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지반공학 핵심정리 **
◉ 건설공사에서 지질학의 중요성
◉ 지질연대별 특징
◉ 한국의 지형
◉ 한국의 지질구조
◉ 베게너 – 판구조론
◉ 화성암
◉ 퇴적암
◉ 변성암
◉ 변성암반
◉ 습곡과 단층 성인
◉ 습곡구조 종류
◉ 습곡구조 형태
◉ 습곡의 지반 공학적 영향
◉ 단층
◉ 단층의 종류
◉ 단층의 증거
◉ 단층의 지반 공학적 영향
◉ 절리 성인
◉ 절리의 특징
◉ 절리의 종류
◉ 암석의 풍화가 지반공학적으로 중요한 이유
◉ 지표의 상태
◉ 암석의 풍화
◉ 물리적 풍화
◉ 동쇄
◉ 뿌리작용
◉ 결정화
◉ 화학적 풍화
◉ 장석의 풍화
◉ 풍화에 있어 탄산수의 역할
◉ 석회동굴의 형성
◉ 암석의 풍화에 의한 생성물
◉ 흙 – 암석풍화의 최종산물은 모래와 점토이다
◉ 흙단면의 두께
◉ 식생에 따른 기반암의 종류
◉ 건설공사에서 지질학의 중요성
◉ 지질연대별 특징
◉ 한국의 지형
◉ 한국의 지질구조
◉ 베게너 – 판구조론
◉ 화성암
◉ 퇴적암
◉ 변성암
◉ 변성암반
◉ 습곡과 단층 성인
◉ 습곡구조 종류
◉ 습곡구조 형태
◉ 습곡의 지반 공학적 영향
◉ 단층
◉ 단층의 종류
◉ 단층의 증거
◉ 단층의 지반 공학적 영향
◉ 절리 성인
◉ 절리의 특징
◉ 절리의 종류
◉ 암석의 풍화가 지반공학적으로 중요한 이유
◉ 지표의 상태
◉ 암석의 풍화
◉ 물리적 풍화
◉ 동쇄
◉ 뿌리작용
◉ 결정화
◉ 화학적 풍화
◉ 장석의 풍화
◉ 풍화에 있어 탄산수의 역할
◉ 석회동굴의 형성
◉ 암석의 풍화에 의한 생성물
◉ 흙 – 암석풍화의 최종산물은 모래와 점토이다
◉ 흙단면의 두께
◉ 식생에 따른 기반암의 종류
본문내용
orillonite)
Laterite
홍토, 열대지방에서 생성되는 철분과 알루미늄이 많고 규산이 적은 붉은 색깔의 흙
Saprolite
부식토, 원래의 암구조의 잔상을 유지함 (풍화잔류토와 품화암의 중간상태)
구상풍화
각이 진 절리블록으로부터 풍화되어 생성된 둥근 호박돌 또는 핵석이 되는 풍화현상
물리적 풍화
균열
화성암
식으면서 굳을 때 수축에 의해 균열 발생 (3set)
퇴적암
층리가 균열로 발전
변성암
높은 응력을 받아 변형될 때, 엽리가 균열로 발전
판상절리
상재하중 제거에 의해 지표면이 평행하게 생성
박리현상
판상절리의 틈을 따라 스며든 물과 대기가 절리표면과 화학적 풍화를 일으켜 틈 사이에 수분을 함유한 미끄러운 점토를 생성 → 윤활제 역할 → 위에 있는 암석이 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 암반이 깎여 떨어져 나가는 현상 (물리적 + 화학적 풍화)
동쇄 : 암석의 간극 또는 미세한 틈 안에 있는 물이 얼어서 팽창하므로써 생기는 균열
뿌리작용 : 나무뿌리가 암석의 틈에서 팽창하여 작은 뿌리가 성장 (나무뿌리의 음이온이 암석 표면의 정장석과 화학적 풍화를 일으켜 물리적 풍화 촉진)
결정화 : 지하수가 증발하는 곳에서 소금 결정이 성장하는 경우
암석에 기계적 풍화가 진행됨에 따라 물과 접촉하는 면이 증가하므로 화학적 풍화가 가속화 됨
