국 구빈법 영향 받음
- 극심한 경제적, 신체적 궁핍만 국가 책임
- 빈민의 지역책임제 및 가족 책임제
이주 개척민 상호간 생존을 위한 상부상조(자조) → 자발적 민간활동 대두(자선협회, 고아원, 병원)
→ 스콧자선협회 (1957)
청교도정신 , 자유방임주의 →빈곤고의 개인 책임
청교도 정신 : 근면, 성실, 정직, 봉사 → 미국 건설의 원동력, 미국발전의 정신적 지주
자선협회 설립
2) 형성기 : 민간 차원의 조직화시기(19C~1950년 말)
개인주의 사상 → 국가의 무분별한 자선금지
민간차원 자발적 자선활동만 인정 → 자선조직협회 성황
사회문제(도시집중, 슬럼, 실업)대두 → 인보사업 ⇒ Hull House : Jane Addams 시카고설립
1차 세계대전 : 전쟁 미망인 돕기 → 가난한 사람 돕기
남북전쟁 ∼ 1930년대 : 소집단 자원봉사활동 활발
⇒ 적십자사, YMCA, YWCA, 전국 사회복지협의회, 구세군, 헐하우스, 공중보건협회, 전국결핵협회, 소년클럽, 전국실명예방협회, 보이스카웃, 미국가정복지협회등
2차 세계대전 : ‘시민방위청’조직→ 전쟁피해자 구조
⇒ 경제적 여유 있는 자만이 자원봉사자라는 인식 불식
자원봉사사무국(1926), 자원봉사자 사무국협회(1950)설립
3) 확대기 : 정부주도하의 육성시기(1950~1980년)
케네디 : 뉴프런티어 정책
→ 평화봉사단 (Peace Corps)창성 (1961)
→ 후진국 경제, 사회발전원조
(학교 교육, 말라리아 퇴치 및 보건 위생사업, 농촌 생활개선, 산업계획과 건설공사, 행정사무등의 사업)
존슨 : 위대한 사회정책
→ VISTA(volunteers in Sercvice to America)창설 (1963)
→ 빈곤퇴치(전국조직)
닉슨
- 전국자원봉사 센터(NCVA)창설(1970) → VOLUNTEER(1979) → 촛불재단으로 개편
- 자원봉사 독립부서(ACTION)설치 (1971)
- 국내자원봉사 활동법 제정 (1973) → 자원봉사에 대한 연방정부의 지원을 합법화
특징 : 법률제정, 정부이 강력한 지원
4) 재정립기 : 공.사협력기(1981∼ 현재)
신연방주의 : 연방정부 부담 경감, 지방정부책임강조
부시 : ‘전국지역사회봉사법’ 제정(1990) → 정부와 민간체계연계
촛불재단 (POLF : Point of Light Foundation)설립(1990) → 전국 규모의 민간자원봉사 전문기관, 정부지원, 500여개 자원봉사센터에 기술적 원조
클린턴 : ‘전국봉사활동법’제정(1993) → 대학생, 청소년 자원봉사에 정부가 지원 → 이법에 의하여 ‘전국봉사연합’창설 → 계약제 국가자원봉사단인 ‘미봉사단(Ameri Corps)' 조직 → 학생자원봉사활동 확충
3) 선진국을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의 제도화 전망
⑴ 자원봉사활동의 체계화
<동대문구, 이색 자원봉사프로그램 "눈에 띠네">
기사입력 : 2013년02월28일 17시12분
(아시아뉴스통신=이미현 기자)
동대문구 브랜드 슬로건.(사진제공=동대문구)
서울 동대문구는 '나눔과 참여를 통한 더불어 함께사는 희망동대문구 만들기'라는 자원봉사 마스터플랜을 정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각가지 자원봉사 액션플랜을 전개하고 있다.
우선 전국 최초로 구 캐릭터인 꿈동이를 자원봉사 꿈동이로 재디자인화해 각종 홍보에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원봉사 개념 확대에 발맞춰 엠블럼을 변경하기도 했다.
또 퇴직자 등을 대상으로 '영시니어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고 있으며 톡톡아이디어방 설치, 자원봉사대상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창의적인 자원봉사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특히 글로벌시대를 맞이해 해외자원봉사활동을 계획 중에 있으며 비록 구 인구의 1.4%에 불과한 다문화가정이지만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이들을 위한 3D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3D자원봉사프로그램이란 이중적인 의미로 D(다문화가정과), D(더불어 함께하는), D(동대문구 자원봉사프로그램)이라는 의미와 단순히 교육을 받는 평면적 느낌이 아닌 직접 보고 듣고 함께 느끼는 입체적인 방식의 프로그램이라는 종합적 의미의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우리나라에서 일하는 외국인노동자들을 대상으로 무료진료와 구호활동을 하고 있는 의료봉사단체인 사회복지법인 '라파엘클리닉'과 연계해 진행할 계획이다.
