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안정의 요인(경기변동요인, 경제불안정요인) 총수요, 총공급모형을 이용한 설명, 한국의 경기변동 요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기불안정의 요인(경기변동요인, 경제불안정요인) 총수요, 총공급모형을 이용한 설명, 한국의 경기변동 요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경제불안정의 요인

Ⅰ. 지금까지 지적된 요인들

1. 기술혁신
2. 정치적 또는 우연한 사건
3. 통화량
4. 총지출수준

Ⅱ. 총수요, 총공급모형을 이용한 설명

Ⅲ. 한국의 경기변동 요인

본문내용

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어떤 이유로든 총수요가 증가하면, 균형물가수준은 P1로 상승하고 균형실질 GDP는 Y1 로 증가할 것이다. 이 경우에 우리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실업이 감소했다고 한다.
균형실질 GDP 및 물가의 변동
그림 (b)는 (c)와는 반대로 총수요가 감소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총수요곡선이 AD0에서 AD1 로 이동하면 균형물가수준은 P1로 하락하고 균형실질 GDP는 Y1로 감소할 것이다. 이 경우에 우리는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실업이 증가했다고 한다.
그림 (c)에서는 총수요곡선은 변함이 없는데 어떤 이유로 총공급이 증가하여 총공급곡선이 AS0에서 AS1로 우하향 이동한 사정을 보여준다. 총공급곡선 자체가 이동한 것은 물가 이외의 다른 요인이 변동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구증가로 노동공급이 증가하거나 기술진보가 일어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총공급이 증가하면 균형물가수준은 Pt로 하락하나 균형실질 GDP는 V1로 증가할 것이다.
이 경우 국민경제는 디플레이션과 실업감소를 경험할 것이다.
그림 (d)에서는 (c)의 반대 경우를 보여준다. 총공급곡선이 AS0에서 AS1로 좌상향 이동하면 균형물가수준은 P1로 상승하고 균형실질 GDP도 Y1로 감소할 것이다. 이 경우에 우리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동시에 실업이 증가하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 발생했다고 한다.
3. 한국의 경기변동 요인
총수요 총공급모형이 경기변동을 설명하는 좋은 분석도구라고 한다면, 우리나라의 경기변동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겠는가? 다시 말해서 1970년대 이후 여섯 번의 경기순환은 앞에서 설명한 네 가지 유형 중 어디에 속하겠는가? 물론 정치적, 사회적 그리고 제도적 현상과 더불어 경기의 부침이 있었지만, 순수하게 경제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요인을 찾아낼 수 있다.
먼저 1970년 이후에 나타난 제1순환과 제2순환은 위 그래프의 (d)유형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즉, 1973년과 1979년의 '오일쇼크(oil shock)'는 공급측 요인의 변화요인으로서, 총공급곡선을 좌측 이동시켰다. 이에 따라 실질 GDP가 위축되고 물가가 크게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났다.
1980년대 후반에 진행된 제4순환에서는 이른 바 3저 현상(저유가, 저환율, 저국제금리)으로 경상수지흑자가 4년간 유지될 정도로 호황을 누렸다. 여기에다가 서울올림픽 특수까지 작용하여, 이 기간 중에는 총공급과 총수요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경제활동이 크게 확대되고, 물가상승이 한 자리 습자로 안정을 이룩했다고 볼 수 있다. 즉, 위 그래프의 (c)와 (b)의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1990대에는 두 차례의 순환, 즉 제5순환과 6순환이 나타났는데, 특히 제6순환(1993년 1월-1998년 8월)에서는 심각한 경기침체현상이 초래되었다. 이미 독자들이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1997년 말에 외환위기로 한국경제는 IMF관리체제로 들어갔고, 고금리정책과 기업투자위축 등으로 총수요가 위촉되면서(유형 b) 역사상 가장 심각한 불황을 경험하였다.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5.13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74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