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중지능 이론의 배경
<전통적인 지능관과 다중지능이론의 차이점>
2) 다중지능 이론의 특성
(1) 언어적 지능(Linguistic Intelligence)
(2) 논리-수학적 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3) 음악적 지능(Musical Intelligence)
(4) 공간적 지능(Spatial Intelligence)
(5) 신체-운동적 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6) 대인관계 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7) 개인 이해 지능 (Intrapersonal Intelligence)
(8) 자연 탐구 지능(Naturalist Intelligence)
(9) 실존 지능(Existentialist Intelligence)
<전통적인 지능관과 다중지능이론의 차이점>
2) 다중지능 이론의 특성
(1) 언어적 지능(Linguistic Intelligence)
(2) 논리-수학적 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3) 음악적 지능(Musical Intelligence)
(4) 공간적 지능(Spatial Intelligence)
(5) 신체-운동적 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6) 대인관계 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7) 개인 이해 지능 (Intrapersonal Intelligence)
(8) 자연 탐구 지능(Naturalist Intelligence)
(9) 실존 지능(Existentialist Intelligence)
본문내용
(8) 자연 탐구 지능(Naturalist Intelligence)
자연 탐구 지능은 식물이나 주변 사물을 자세히 관찰하여 차이점이나 공통점을 찾고 분석하는 능력으로, 사냥꾼이나 진화론을 세운 다윈과 같은 사람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 지능은 다중지능이론의 목록에서 최근에 덧붙여진 것으로, 이 지능이 높은 사람은 자연 친화적이고, 동물이나 식물 채집을 좋아하며, 이를 구별하고 분류하는 능력이 높다. 산에 가더라도 나뭇잎의 모양이나 크기, 지형 등에 관심이 많고 이들을 종류대로 잘 분류하기도 한다.
(9) 실존 지능(Existentialist Intelligence)
처음에는 영적 지능(spiritual intelligence)으로 불렸던 것으로 인간의 존재 이유, 생과 사의 문제, 희로애락, 인간의 본성, 가치 등 철학적인, 어떤 의미에서는 상당히 종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 지능은 뇌의 해당 부위가 없을 뿐 아니라 아동기에는 이 지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가드너는 다른 여덟 가지 지능과 달리 반쪽 지능으로 여기기도 한다.
가드너는 이상과 같은 아홉 가지 지능 모형은 잠정적 모형일 뿐, 후속 연구와 조사를 실시하고 나면, 위의 아홉 가지 지능들 중 일부는 더 이상 지능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고, 새로운 지능들을 찾아낼 수도 있다고 한다. 따라서 문화에 따라 지능의 종류가 더 있을 수 있으며, 우리가 가드너의 초기 이론이 요구하는 것보다 훨씬 확장된 방식으로 인간 지능을 바라보는 것이 가능하다. 논리-수학능력 아인슈타인
음악적 능력 베토벤
신체-운동능력 박찬호
자연 탐구 지능은 식물이나 주변 사물을 자세히 관찰하여 차이점이나 공통점을 찾고 분석하는 능력으로, 사냥꾼이나 진화론을 세운 다윈과 같은 사람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 지능은 다중지능이론의 목록에서 최근에 덧붙여진 것으로, 이 지능이 높은 사람은 자연 친화적이고, 동물이나 식물 채집을 좋아하며, 이를 구별하고 분류하는 능력이 높다. 산에 가더라도 나뭇잎의 모양이나 크기, 지형 등에 관심이 많고 이들을 종류대로 잘 분류하기도 한다.
(9) 실존 지능(Existentialist Intelligence)
처음에는 영적 지능(spiritual intelligence)으로 불렸던 것으로 인간의 존재 이유, 생과 사의 문제, 희로애락, 인간의 본성, 가치 등 철학적인, 어떤 의미에서는 상당히 종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 지능은 뇌의 해당 부위가 없을 뿐 아니라 아동기에는 이 지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가드너는 다른 여덟 가지 지능과 달리 반쪽 지능으로 여기기도 한다.
가드너는 이상과 같은 아홉 가지 지능 모형은 잠정적 모형일 뿐, 후속 연구와 조사를 실시하고 나면, 위의 아홉 가지 지능들 중 일부는 더 이상 지능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고, 새로운 지능들을 찾아낼 수도 있다고 한다. 따라서 문화에 따라 지능의 종류가 더 있을 수 있으며, 우리가 가드너의 초기 이론이 요구하는 것보다 훨씬 확장된 방식으로 인간 지능을 바라보는 것이 가능하다. 논리-수학능력 아인슈타인
음악적 능력 베토벤
신체-운동능력 박찬호
키워드
추천자료
지능이론, 최근의 지능검사와 특수지능검사
다중지능이론
교육심리학4 공통)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콜버그의 도덕성발달 이론 및 교육적 시사점
[보육과정] 보육 프로그램 - 프로젝트 스펙트럼 프로그램의 배경과 이론적 기초(다중지능이론...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다중지능 이론 프로그램 - 다중지능이론의 배경, 지능의 8가지 ...
다중지능이론 프로그램 - 다중지능의 영역별 특징 및 증진활동 (언어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
[2015년 교육심리학]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에릭슨의 성격발달8단계설을 설명하고 교육적 ...
[교육심리학]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과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 8단계설에 대해...
[교육심리학] 「지능이론과 지능검사의 종류 및 특징」 지능의 정의, 지능이론(g요인설, 기본...
[비고스키 가드너] 비고스키(Vygotsky)의 사회문화이론과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다중지능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인지적 구성주의, 표상이론, 사회문화적구성주의, 다중지능이론과 수학교육의 관련성과 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