또 오는 4월 한 달간 매주 월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동대문구자원봉사센터 4층 교육장에서 다문화가정 가임여성 및 임산부를 대상으로 모자건강교육을 비롯한 한국어, 자원봉사기본교육 등을 우선 실시하고 향후 희망자가 많을 경우 연중 지속적으로 확대 실시하기로 했다.
본 교육에는 다문화가정은 물론 일반 자원봉사자들도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해 나눔의 장으로 만들어 갈 예정이다.
유덕열 동대문구청장 "외부기관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해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서비스 지원은 물론 다문화가정과 일반자원봉사자와의 유대관계를 통해 더불어 함께 행복한 동대문구를 건설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⑵ 자원봉사자의 안전
⑶ 자원봉사자의 교육과 유급지원
《 참고 자료》
사회복지학개론, 박차상 외 5인 공저, 학현사
자원봉사론 강해, 현외성, 학지사
자원봉사의 이해, 김범수 외 공저, 2001
구글 자원봉사
자원봉사론, 류기영외 5인 공저 양서원
신 자원봉사론, 정하성 백산출판사
21세기 청소년자원봉사 정책과 추진방향, 김정배 외 2인 공저 한국 청소년 개발원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 체계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남미애
뉴스와이, 2013.5.28 뉴스기사
미국의 자원봉사 개요(특징)
봉사 이념에 따라 대학 설립
- ‘봉사’가 필수 요소
- 하바드, 프린스턴, 예일, 퀸스칼리지
자원봉사 국가
- 대부분의 시민참여 → 시민문화로 정착
- 교육기관, 정부, 기업, 사회단체 등 조직적 활동
체계적 자원봉사
- 정부주도(국가정책 및 입법)
- 민간참여
종교적, 자선적 동기에서 점차 상부상조의 정신으로 변화
봉사실시 종교의 범의도 확대 (기독교, 천주교, 마호멧교, 불교 등)
1) 기초기 : 비 조직화 시기(1600년대~18C 말)
식민지 시대 → 영국 구빈법 영향 받음
- 극심한 경제적, 신체적 궁핍만 국가 책임
- 빈민의 지역책임제 및 가족 책임제
이주 개척민 상호간 생존을 위한 상부상조(자조) → 자발적 민간활동 대두(자선협회, 고아원, 병원)
→ 스콧자선협회 (1957)
청교도정신 , 자유방임주의 →빈곤고의 개인 책임
청교도 정신 : 근면, 성실, 정직, 봉사 → 미국 건설의 원동력, 미국발전의 정신적 지주
자선협회 설립
2) 형성기 : 민간 차원의 조직화시기(19C~1950년 말)
개인주의 사상 → 국가의 무분별한 자선금지
민간차원 자발적 자선활동만 인정 → 자선조직협회 성황
사회문제(도시집중, 슬럼, 실업)대두 → 인보사업 ⇒ Hull House : Jane Addams 시카고설립
1차 세계대전 : 전쟁 미망인 돕기 → 가난한 사람 돕기
남북전쟁 ∼ 1930년대 : 소집단 자원봉사활동 활발
⇒ 적십자사, YMCA, YWCA, 전국 사회복지협의회, 구세군, 헐하우스, 공중보건협회, 전국결핵협회, 소년클럽, 전국실명예방협회, 보이스카웃, 미국가정복지협회등
2차 세계대전 : ‘시민방위청’조직→ 전쟁피해자 구조
⇒ 경제적 여유 있는 자만이 자원봉사자라는 인식 불식
자원봉사사무국(1926), 자원봉사자 사무국협회(1950)설립
3) 확대기 : 정부주도하의 육성시기(1950~1980년)
케네디 : 뉴프런티어 정책
→ 평화봉사단 (Peace Corps)창성 (1961)
→ 후진국 경제, 사회발전원조
(학교 교육, 말라리아 퇴치 및 보건 위생사업, 농촌 생활개선, 산업계획과 건설공사, 행정사무등의 사업)
존슨 : 위대한 사회정책
→ VISTA(volunteers in Sercvice to America)창설 (1963)
→ 빈곤퇴치(전국조직)
닉슨
- 전국자원봉사 센터(NCVA)창설(1970) → VOLUNTEER(1979) → 촛불재단으로 개편
- 자원봉사 독립부서(ACTION)설치 (1971)
- 국내자원봉사 활동법 제정 (1973) → 자원봉사에 대한 연방정부의 지원을 합법화
특징 : 법률제정, 정부이 강력한 지원
4) 재정립기 : 공.사협력기(1981∼ 현재)
신연방주의 : 연방정부 부담 경감, 지방정부책임강조
부시 : ‘전국지역사회봉사법’ 제정(1990) → 정부와 민간체계연계
촛불재단 (POLF : Point of Light Foundation)설립(1990) → 전국 규모의 민간자원봉사 전문기관, 정부지원, 500여개 자원봉사센터에 기술적 원조
클린턴 : ‘전국봉사활동법’제정(1993) → 대학생, 청소년 자원봉사에 정부가 지원 → 이법에 의하여 ‘전국봉사연합’창설 → 계약제 국가자원봉사단인 ‘미봉사단(Ameri Corps)' 조직 → 학생자원봉사활동 확충
3) 선진국을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의 제도화 전망
⑴ 자원봉사활동의 체계화
<동대문구, 이색 자원봉사프로그램 "눈에 띠네">
기사입력 : 2013년02월28일 17시12분
(아시아뉴스통신=이미현 기자)
동대문구 브랜드 슬로건.(사진제공=동대문구)
서울 동대문구는 '나눔과 참여를 통한 더불어 함께사는 희망동대문구 만들기'라는 자원봉사 마스터플랜을 정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각가지 자원봉사 액션플랜을 전개하고 있다.
