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1) 강성률 G
(2) 균일선형 탄성봉에 대한 비틀림 이론
3. 실험 방법
(1) 시험편 준비
(2) 시험기의 영점조정
(3) 시험편 준비 및 토크의 입력
4. 실험 결과
(1) 1차 실험 결과 데이터 (S45C)
(2) 2차 실험 결과 데이터 (S45C)
(3) 이론값과 비교
5. 고찰
2. 실험 이론
(1) 강성률 G
(2) 균일선형 탄성봉에 대한 비틀림 이론
3. 실험 방법
(1) 시험편 준비
(2) 시험기의 영점조정
(3) 시험편 준비 및 토크의 입력
4. 실험 결과
(1) 1차 실험 결과 데이터 (S45C)
(2) 2차 실험 결과 데이터 (S45C)
(3) 이론값과 비교
5. 고찰
본문내용
실험에서는 마지막까지 증가하는가 이다. 이것은 실험 이론을 살펴보면 알 수 있는데, 우리가 응력을 구할 때에 P/A를 이용하여 구하는데 인장실험을 할 때에는 넥킹현상이 발생하여 실제로 면적이 줄어들지만 그것을 고려하지 않고 처음면적으로 나누어주므로 갈수록 응력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소성변형이 일어날수록 경화가 일어나므로 실제로는 같은 면적당 받는 응력은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비틀림 실험을 할 때에는 넥킹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면적의 감소가 없으므로 경화현상에 의한 토션의 증가만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파단될 때까지 계속하여 토크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파단된 면을 보면 시험편과 수직한 방향으로 파단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우리는 기계재료학이나 재료역학 시간에 배웠던 연성재료의 비틀림 파손현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45C는 연성 재료이기 때문에 인장응력 보다는 전단응력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는데 시험편이 비틀릴 때 회전축과 수직한 면에 전단응력이 발생하여 파단되는 것을 확인 할 수있었다. 만약 우리가 취성 재료로 비틀림 실험을 하였다면 인장응력이 가장 많이 작용하는 45°방향으로 파단되었을 것이다.
파단된 면을 보면 시험편과 수직한 방향으로 파단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우리는 기계재료학이나 재료역학 시간에 배웠던 연성재료의 비틀림 파손현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45C는 연성 재료이기 때문에 인장응력 보다는 전단응력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는데 시험편이 비틀릴 때 회전축과 수직한 면에 전단응력이 발생하여 파단되는 것을 확인 할 수있었다. 만약 우리가 취성 재료로 비틀림 실험을 하였다면 인장응력이 가장 많이 작용하는 45°방향으로 파단되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