화학적 풍화
용해
주로 방해석과 석고가 용해되어 다른 곳으로 이동/침전되어 사암의 교결물, 맥, 석회암 등을 만듦
리칭
용탈현상으로 용질이나 특정성분이 선택적으로 제거되는 현상
산화
철분의 현저한 부식과 붕괴
수화
대부분의 규산염은 물과 반응하여 점토광물이 됨
장석의 풍화
장석은 지각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며, 화성암과 변성암의 구성 광물 중 60%를 차지함
장석이 풍화되면 암석의 붕괴를 초래하게 되므로 장석의 풍화된 현상을 통해 암석의 풍화정도와 풍화작용의 최종산물을 확인할 수 있음
화강암 비석의 경우 화강암 속에 가장 많이 포함된 장석이 오랜기간 습기가 많은 대기와 접촉하면서 연한 점토로 풍화
장석 온대지방에서 풍화시 고령토가 됨
열대지방에서 풍화시 보크사이트를 생성
풍화에 있어 탄산수의 역할
염산이나 황산에 비해 극히 약산이나 지표에서 다량, 지속적으로 장기간 공급될 수 있으므로 암석의 풍화에 충분한 힘을 발휘함
는 토양내에 더 풍부 : 동식물의 호흡이나 유기물의 부식에 의해 발생하는 양이 많기 때문에 토양 하부로 삼투되는 물에는 탄산수의 공급량이 많아져 화학적 풍화는 지표하부에서 더 활발
석회동굴의 형성
암석의 풍화에 의한 생성물 : 공극이 많고 이산화탄소, 수분, 산소 등의 성분이 첨가되어 전체적으로 체적이 큼
흙 암석풍화의 최종산물은 모래와 점토이다
흙단면의 두께
고온다습 : 두꺼운 흙단면
기온이 높을수록 화학반응 촉진, 강우에 의해 용해물질이 하부로 침출
급경사 : 대부분의 강우가 유출되어 물의 공급이 적게 되어 화학적보다는 기계적 풍화의 진행이 빠르므로 석영과 미처 분해되지 못한 장석입자들이 침식, 운반되어 평지에 쌓임
저구릉 : 기계적 풍화보다는 화학적풍화의 진행이 더욱 많이 진행되어 점토가 많고 장석입자의 퇴적물이 적다
식생에 따른 기반암의 종류
기반암이 화강암인 급경사지 - 침엽수
급경사 강우의 유출속도↑ - 침식↑ - 풍화깊이 얕음 뿌리 깊이 내리지X 쓰어지기 쉬움 잎이 작아야
흙이 조립질 함수비↓ - 수분취하기 어려움 광합성량↓ - 잎이 작아야
기반암이 편암, 편마암인 완경사지 활엽수
완경사 강우의 유출속도↓ - 침식↓ - 풍화깊이 깊음 뿌리 깊이 내림 쓰러지지X 잎이 커도 됨
흙이 세립질 함수비↑ - 수분 취하기 쉬움 광합성량↑ - 입이 커도 됨
Laterite
홍토, 열대지방에서 생성되는 철분과 알루미늄이 많고 규산이 적은 붉은 색깔의 흙
Saprolite
부식토, 원래의 암구조의 잔상을 유지함 (풍화잔류토와 품화암의 중간상태)
구상풍화
각이 진 절리블록으로부터 풍화되어 생성된 둥근 호박돌 또는 핵석이 되는 풍화현상
물리적 풍화
균열
화성암
식으면서 굳을 때 수축에 의해 균열 발생 (3set)
퇴적암
층리가 균열로 발전
변성암
높은 응력을 받아 변형될 때, 엽리가 균열로 발전
판상절리
상재하중 제거에 의해 지표면이 평행하게 생성
박리현상