우선 전국 최초로 구 캐릭터인 꿈동이를 자원봉사 꿈동이로 재디자인화해 각종 홍보에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원봉사 개념 확대에 발맞춰 엠블럼을 변경하기도 했다.
또 퇴직자 등을 대상으로 '영시니어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고 있으며 톡톡아이디어방 설치, 자원봉사대상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창의적인 자원봉사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특히 글로벌시대를 맞이해 해외자원봉사활동을 계획 중에 있으며 비록 구 인구의 1.4%에 불과한 다문화가정이지만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이들을 위한 3D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3D자원봉사프로그램이란 이중적인 의미로 D(다문화가정과), D(더불어 함께하는), D(동대문구 자원봉사프로그램)이라는 의미와 단순히 교육을 받는 평면적 느낌이 아닌 직접 보고 듣고 함께 느끼는 입체적인 방식의 프로그램이라는 종합적 의미의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우리나라에서 일하는 외국인노동자들을 대상으로 무료진료와 구호활동을 하고 있는 의료봉사단체인 사회복지법인 '라파엘클리닉'과 연계해 진행할 계획이다.
또 오는 4월 한 달간 매주 월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동대문구자원봉사센터 4층 교육장에서 다문화가정 가임여성 및 임산부를 대상으로 모자건강교육을 비롯한 한국어, 자원봉사기본교육 등을 우선 실시하고 향후 희망자가 많을 경우 연중 지속적으로 확대 실시하기로 했다.
본 교육에는 다문화가정은 물론 일반 자원봉사자들도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해 나눔의 장으로 만들어 갈 예정이다.
유덕열 동대문구청장 "외부기관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해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서비스 지원은 물론 다문화가정과 일반자원봉사자와의 유대관계를 통해 더불어 함께 행복한 동대문구를 건설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⑵ 자원봉사자의 안전
⑶ 자원봉사자의 교육과 유급지원
《 참고 자료》
사회복지학개론, 박차상 외 5인 공저, 학현사
자원봉사론 강해, 현외성, 학지사
자원봉사의 이해, 김범수 외 공저, 2001
구글 자원봉사
자원봉사론, 류기영외 5인 공저 양서원
신 자원봉사론, 정하성 백산출판사
21세기 청소년자원봉사 정책과 추진방향, 김정배 외 2인 공저 한국 청소년 개발원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 체계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남미애
뉴스와이, 2013.5.28 뉴스기사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나라에서의 장애인 자원봉사활동의 영역과 장애인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 에티켓에 대해 ...
자원봉사활동의 현황과 문제점 및 활성화방안,자원봉사 특성
자원봉사 동기부여 유형에 대하여 간략히 서술하고 자원봉사자들이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유...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국가적 차원, 사회복지 기관적 차원, 개인적(자원봉사자) 차원...
영국, 미국의 자원봉사활동이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의해 보세요.
미국, 일본,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자원봉사활...
노인자원봉사활동 실태와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노인자원봉사의 실태 및 분석
우리나라 자원봉사 인증제도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자원봉사자들이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
외국의 한 국가를 골라 그 국가의 자원봉사활동의 현황과 역사적 배경, 특징들을 분석하고 우...
외국의 한 국가를 골라 그 국가의 자원봉사활동의 현황과 역사적 배경, 특징들을 분석하고 우...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수퍼비전(슈퍼비젼)을 제공할 때 자원봉사자에게 힘을 주고 역량을 강화...
각 나라별 자원봉사활동의 시사점을 읽고 가장 바람직한 자원봉사활동에 대해 서술하시오.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의 이론적 배경과 현황 자원봉사자의 올바른 자세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