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것에 문제가 많다.
이와 같은 조건 아래에서 개발된 레이저 Gyro에는 우수한 점이 많이 있고 INS에 이용되고 있던 기계식 Gyro를 레이저 Gyro에 옮겨놓은 장거리 항법 장치( I R S ;Inertial Reference System이라고 불리 우고 있다)가 만들어져 널리 이용되게 되었다.
13. Synchro 계기
싱크로는 전동기(Motor)나 발전기(Generator) 와 같이 고정자(Stator) 및
회전 자(Armature)로 구성되어 있고 정보(각도, 회전력)의 전송을 목적으로 한 전기
계기 이다. 싱크로는 제작사에 따라 독자적인 명칭으로 불린다.
14. 집합계기(종합계기)
여러 가지의 계기 즉 Flight, Navigation, 및 Engine Instrument 등을 6개의 CRT(Cathode Ray Tube) 상에 항공기의 상태 및 각종 Data등을 그림, 숫자 또는 도면으로 표시하여 내용 표시가 직감적이고, 또한 계기판의 면적이 적어짐과 동시에 계기 전체에 미치는 시선 각을 적게 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때에 지시하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이 착륙 시 등은 조종사의 작업 부담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정보 표시를 하지 않도록 한다)
-하나의 화면으로 몇 개의 정보를 바꾸어 지시 시킬 수 있다.
-지도와 비행 코스, 시스템 계통 등 다양한 정보를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IDU(Integrated Display Unit)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문자, 심벌, 화상의 형으로 지시하며 그 외에 지면, 하늘 등의 공간 부분은 TV화면과 같이 영상을 쉽게 보게 한다.
15. PFD (Primary Flight Display)
PFD는 기계식 계기였던 자세 계, 속도계, 기압 고도계, 전파 고도계, 승강 계, 방위 지시 계, AFCS 작동 Mode 및 Marker Beacon 등을 한곳에 집약하여 지시하는 것으로 조종사는 자기의 비행 상태를 한눈에 알 수 있다.
16. Navigation Display
항법에 필요한 Data를 나타내는 CRT로써, 현재의 위치, Heading, 비행 방향, Deviation 외에 비행예정 Course, 비행 중 통과 지점까지의 거리, 방위, 소요시간의 지시 등을 한다. 이외에 CRT 상에는 풍향, 풍속, Ground Speed, Weather Radar 등이 지시되며 여러 가지 모드가 있다.
이와 같은 조건 아래에서 개발된 레이저 Gyro에는 우수한 점이 많이 있고 INS에 이용되고 있던 기계식 Gyro를 레이저 Gyro에 옮겨놓은 장거리 항법 장치( I R S ;Inertial Reference System이라고 불리 우고 있다)가 만들어져 널리 이용되게 되었다.
13. Synchro 계기
싱크로는 전동기(Motor)나 발전기(Generator) 와 같이 고정자(Stator) 및
회전 자(Armature)로 구성되어 있고 정보(각도, 회전력)의 전송을 목적으로 한 전기
계기 이다. 싱크로는 제작사에 따라 독자적인 명칭으로 불린다.
14. 집합계기(종합계기)
여러 가지의 계기 즉 Flight, Navigation, 및 Engine Instrument 등을 6개의 CRT(Cathode Ray Tube) 상에 항공기의 상태 및 각종 Data등을 그림, 숫자 또는 도면으로 표시하여 내용 표시가 직감적이고, 또한 계기판의 면적이 적어짐과 동시에 계기 전체에 미치는 시선 각을 적게 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때에 지시하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이 착륙 시 등은 조종사의 작업 부담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정보 표시를 하지 않도록 한다)
-하나의 화면으로 몇 개의 정보를 바꾸어 지시 시킬 수 있다.
-지도와 비행 코스, 시스템 계통 등 다양한 정보를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IDU(Integrated Display Unit)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문자, 심벌, 화상의 형으로 지시하며 그 외에 지면, 하늘 등의 공간 부분은 TV화면과 같이 영상을 쉽게 보게 한다.
15. PFD (Primary Flight Display)
PFD는 기계식 계기였던 자세 계, 속도계, 기압 고도계, 전파 고도계, 승강 계, 방위 지시 계, AFCS 작동 Mode 및 Marker Beacon 등을 한곳에 집약하여 지시하는 것으로 조종사는 자기의 비행 상태를 한눈에 알 수 있다.
16. Navigation Display
항법에 필요한 Data를 나타내는 CRT로써, 현재의 위치, Heading, 비행 방향, Deviation 외에 비행예정 Course, 비행 중 통과 지점까지의 거리, 방위, 소요시간의 지시 등을 한다. 이외에 CRT 상에는 풍향, 풍속, Ground Speed, Weather Radar 등이 지시되며 여러 가지 모드가 있다.
추천자료
저가항공사의 생존 전략(해외 항공사와 한성항공을 중심으로)
[항공운송] 항공운송의 의의와 형태, 특성 및 항공운송업무
아시아나항공,항공사마케팅사례,항공산업분석,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
저가 항공사 (Low Cost Carrier) - 저가항공사,제주항공,진에어,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
항공시장구조,항공산업,저가항공,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항공관광교통사업] 항공운송사업의 본질(개념,구성요소,분류), 항공운송사업서비스 현황(대...
[항공사업] 항공업의 개념(정의)과 구성요소, 세계 항공 교통의 발달 (발전과정)
[항공업의 국제 동향] 항공산업(항공업)의 세계 동향(현황)
델타항공(Delta Air Lines) 경영분석 및 델타항공 위기극복전략 사례분석과 마케팅전략분석 ...
대한항공 (대한항공의 연혁, 대한항공의 조직구조, 조직구조의 문제점,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
[ 제주항공 서비스마케팅 전략 PPT ] 제주항공 기업분석과 제주항공 서비스전략과 마케팅전략...
에미레이트 항공사[Emirates Airline]의 성공전략 - 에미레이트 항공사 : 두바이(dubai)성공...
대한항공 기업분석과 환경분석및 대한항공 조직분석및 조직구조 개편사례분석과 대한항공 향...
국제항공기구와 항공운송에 관한 국제조약 및 항공운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