판상절리의 틈을 따라 스며든 물과 대기가 절리표면과 화학적 풍화를 일으켜 틈 사이에 수분을 함유한 미끄러운 점토를 생성 → 윤활제 역할 → 위에 있는 암석이 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 암반이 깎여 떨어져 나가는 현상 (물리적 + 화학적 풍화)
동쇄 : 암석의 간극 또는 미세한 틈 안에 있는 물이 얼어서 팽창하므로써 생기는 균열
뿌리작용 : 나무뿌리가 암석의 틈에서 팽창하여 작은 뿌리가 성장 (나무뿌리의 음이온이 암석 표면의 정장석과 화학적 풍화를 일으켜 물리적 풍화 촉진)
결정화 : 지하수가 증발하는 곳에서 소금 결정이 성장하는 경우
암석에 기계적 풍화가 진행됨에 따라 물과 접촉하는 면이 증가하므로 화학적 풍화가 가속화 됨
화학적 풍화
용해
주로 방해석과 석고가 용해되어 다른 곳으로 이동/침전되어 사암의 교결물, 맥, 석회암 등을 만듦
리칭
용탈현상으로 용질이나 특정성분이 선택적으로 제거되는 현상
산화
철분의 현저한 부식과 붕괴
수화
대부분의 규산염은 물과 반응하여 점토광물이 됨
장석의 풍화
장석은 지각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며, 화성암과 변성암의 구성 광물 중 60%를 차지함
장석이 풍화되면 암석의 붕괴를 초래하게 되므로 장석의 풍화된 현상을 통해 암석의 풍화정도와 풍화작용의 최종산물을 확인할 수 있음
화강암 비석의 경우 화강암 속에 가장 많이 포함된 장석이 오랜기간 습기가 많은 대기와 접촉하면서 연한 점토로 풍화
장석 온대지방에서 풍화시 고령토가 됨
열대지방에서 풍화시 보크사이트를 생성
풍화에 있어 탄산수의 역할
염산이나 황산에 비해 극히 약산이나 지표에서 다량, 지속적으로 장기간 공급될 수 있으므로 암석의 풍화에 충분한 힘을 발휘함
는 토양내에 더 풍부 : 동식물의 호흡이나 유기물의 부식에 의해 발생하는 양이 많기 때문에 토양 하부로 삼투되는 물에는 탄산수의 공급량이 많아져 화학적 풍화는 지표하부에서 더 활발
석회동굴의 형성
암석의 풍화에 의한 생성물 : 공극이 많고 이산화탄소, 수분, 산소 등의 성분이 첨가되어 전체적으로 체적이 큼
흙 암석풍화의 최종산물은 모래와 점토이다
흙단면의 두께
고온다습 : 두꺼운 흙단면
기온이 높을수록 화학반응 촉진, 강우에 의해 용해물질이 하부로 침출
급경사 : 대부분의 강우가 유출되어 물의 공급이 적게 되어 화학적보다는 기계적 풍화의 진행이 빠르므로 석영과 미처 분해되지 못한 장석입자들이 침식, 운반되어 평지에 쌓임
저구릉 : 기계적 풍화보다는 화학적풍화의 진행이 더욱 많이 진행되어 점토가 많고 장석입자의 퇴적물이 적다
식생에 따른 기반암의 종류
기반암이 화강암인 급경사지 - 침엽수
급경사 강우의 유출속도↑ - 침식↑ - 풍화깊이 얕음 뿌리 깊이 내리지X 쓰어지기 쉬움 잎이 작아야
흙이 조립질 함수비↓ - 수분취하기 어려움 광합성량↓ - 잎이 작아야
기반암이 편암, 편마암인 완경사지 활엽수
완경사 강우의 유출속도↓ - 침식↓ - 풍화깊이 깊음 뿌리 깊이 내림 쓰러지지X 잎이 커도 됨
흙이 세립질 함수비↑ - 수분 취하기 쉬움 광합성량↑ - 입이 커도 됨
소개글