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이론(파블로프 고전적조건화, 스키너의 조작적조건화) 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동주의이론(파블로프 고전적조건화, 스키너의 조작적조건화)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⑴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
1. 파블로프의 실험
2. 고전적 조건형성의 원리
⑵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이론.
1. 스키너의 실험
2. 조작적 조건형성의 원리

본문내용

chedules of reinforcement)
강화계획은 강화가 전달되는 조건을 나타내는 법칙이다. 스키너의 이론에서의 강화계획은 두 개의 기본적인 강화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개개인은 이전강화 이후 고정적이거나 또는 불규칙적인 시간간격이 경과한 후에만 강화되고(간격강화계획), 둘째, 개개인은 이전강화 이후 고정적이거나 또는 불규칙적인 수의 반응을 한 후에만 강화되는 것이다(비율강화계획). 대표적인 강화계획은 다음과 같다.
① 고정간격계획(fixed interval schedule, FI)
고정된 시간간격 후에 강화를 주는 방법이다. 이 계획에 의한 반응은 일차 강화와 이차 강화의 시간간격 동안에 반응비율이 다양하다. 고정간격계획은 강화 직후에는 수행수준이 저하되고 강화시간이 임박하면 수행수준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계획은 강화간격 사이에 몇 번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행동실적의 양이 크거나 작거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보상이 자동적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행동변화는 가장 낮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한 학기동안 빈둥거리던 학생이 기말 보고서나 기말시험의 예정일이 다가옴에 따라 갑자기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② 고정비율계획(fixed ratio schedule, FR)
고정비율계획에서의 강화는 규칙적으로 보상을 주기 위해 정해진 수의 반응이 일어난 후 강화를 준다. 이러한 고정비율계획 강화는 각 강화 후에 휴식이 생기며 반응의 비율이 높고 비교적 꾸준한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고정비율계획은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데, 많은 직장에서 근로자는 생산하거나 판매한 단위 수에 따라 부분임금 혹은 전체임금을 받는 경우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고정비율계획 강화에서는 고전간격계획 강화보다 행동반응률을 높여준다.
③ 변수비율계획(variable ratio schedule, VR)
변수비율계획 강화는 평균적으로 어떤 정해진 수의 반응이 일어난 후에 강화를 준다. 변동비율강화는 유기체가 다음 강화가 언제 일어날지 예측할 수 없으므로 높고 지속적인 반응률이 나타난다. 바람직한 행동이 습관화되어 고정이 된 후에는 간헐적 강화가 연속강화보다 행동을 소멸시키지 않고 유지시킨다.
변수비율계획의 예로는 도박행위를 들 수 있는데 슬럿머신 등은 강화가 인간이 돈을 내고 손잡이를 잡아당긴 횟수에 따라 주어지도록 설계되어있다. 그러나, 도박자가 언제 보상이 될지는 예측할 수 없고 불규칙적이다.
④ 변수간격계획(variable interval schedule, VI)
변수간격계획에서는 강화를 주는 평균시간 간격은 일정하지만 실제 강화가 주어지는 시간간격은 다른 경우를 말한다. 여기서는 강화 시행간의 시간간격이 다른데, 평균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시간간격이 지난 후 강화를 준다.
변동간격강화의 반응률은 간격이 짧은 경우는 높게, 간격이 길면 낮게 나온다.
변수간격계획의 예로는 불시에 시험을 치르는 교수를 들 수 있다. 학생들은 이러한 교수의 학점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항상 안정된 학습을 해야 할 것이다.
4개의 강화계획 중에 변수비율계획이 가장 높은 행동반응을 지속시키며 그 다음으로 고정비율계획, 변수간격계획, 고정간격계획 순으로 행동반응을 지속시킨다.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다른 명칭
Respondent Conditioning
Pavlovian Conditioning
Instrumental Conditioning
skinnerian Conditioning
Law of Effect(Thorndike)
주요 주창자
Ivan P. Pavlov
John B. watson
E. Thorndike
B. F. Skinner
적용사례
치과의사의 하얀 가운(CS)만 보고도 두려움(CR)을 느낀다.
어린아이가 울 때마다 부모가 과자를 준다면 아이는 과자가 먹고 싶으면 울게된다(정적 강화)
주요 용어
무조건 자극
조건 자극
무조건 반응
조건 반응
강화 정적 강화
부적 강화
강화인 강화 계획
연속 강화 계획
부분 강화 계획

주요 차이점
비자발적(수동적)-반응적 행동
CS는 강화인 UCS보다 먼저 나와야 한다.
CR은 UCR과 같음
자발적(능동적)-작동적 행동
강화는 행동 뒤에 나타난다
강화된 행동은 강화물에 대 한 자연스런 반응은 아님
유사점
소거(extinction)
자발적 회복(spontaneous recovery)
일반화(generalization)
변별화(discrimination)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5.11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72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