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공학실험 -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파형측정과 데이터 획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공학실험 -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파형측정과 데이터 획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고역통과 필터 응답은 CF이하의 신호는 감쇠시키거나 저지하고 CF보다 높은 주파수의 신호는 모두 통과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상적으로 계산될 경우 CF보다 높은 모든 주파수는 통과시키지만 , 실질적으로 기생 캐패시터로 인해 ∞까지 통과시키지 못합니다.
3)CF (Cutoff frequency)
필터 회로에는 주파수에 의해 신호 통과량을 제한하는 기능이 있다. 어떤 주파수의 신호까지는 통과시키지만, 그 이상(또는 그 이하)의 신호는 통과시키지 않는 기능이다. 필터에 일정한 신호 레벨로 주파수를 천천히 올린 신호를 보내어 필터의 출력을 관찰해 보면, 어떤 주파수까지는 일정 레벨의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지만, 그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출력 레벨이 천천히 변화한다. 일정한 레벨에서 0.707배 주파수를 컷오프 주파수(프리퀀시)라고 한다. 수식으로는 1/(R*C)로 표현된다. (R=저항, C=캐패시터)
※cutoff frequency=1/(RC)=1/(10³/10)=10⁴rad/sec
Hz=10⁴rad/sec*1/2=1592Hz
4)AR (Amplitude Ration)
입력파동의 주파수/출력파동의 주파수를 표현하는 수식으로써 필터에 파동을 입력했을 때 필터가 차단하거나 통과시킨 파동의 진폭변화를 알 수 있게 한다.
3. 시료 및 사용기기
① 오실로스코프
② 저주파 신호발생기
③ 디지털 회로시험기
④ 커패시터 : (0.1)
⑤ 저항 : 1K
⑥ 브레드보드
⑦ 함수발생기
4. 실험과정
1) RC회로
①그림과 같이 저역필터의 기능을 갖는 RC회로를 구성한다.
이때 콘덴서를 연결할 때 (-)방향을 확인하고 연결해야 하고 브레드보드를 이용해 연결을 할 때도 한 줄의 5개의 구멍들이 하나의 선 위에 있다는 걸 생각하고 구성해야한다.
②RC필터의 CF값인 1592Hz를 기준으로 이보다 낮은 주파수, 중간 주파수, 높은 주파수를 임의로 설정한 후 Vs를 차례대로 가한다.
③낮은 주파수를 가했을 때 오실로스코프와 연결된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입력 값 Vs과 출력 값 Vo을 컴퓨터에 저장한다.
④중간 주파수와 높은 주파수일 때도 ③의 과정을 반복한다.
2) CR회로
①그림과 같이 고역필터의 기능을 갖는 CR회로를 구성한다.
이때 콘덴서를 연결할 때 (-)방향을 확인하고 연결해야 하고 브레드보드를 이용해 연결을 할 때도 한 줄의 5개의 구멍들이 하나의 선 위에 있다는 걸 생각하고 구성해야한다.
②RC필터의 CF값인 1592Hz를 기준으로 이보다 낮은 주파수, 중간 주파수, 높은 주파수를 임의로 설정한 후 Vs를 차례대로 가한다.
③낮은 주파수를 가했을 때 오실로스코프와 연결된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입력 값 Vs과 출력 값 Vo을 컴퓨터에 저장한다.
④중간 주파수와 높은 주파수일 때도 ③의 과정을 반복한다.
5.실험결과
1) CR회로
①200Hz일 때
②1592Hz
③ 3000Hz
2) RC회로
①200Hz
②1592 Hz
③3000 Hz
6.결과분석
①저역통과필터
아래의 Cutoff의 그래프와 비교해보기 위해서 cutoff frequency이전의 값, cutoff frequency값, cutoff frequency이후의 값 200Hz, 1592Hz, 3000Hz의 값을 구하였다.
1) 200HZ
Vin의 진폭=5.16
Vout의 진폭=4.84
AR=Vout/Vin=4.84/5.16=0.938
2) 1592HZ
Vin의 진폭=5.15
Vout의 진폭=3.63
AR=Vout/Vin=3.63/5.15=0.705
3) 3000HZ
Vin의 진폭=5
Vout의 진폭=2.51
AR=Vout/Vin=2.51/5=0.502
실험결과 저역통과필터는 CF값인 1592를 기점으로 CF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감쇄를 거의 시키지 않고 CF값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파동을 대부분 감쇄시킨다.
②고역통과필터
1) 200HZ
Vin의 진폭=5.31
Vout의 진폭=0.61
AR=Vout/Vin=0.61/5.31=0.115
2) 1592HZ
Vin의 진폭=5
Vout의 진폭=3.31
AR=Vout/Vin=3.31/5=0.662
3) 3000HZ
Vin의 진폭=5
Vout의 진폭=4.06
AR=Vout/Vin=5/4.06=0.812
실험결과 고역통과필터는 CF값인 1592를 기점으로 CF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감쇄를 거의 시키지 않고 CF값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파동을 대부분 감쇄시킨다.
◎cutoff주파수
저역통과 필터의 특성으로 보면 아래의 그림과 같은 이상적인 값이 나와야하나 실험값은 다르게 나온다. 그러나 그림과 같이 W0즉 cutoff주파수에서 이상그래프와 실험그래프의 교점은 항상 1/√2 약 0.707의 AR값을 가진다.
3가지 주파수에 대해서 AR을 측정한후 그래프에 나타내어 보면 다음과 같다.
7.후기
실험으로 RC필터가 저역대의 주파수는 통과 고역대의 주파수는 감쇄시키고 CR필터가 고역대의 주파수는 통과 저역대의 주파수는 감쇄시키는걸 알았다.
이 두 가지의 필터 중 RC필터는 음성신호에 이용할 수 있다.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성질의 잡음들이 섞인다. 이때 고주파잡음이 많으면 ‘삐~익’과 같은 소리가 들린다. 이 같은 경우 고주파성분을 걸러내 깨끗한 소리를 만들기 위해 RC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주기성 있는 펄스 부하를 구동하는 전원회로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과도한 돌입전류 및 펄스부하로 인한 스파이크 전류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다른 필터인 CR필터는 “매칭”구조에서 저주파 발진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착한다. 즉 주파수 성분 중 에서 저주파를 없애야 할 때 사용되는 필터이다. RC회로와 비교했을 때 쓰임새가 상당히 제한적이다.
실험에서 발생한 오차를 생각해보면 CF값인 1592Hz값을 가했을 때 AR값이 정확히 0.707이라는 값이 나오지 않는다. 이 오차는 유효자리숫자 에러라고 볼 수 있다. CF값이 정확히 1592Hz 로 딱 떨어지는 값이 아닌 1592와 소수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수점을 생각하지 않고 실험했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 것이다. 또는 컴퓨터 자체에 data가 저장될 때 컴퓨터 자체에서 처리한 유효숫자 자리에서도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5.20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83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